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1년 2월 25일 07시 21분 등록


"오늘 아침 아주 기분이 좋다. 미켈란젤로가 이미 죽은 사람이라는 것을 어제 알았기 때문이다"

    '톰 소여의 모험'으로 유명한 미국 작가 마크 트웨인의 말입니다. 그는 로마를 방문한 후 감동합니다. 그리고 그 인상을 그만의 유머로 표현한 것입니다. 누구든 로마를 방문한 사람들은 그 장엄한 인류의 문화 앞에 압도당할 수 밖에 없습니다. 마음의 눈이 날카로운 문인들과 예술가들은 더욱 그럴 수 밖에 없겠지요.

   특히, 로마의 어디를 가든,  미켈란젤로의 손길은 특별합니다. 30대의 젊은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예배당의 천장에 '천지창조'를 그려 넣습니다. 그리고 산 삐에트로 성당(베드로 대성당)의 돔을 설계합니다. 세월이 지나 60살의 미켈란젤로는 다시 시스티나 예배당 제단의 뒤쪽에 '최후의 심판'을 그려 넣습니다. 63세 때 그는 다시 교황의 요청으로 로마의 일곱 언덕 중의 하나인 캄피돌리오 언덕을 재개발합니다. 그가 만들어 놓은 계단을 오르며, 그가 축조한 언덕의 건축물들이 점점 확장되어가는 황홀함에 접어 봅니다. 86살의 노년에 그는 다시 교황의 주문으로 '천사와 순교자의 성모 마리아' (산타 마리아 델리 안젤리 데이 마르틸리) 성당을 짓게 됩니다. 이 성당은 4세기 초 극심하게 그리스도교를 박해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목욕탕 위에 세워졌습니다. 고대 로마와 르네상스 의 융합을 상징하는 건물이기도 하고 미켈란젤로의 마지막 작품이기도 해서 이 성당은 현대 이탈리아 정부가 국장의 장례식장으로 쓰는 곳이 되었다는군요.

아마도 예술가에게 바치는 최고의 찬사는 '신의 손길'이라든가 '신과 운명이 가장 사랑한 사람'등으로 표현되어 왔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예술가가 예술가를 표현하는 가장 진실한 찬사는 어쩌면 '당신이 죽어 주어서 정말 기쁘오'라는 말이 아닐까 합니다. 동종의 분야에종사하는 사람의 질투와 찬사와 절망과 의욕이 혼재된 가장 인간적인 찬사일 것입니다.

자기경영은 질투와 찬사입니다. 그것이 바로 창조적 에너지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인간은 불완전 합니다. 그 불완전함 속에서 완전에 대한 꿈을 열망하는 단명하고 슬픈 존재입니다. 그러나 그 운명이 아름다운 이유는 스스로의 모자람에 절망하고, 조금 나은 다른 사람의 재능에 질투하고, 스스로 이룬 작은 성취에 도취하고, 그리고 다시 그 미천한 성과에 실망하다 다시 누군가의 위대한 성취에 자극을 받아 다시 한 번 해보겠다는 의욕으로 가득 차게 되기 때문입니다.  나는 질투와 찬사를 가슴에 품고 로마에서 돌아 왔습니다. 그것이 내 여행의 기쁨이었습니다.

IP *.160.33.89

프로필 이미지
숨결
2011.02.25 11:29:45 *.7.108.122
"자기경영은 질투와 찬사입니다. 그것이 바로 창조적 에너지의 원천이기도 합니다."
질투와 찬사를 자기경영에 접목시키다니, 멋진 접목!
나는 질투와 찬사를 가슴에 품고 로마에서 돌아왔습니다.....우~와~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02.26 11:33:39 *.67.223.154
남도로 봄맞이 가신 선상님의 여행의 기쁨에 샘이 다 납니다.
<질투와 찬사> 그 훌륭한 감성들을 항상 키워내시니...그거이 더 부럽구요.

예술의 전당에 가서  <물처럼 바람처럼>   전시회 보고 왔습니다.
창암 이삼만 의 글씨가 100여점 가량...정성을 들여  걸어두었더군요.
공부 출세 결혼, 3가지 가 늦어 三晩이 된 후기 조선의 3명필중 한분이지요.

그곳에서 범해도 질투와 찬사를 불러 일으키며.... 자기경영을 새롭게 시작하기로 했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16 [화요편지] 돈, 당신을 제대로 사랑할 수 있기까지 file 아난다 2020.05.26 1073
815 스피노자가 보우하는 월급쟁이 장재용 2020.05.26 1168
814 [용기충전소]실패를 장렬히(?) 무찌르는 법 김글리 2020.05.28 852
813 목요편지 - 자기답게 사는 법 운제 2020.05.28 855
812 [월요편지 10] 응, 괜찮아, 월급 받잖아 file 습관의 완성 2020.05.31 1042
811 [화요편지] 가난한 부모의 돈걱정 모르는 아이 file 아난다 2020.06.02 1429
810 월급쟁이는 무엇인가 장재용 2020.06.02 1101
809 [용기충전소] 실패가 두렵다면, 이곳으로 초대합니다! 김글리 2020.06.04 1108
808 통삼겹살 운제 2020.06.06 840
80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떠나간 춤은 또 다른 춤으로... file 알로하 2020.06.07 1148
806 [월요편지 11] 육아휴직을 앞 둔 직장 동료의 수줍은 고백 file 습관의 완성 2020.06.07 1150
805 [화요편지]소리없는 중독 file 아난다 2020.06.08 1146
804 월급쟁이 탁월함에 관하여 장재용 2020.06.09 1063
803 목요편지 - 참새 이야기 운제 2020.06.11 929
802 [용기충전소] 일상을 소비하는 새로운 방식 김글리 2020.06.12 968
801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벨리 댄스에 가장 적합한 몸은…? file [2] 알로하 2020.06.14 6145
800 [월요편지 12] 더럽게 힘든 인간관계, 조금 덜 힘들 수는 없을까? 습관의 완성 2020.06.14 1245
799 [화요편지] 화폐중독 치유 솔루션 file 아난다 2020.06.15 944
798 조이스와 수영의 6월 16일 file 장재용 2020.06.16 1198
797 목요편지 - 음악이야기 [1] 운제 2020.06.18 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