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83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1년 3월 2일 08시 00분 등록

“삶에 의미의 차원을 더해주는 것은 마음이에요. 의미의 차원이 없으면 삶은 견디기 어려워져요. (중략) 의미를 찾으면 우리는 좌절과 대결할 수 있는 힘을 갖습니다. 그리고 마음을 열고 살아야만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의미의 감각이 없으면 힘이 없어서 할 수 없는 일도, 의미의 감각이 있으면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의미는 힘입니다.”

 

- 딘 오니시의 <관계의 연금술> 중에서 -
----------------------------------------

 

남보다 몸이 유연해 체조를 좋아했고 올림픽 메달을 꿈꾸며 열심히 연습하던 교포소년이 있었습니다. 그의 노력은 좋은 결과로 이어졌고 그는 열일곱 살에 미국 올림픽 예비 선수로 선정될 만큼 촉망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열여덟 생일을 이틀 앞 둔 날, 그의 꿈은 물거품이 되었습니다. 어려운 기술을 연습하던 중에 척수를 다쳐 가슴아래가 마비되는 중증장애인이 된 것입니다. 그 후 1년은 그 무엇으로도 위안받을 수 없는 깊은 분노와 좌절의 시간이었습니다. 그러던 어는 날, 그는 미국 재활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하워드 러스크의 자서전 <돌봐야 할 세상>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책을 보며 자신의 고통에서 새로운 의미와 사명을 찾았습니다. 자신과 비슷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돕기로 결심한 것입니다. 그리고 혼신의 노력 끝에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되어 많은 장애환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습니다.  그는 ‘슈퍼맨 의사’로 많이 알려진 이승복씨입니다.

   

상담실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행복하기만을 바라고 행복을 불행과 고통의 부재상태로 생각하기에 불행과 고통을 잘 견디지 못합니다. 뜻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는 삶의 엄연한 한 측면을 받아들이지 못해 현실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왜곡시켜 더 큰 어려움에 빠지게 되거나 자신이 가장 불행하다고 느끼며 한없는 체념에 빠져 있습니다. 하지만 의미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비슷한 불행을 겪더라도 그 안에서 삶의 의미와 새로운 가능성을 찾기에 다시 일어나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고통과 불행에서 벗어나는 가장 좋은 약은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측한대로 흘러가지 않고 기대대로 되지 않을 때가 더 많은 것이 어쩌면 인생인지도 모릅니다. 문제는 그 불행과 좌절이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삶이 성장하고 자신이 좀 더 좋은 사람이 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 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라 여긴다면 우리는 불행과 좌절 앞에서도 덜 괴로울 수 있고 나아가 이를 통해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당신은 삶에서 의미를 추구하고 있나요? 행복을 추구하고 있나요? 


 

- 2011. 3. 2.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462호-



link.jpg











IP *.120.20.20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6 목요편지 - 5월을 열며 [1] 운제 2019.05.02 771
1115 [금욜편지 86- 한걸음 떨어져 바라본 자본주의] [2] 수희향 2019.05.03 771
1114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영국을 홀린 프랑스 와인 file [4] 알로하 2019.05.05 1172
1113 어린이날 어떻게 보내셨나요? 제산 2019.05.06 753
1112 [화요편지] '최고의 나'를 만나고 싶은 욕망 아난다 2019.05.07 763
1111 [수요편지] 개와 같이 [1] 장재용 2019.05.08 783
1110 목요편지 - 요가수업 [2] 운제 2019.05.09 750
1109 [금욜편지 87- 불공평한 세상을 살아가는 법] [2] 수희향 2019.05.10 823
110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로마네 콩티 살인 사건 1 file 알로하 2019.05.11 913
1107 소녀들을 위한 내 몸 안내서 제산 2019.05.13 874
1106 [화요편지] 나의 기쁨과 세상의 기쁨이 만나는 현장, ‘엄마의 시간통장’ file [1] 아난다 2019.05.14 909
1105 [수요편지] 장대비 내리던 어느 주말 오후 [1] 장재용 2019.05.15 851
1104 목요편지 - 꿈벗 소풍 운제 2019.05.16 759
1103 [금욜편지 88- 나도 멘탈 갑] 수희향 2019.05.17 784
1102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로마네 콩티 살인 사건 2 file [4] 알로하 2019.05.18 1422
1101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4. 다시, 책으로 제산 2019.05.20 791
1100 [화요편지]회복하는 글쓰기 file [4] 아난다 2019.05.21 895
1099 [수요편지] 이것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2] 장재용 2019.05.22 833
1098 목요편지 - 합리성이라는 잣대 운제 2019.05.24 754
1097 [금욜편지 89- 21세기에 프로로 산다는 것은] [4] 수희향 2019.05.24 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