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83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1년 3월 2일 08시 00분 등록

“삶에 의미의 차원을 더해주는 것은 마음이에요. 의미의 차원이 없으면 삶은 견디기 어려워져요. (중략) 의미를 찾으면 우리는 좌절과 대결할 수 있는 힘을 갖습니다. 그리고 마음을 열고 살아야만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의미의 감각이 없으면 힘이 없어서 할 수 없는 일도, 의미의 감각이 있으면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의미는 힘입니다.”

 

- 딘 오니시의 <관계의 연금술> 중에서 -
----------------------------------------

 

남보다 몸이 유연해 체조를 좋아했고 올림픽 메달을 꿈꾸며 열심히 연습하던 교포소년이 있었습니다. 그의 노력은 좋은 결과로 이어졌고 그는 열일곱 살에 미국 올림픽 예비 선수로 선정될 만큼 촉망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열여덟 생일을 이틀 앞 둔 날, 그의 꿈은 물거품이 되었습니다. 어려운 기술을 연습하던 중에 척수를 다쳐 가슴아래가 마비되는 중증장애인이 된 것입니다. 그 후 1년은 그 무엇으로도 위안받을 수 없는 깊은 분노와 좌절의 시간이었습니다. 그러던 어는 날, 그는 미국 재활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하워드 러스크의 자서전 <돌봐야 할 세상>을 읽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책을 보며 자신의 고통에서 새로운 의미와 사명을 찾았습니다. 자신과 비슷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돕기로 결심한 것입니다. 그리고 혼신의 노력 끝에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되어 많은 장애환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있습니다.  그는 ‘슈퍼맨 의사’로 많이 알려진 이승복씨입니다.

   

상담실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들은 행복하기만을 바라고 행복을 불행과 고통의 부재상태로 생각하기에 불행과 고통을 잘 견디지 못합니다. 뜻대로 되지 않을 수도 있는 삶의 엄연한 한 측면을 받아들이지 못해 현실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왜곡시켜 더 큰 어려움에 빠지게 되거나 자신이 가장 불행하다고 느끼며 한없는 체념에 빠져 있습니다. 하지만 의미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비슷한 불행을 겪더라도 그 안에서 삶의 의미와 새로운 가능성을 찾기에 다시 일어나 나아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고통과 불행에서 벗어나는 가장 좋은 약은 ‘의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측한대로 흘러가지 않고 기대대로 되지 않을 때가 더 많은 것이 어쩌면 인생인지도 모릅니다. 문제는 그 불행과 좌절이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삶이 성장하고 자신이 좀 더 좋은 사람이 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 될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라 여긴다면 우리는 불행과 좌절 앞에서도 덜 괴로울 수 있고 나아가 이를 통해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당신은 삶에서 의미를 추구하고 있나요? 행복을 추구하고 있나요? 


 

- 2011. 3. 2.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462호-



link.jpg











IP *.120.20.20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56 [화요편지]11주차 워크숍_엄마의 시간통장 아난다 2019.11.19 876
955 불안한 그대에게 [1] 장재용 2019.11.20 888
954 목요편지 -겨울준비 운제 2019.11.21 945
953 [금욜편지 113- 책쓰기는 첫 문장이다] 수희향 2019.11.22 924
952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와인과 음악, 설렘이 있는 11월 2 file 알로하 2019.11.24 887
951 잠시 멈추고 주변을 둘러봅니다. 제산 2019.11.25 862
950 [화요편지]12주차 미션보드_아이와 함께라 더 행복한 엄마의 강점혁명 프로젝트 아난다 2019.11.26 856
949 예지 쿠크츠카 장재용 2019.11.27 832
948 [금욜편지 114- 책쓰기는 자신과의 밀당이다] 수희향 2019.11.29 842
947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이번 주 쉽니다 알로하 2019.12.01 828
946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시리즈 독자님의 의견을 공유합니다. 제산 2019.12.01 1073
945 [화요편지] 굿바이, <아이를 기다리는 시간>! 아난다 2019.12.03 919
944 홍합을 씹어 삼키며 버티다 장재용 2019.12.04 853
943 [금욜편지 115- 책쓰기는 설득이다] 수희향 2019.12.06 971
942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file 알로하 2019.12.08 1215
941 당신의 '아무튼'은 무엇인가요? 제산 2019.12.09 926
940 [화요편지] 이만 요가하러 가겠습니다. 아난다 2019.12.10 1008
939 선천성 그리움 장재용 2019.12.11 926
938 [금욜편지 116- 책쓰기는 진정성이다] 수희향 2019.12.13 882
937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따뜻하고 건강한 겨울을 위한 와인 file 알로하 2019.12.15 10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