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5075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1년 4월 19일 02시 49분 등록
며칠 전 한 사람과 함께 클래식을 들었습니다. 그 사람은 그 음악을 좋아해 자주 듣는다고 했습니다. 나 역시 아름다운 음악에 흠뻑 빠졌습니다. 음악을 들으며 행복했습니다. 그때 느낀 감정을 표현하기 어렵지만 그 장면과 느낌은 지금도 생생합니다. 아마 그 사람도 행복했던 것 같습니다. 그의 얼굴이 행복 그 자체였으니까요. 우리는 행복했습니다. 서로 오고가는 눈빛에서 우리는 느낄 수 있었습니다.

‘두 사람을 동시에 행복하게 해주는 아름다운 음악이라니!’, 나는 이 좋은 음악을 자주 듣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음악을 저장해서 집으로 가져왔습니다. 그리고 집에서 홀로 음악을 들었습니다. 그제 들었던 바로 그 곡이 흘러나옵니다. 그런데 그때만큼 음악이 아름답게 다가오지 않습니다. 감정도 그때 그 느낌에 못 미칩니다. ‘멜로디와 연주자 모두 그대로인데 어찌 된 것일까?’ 그때의 나와 지금의 내가 다른 것이 하나의 이유인 것 같습니다. ‘무엇이 달라졌는가?’ 그 사람이 없습니다. 같은 음악도 누구와 듣느냐에 따라 완전히 달라집니다.

그런데 그보다 본질적인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우리’의 부재입니다. 나와 너, 둘 중 하나만 없어도 ‘우리’는 완성될 수 없습니다. 그날 우리는 어떤 음악을 들었어도 행복했을 겁니다. 우리는 연결되어 있었고, 음악은 우리 연결의 촉매제였습니다. 이제 이 장면으로 다시 돌아갈 수 없고, 그 음악을 다시 들을 수 없습니다. 똑 같은 상황을 만들어도 그 장면이 아니고, 똑같은 음악을 들어도 그때의 음악이 아닙니다. 시인 비스와바 쉼보르스카는 ‘두 번은 없다’에서 이렇게 읊었습니다.

두 번은 없다. 지금도 그렇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무런 연습 없이 태어나서
아무런 훈련 없이 죽는다.

우리가, 세상이란 이름의 학교에서
가장 바보 같은 학생일지라도
여름에도 겨울에도
낙제란 없는 법.

반복되는 하루는 단 한 번도 없다.
두 번의 똑 같은 밤도 없고,
두 번의 한결같은 입맞춤도 없고,
두 번의 동일한 눈빛도 없다.

두 번이 없어서 한 번으로 아름다운 것들이 있습니다. 한 번이기 때문에 더 아름다운 것들이 있습니다. 사랑의 순간도 그럴 것이고, 삶의 어떤 장면도 그럴 겁니다. 쉼보르스카는 1996년 노벨문학상 수상 소감 연설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단어 하나하나가 모두 의미를 갖는 시어(詩語)의 세계에서는 그 어느 것 하나도 평범하거나 일상적이지 않습니다. 그 어떤 바위도, 그리고 그 위를 유유히 흘러가는 그 어떤 구름도. 그 어떤 날도, 그리고 그 뒤에 찾아오는 그 어떤 밤도. 아니, 그 누구의 것도 아닌 이 세상의 모든 존재도.”

‘시처럼 산다’는 것은 두 번 살지 않는 것입니다. 그것이 하루이든, 사람이든, 사랑이든, 일이든 두 번 오지 않음을 알고 그 고유한 가치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평범함 속에서 특별함을 볼 수 있는 심안을 기르고, 마음에 핀 심상을 자기답게 표현할 줄 알 때 삶은 시가 되고 우리는 삶의 시인이 됩니다.

sw20110418.gif
* 비스바와 쉼보르스카 저, 최성은 역, 끝과 시작, 문학과 지성사, 2007년
* 홍승완 트위터 : @SW2123

* 안내
구본형 소장의 신간 <깊은 인생(DEEP LIFE)>이 출간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의 따뜻한 축하와 관심을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IP *.229.151.158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11.04.19 05:35:10 *.10.140.5
승완
이번 소풍때도 당연히 볼 수 있겠지요?
늘 승완씨 글을 보면 승완이가 나의 형이고 스승인것 같만 같아..
그래서 고맙고 감사하지요.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11.04.19 17:07:27 *.169.188.35
아 맞다..
내일도 보는구나..
깜박했네..

만나게 될 내일이 기대가 되는데...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11.04.19 15:02:44 *.229.151.158
봄 소풍에 가야지요.
단군의 후예 완주 파티에서도 만나면 좋겠어요. ^_^
프로필 이미지
숲기원
2011.04.19 05:45:43 *.198.133.105
승완님
작은 사부님 같아요.
올려준 글에서
삶을 시처럼 노래하는 마음을 보았어요.
곱고고운 선한 승완님의 마음이 마음껏 펼쳐지길 기원합니다._()_
프로필 이미지
숲기원
2011.04.19 19:50:22 *.198.133.105
봄소풍 멋져요.
처음 그 소풍제가 만들어봐서 잘알아요.
얼마나 재미있는 것인지?
승완님 기대에 부흥할 수있도록 해야하는데... 미안한 마음이 많아요.
이번모임에는 토요일 선약이있구  일요일에라도 참석할 수있도록 노력할께요.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11.04.19 15:04:03 *.229.151.158
오랜 만에 올라온 기원 님 글을 보고 무척 반가웠어요.
이번 봄 소풍에 오시면 좋겠어요. 5월 28일~29일(토, 일)이에요.
기원 님을 뵐 날을 기대하고 있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1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88
4334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694
4333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696
4332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697
4331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06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09
4329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23
4328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24
4327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25
4326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28
4325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30
4324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32
4323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4
4322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6
4321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37
4320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37
4319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38
4318 케미가 맞는다는 것 [1] 어니언 2022.09.15 740
4317 [수요편지] 미시적 우연과 거시적 필연 [1] 불씨 2023.11.07 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