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1년 5월 20일 07시 49분 등록

상용(商容)은 어느 때 사람인지 모른다. 그가 병으로 눕자 노자가 찾아가 물었다.
"선생님, 제자에게 남기실 말씀이 있으신지요 ? "
 "고향을 지날 때는 수레에서 내리거라"
 "바탕을 잊지 말라는 말씀이시군요"

"높은 나무 아래를 지날 때는 종종 걸음으로 가거라"
"뜻있는 사람을 공경하라는 말씀이군요" 
 
상용은 입을 벌리며 물었다.
"내 혀가 있느냐 ? "
"있습니다"
"내 이가 있느냐 ? "
"없습니다"
"알겠느냐? "
"강한 것은 없어지고, 부드러운 것은 남는다는 말씀이군요."

"천하의 일을 다 말했느니라"
이렇게 말하고 상용은 돌아누웠다.

 홍길동전으로 유명한 허균의 '한정록(閑情錄)'에 실려 있는 이야기를 조금 바꾸어 현대의 의미로 번역해 본 것입니다. 상용은 아마 노자의 스승이었던 모양입니다. 노자가 희미한 역사 속의 인물이니 그 스승은 더 감추어져 있었겠지요. 말은 그 뜻을 전하기 어려우니 상징과 비유로 가르쳐 준 모양입니다. 그냥 말로 했다면 싱거운 가르침이었겠지만 비유의 언어로 치환하니 가슴 속 깊이 각인되어 결코 잊을 수 없는 깨우침이 됩니다. 동양이 그 많은 모호한 비유로 글을 남긴 이유는 필설로 남기려는 순간 그 감동과 섬광이 사라지기 때문에 직접 설명과 묘사를 피하고 그 본질을 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던 것이지요. 그러니 깨닫는 사람은 깨닫고, 아직 준비되지 못한 사람들은 시간을 보내 그 뜻이 자신에게 닿을 때를 기다려야 합니다.

자기경영은 알아듣는 귀를 갖기 위해 마음을 여는 것입니다. 마음이 열리면 귀가 트입니다. 그래서 '마음으로 듣는다'라고 말합니다. 마음으로 듣는 연습으로 가장 좋은 것은 좋은 시를 읽는 것입니다. 시인이 필요 없는 것을 다 버리고 남겨둔 것을 보고 우리는 행간에 숨은 뜻을 찾아내 마음으로 받아들입니다. 이때 시는 살아 숨쉬는 생명체가 되어 내 품에안겨 펄떡입니다. 그리하여 감탄을 공유하고 슬픔을 함께하고, 기쁨을 나누게 됩니다. 살아있는 것이지요.

적게 말하고 깊이 받아들이는 것을 시적 교감이라고 한다면 바로 이 지점에서 시는 자기경영의 정수와 만나게 됩니다. 자기경영이란 본질만 남기고 모든 비본질적인 군살을 덜어냄으로써 직접 마음에 닿으려는 치열한 수련이니까요.  불가에서 행하는 용맹정진의 공부인 선(禪)은 '문자에 기대지 않고, 직접 마음을 겨냥하는 정신'에 기초합니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나는 자기경영이란 선(禪)의 대중적 표현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그것은 치열한 자기 갱신이니까요.

공지사항

6월 4일부터 6일 까지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 진행됩니다. 구본형 소장과 함께 자신의 미래여행을 함께 떠날 분들은 다음을 참고하여 지금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bhgoo.com/zbxe/dream

IP *.160.33.89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11.05.20 12:16:21 *.97.72.237

자기경영이란 선(禪)의 대중적 표현
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그것은 치열한 자기 갱신이니까요.

말갛게 '씻겨진 잎새 사이로 투명한 싱그러움이 펼쳐지는 듯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이철민
2011.05.20 16:47:27 *.160.36.103
오늘 사부님의 가르침에 다시 한번 고개를 숙입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
2011.05.21 05:26:18 *.10.140.89

자기경영은 알아듣는 귀를 갖기 위해 마음을 여는 것입니다. 마음이 열리면 귀가 트입니다. 그래서 '마음으로 듣는다'라고 말합니다. 마음으로 듣는 연습으로 가장 좋은 것은 좋은 시를 읽는 것입니다.

=

그 무엇도 고정적인 것은 없으며, 그 무엇도 당연한 것으로 간주될 수 없다. 모든 것은 자연스레 눈에 띄게 되는데 왜냐하면 모든 것이 가능성이며, 모든 것이 단서이며, 모든 것이 여러분에게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화의 힘..p.97)

=

모든 것이 말하는 것을 마음으로 듣게 되기를 소망해 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