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지깽이
- 조회 수 4838
- 댓글 수 3
- 추천 수 0
상용(商容)은 어느 때 사람인지 모른다. 그가 병으로 눕자 노자가 찾아가 물었다.
"선생님, 제자에게 남기실 말씀이 있으신지요 ? "
"고향을 지날 때는 수레에서 내리거라"
"바탕을 잊지 말라는 말씀이시군요"
"높은 나무 아래를 지날 때는 종종 걸음으로 가거라"
"뜻있는 사람을 공경하라는 말씀이군요"
상용은 입을 벌리며 물었다.
"내 혀가 있느냐 ? "
"있습니다"
"내 이가 있느냐 ? "
"없습니다"
"알겠느냐? "
"강한 것은 없어지고, 부드러운 것은 남는다는 말씀이군요."
"천하의 일을 다 말했느니라"
이렇게 말하고 상용은 돌아누웠다.
홍길동전으로 유명한 허균의 '한정록(閑情錄)'에 실려 있는 이야기를 조금 바꾸어 현대의 의미로 번역해 본 것입니다. 상용은 아마 노자의 스승이었던 모양입니다. 노자가 희미한 역사 속의 인물이니 그 스승은 더 감추어져 있었겠지요. 말은 그 뜻을 전하기 어려우니 상징과 비유로 가르쳐 준 모양입니다. 그냥 말로 했다면 싱거운 가르침이었겠지만 비유의 언어로 치환하니 가슴 속 깊이 각인되어 결코 잊을 수 없는 깨우침이 됩니다. 동양이 그 많은 모호한 비유로 글을 남긴 이유는 필설로 남기려는 순간 그 감동과 섬광이 사라지기 때문에 직접 설명과 묘사를 피하고 그 본질을 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던 것이지요. 그러니 깨닫는 사람은 깨닫고, 아직 준비되지 못한 사람들은 시간을 보내 그 뜻이 자신에게 닿을 때를 기다려야 합니다.
자기경영은 알아듣는 귀를 갖기 위해 마음을 여는 것입니다. 마음이 열리면 귀가 트입니다. 그래서 '마음으로 듣는다'라고 말합니다. 마음으로 듣는 연습으로 가장 좋은 것은 좋은 시를 읽는 것입니다. 시인이 필요 없는 것을 다 버리고 남겨둔 것을 보고 우리는 행간에 숨은 뜻을 찾아내 마음으로 받아들입니다. 이때 시는 살아 숨쉬는 생명체가 되어 내 품에안겨 펄떡입니다. 그리하여 감탄을 공유하고 슬픔을 함께하고, 기쁨을 나누게 됩니다. 살아있는 것이지요.
적게 말하고 깊이 받아들이는 것을 시적 교감이라고 한다면 바로 이 지점에서 시는 자기경영의 정수와 만나게 됩니다. 자기경영이란 본질만 남기고 모든 비본질적인 군살을 덜어냄으로써 직접 마음에 닿으려는 치열한 수련이니까요. 불가에서 행하는 용맹정진의 공부인 선(禪)은 '문자에 기대지 않고, 직접 마음을 겨냥하는 정신'에 기초합니다. 그래서 오래전부터 나는 자기경영이란 선(禪)의 대중적 표현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그것은 치열한 자기 갱신이니까요.
공지사항
6월 4일부터 6일 까지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 진행됩니다. 구본형 소장과 함께 자신의 미래여행을 함께 떠날 분들은 다음을 참고하여 지금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bhgoo.com/zbxe/dream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177 | 내 이름은 왕소군 | 부지깽이 | 2011.06.10 | 4888 |
1176 | 오래된 것으로 승부하라! [3] | 김용규 | 2011.06.08 | 3864 |
1175 | 그 누구도 섬이 아니다 | 문요한 | 2011.06.08 | 4054 |
1174 |
‘소명’의 본질에 대해 생각한다 ![]() | 승완 | 2011.06.07 | 5130 |
1173 | 작업의 기술 [4] | 부지깽이 | 2011.06.03 | 5307 |
1172 | 정원 [3] | 김용규 | 2011.06.01 | 3412 |
1171 | 죽음보다 더 무서운 것 | 문요한 | 2011.06.01 | 4465 |
1170 |
낙관주의와 현실주의를 함께 활용하라 ![]() | 승완 | 2011.05.31 | 5033 |
1169 | 믿음으로 예측을 뛰어넘다. [1] | 신종윤 | 2011.05.30 | 4197 |
1168 | 봄에 와서 봄에 떠난 사람 [12] [1] | 부지깽이 | 2011.05.27 | 5724 |
1167 | 숲학교를 짓기 위한 첫 삽 뜨기 [6] | 김용규 | 2011.05.25 | 3469 |
1166 | 비싼 수업료 [1] | 문요한 | 2011.05.25 | 3574 |
1165 |
소로우의 세 개의 의자 ![]() | 승완 | 2011.05.24 | 7281 |
1164 | 몰두하라. 뜨겁게 타오를 것이다. [5] | 신종윤 | 2011.05.23 | 4569 |
» | 이는 사라지고 혀는 남는다 [3] | 부지깽이 | 2011.05.20 | 4838 |
1162 | 집 [2] | 김용규 | 2011.05.19 | 3350 |
1161 | 당신의 실력이 늘지 않는 이유 | 문요한 | 2011.05.18 | 4474 |
1160 |
무엇으로 나란 존재와 세상을 탐험할 것인가 ![]() | 승완 | 2011.05.17 | 5323 |
1159 | 종말을 잃어버린 종말론자 [2] | 신종윤 | 2011.05.16 | 4238 |
1158 | 삶은 어느 때 시가 되는가 ? [2] | 부지깽이 | 2011.05.13 | 53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