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4402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11년 6월 7일 06시 43분 등록

경영학자인 짐 콜린스가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의 원고를 완성했을 무렵, 그에게 문득 이런 의문이 떠올랐다고 합니다. ‘얼마나 받으면 내가 이 책의 출간을 포기할 수 있을까?’ 바윗길을 달려 올라가 경치를 구경하던 중에 우연히 떠오른 질문이었습니다. 내면의 뭔가가 던진 질문에 그는 다음과 같이 답했습니다.

“지난 5년간을 오로지 이 연구 과제와 씨름하며 이 책을 쓰는 데 모든 것을 바쳐온 걸 감안하면, 이것은 참 재미있는 생각이었다. 이걸 묻어 두도록 나를 유혹할 수 있는 금액이 없진 않겠지만, 1억 달러의 문턱을 넘어설 즈음 아쉽게도 길을 되돌아 내려올 시간이 되었다. 그 엄청난 금액조차도 그 정도면 이 프로젝트를 포기할 수 있겠다는 확신을 주진 못했다.”

이 일화는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의 ‘서문’에 나옵니다. 9년 전에 이 구절을 처음 읽으며 ‘저자가 과장된 느낌으로 책을 홍보하는 건 아닌가’하는 의심과 함께 ‘특이하고 재밌는 서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짐 콜린스라는 사람이 일반적인 경영학자는 아닌 것 같다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2010년 가을 짐 콜린스가 국내 언론과 가진 인터뷰
*에서 나는 콜린스의 존재 이유이자 핵심가치가 무엇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그는 이 인터뷰에서 “제 삶의 원동력은 호기심입니다. 제가 연구 주제를 택할 때도 가장 큰 기준은 길고 고통스러운 작업 과정을 이겨낼 만큼 호기심을 계속 자극할 수 있느냐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제 핵심가치 넘버원은 아까 말씀드린 대로 호기심입니다. 그것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습니다. 다른 무엇을 위한 수단이 아니고요. 제게 호기심은 곧 삶이고, 아침에 일어나는 이유입니다.”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를 비롯하여 그가 쓴 책을 모두 읽고 인터뷰 내용을 보면서 짐 콜린스라는 인물의 소명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동시에 소명의 본질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소명이란 개념은 두 가지 핵심 성분과 본질적인 특성 한 가지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먼저 소명의 핵심 성분은 ‘존재 이유’와 ‘핵심가치’입니다. ‘존재 이유’는 내가 이 세상에 온 이유이자 아침에 일어나는 이유, 즉 삶의 이유입니다. ‘핵심가치’는 내가 살면서 지키고자 하는 내면의 가치이자 양보할 수 없는 의사결정의 기준입니다. 소명의 본질적인 특성은 ‘나를 넘어서는 더 큰 무언가’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소명을 쫓는 사람은 존재 이유를 실현하고 핵심가치를 살릴 수 있는 ‘역할’을 선택하고 그에 헌신합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역할’은 핵심가치와 존재 이유로 이루어진 소명의 외적 표현입니다.

‘마음 편지’가 길어지겠습니다만 짐 콜린스를 사례로 들어 소명에 대해 좀 더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콜린스에게 ‘호기심’은 ‘넘버원 핵심가치’이자 그것이 ‘곧 삶이고’, 그가 ‘아침에 일어나는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호기심’이라는 자신의 소명의 외적 표현, 즉 콜린스가 소명을 실천하기 위해 선택한 역할은 무엇일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의 서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나는 어쩔 수 없는 교육자이다. 그런 까닭에 우리가 터득해 온 것을 전 세계 사람들과 함께 나누지 않는다는 건 생각조차 할 수 없다. 그리고 이 작품을 세상에 내놓는 것도 바로 그런 배움과 가르침의 정신에서다.”

이제 콜린스의 소명에 대해 마지막 질문을 던질 차례입니다. 그의 소명과 연결되어 있는 ‘자신을 넘어서는 더 큰 무엇’에 대한 질문 말입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 역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의 1장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콜린스는
“이 책은 낡은 경제에 관한 책이 아니다. 새로운 경제에 관한 책도 아니다. 나아가 이 책에 소개된 특정 회사, 또는 비즈니스 그 자체에 대한 책도 아니다. 이 책은 궁극적으로는 한 가지, 즉 좋은 것에서 위대한 것으로 도약하는, 시간을 초월하는 원리에 관한 책이다”라고 말합니다. 그의 말은 다음과 같이 이어집니다.

“놀랍게 들릴지 모르지만, 나는 이 책이 본질적으로 경영 연구서라고 생각지 않는다. 근본적으로는 비즈니스 서적이라고도 보지 않는다. 이 책은 그보다는 분야에 관계없이 영속하는 조직을 만들어내는 게 무엇인지를 찾아 나서는 책이다. 나는 위대한 것과 좋은 것, 탁월한 것과 평범한 것의 근본적인 차이를 무척 알고 싶다. 그 블랙박스 안에 발을 들여놓는 수단으로 기업을 이용하게 된 것은 순전히 우연이다. 내가 기업을 선택한 것은 공개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기업이 다른 유형의 조직들과는 달리 연구 대상으로 두 가지 커다란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성과를 정의하는 데 있어 폭넓은 합의가 이루어져 있고(따라서 조사 집단을 엄선할 수 있다), 접근하기 쉬운 데이터가 풍부하다는 것이다.

좋은 것이 크고 위대한 것의 적이라는 것은 단지 비즈니스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문제다.”

짐 콜린스가 앞으로 어떤 역할을 하고, 무엇을 연구하고, 어떤 책을 쓰든지 간에 그 밑바탕에는 호기심이라는 핵심가치와 존재 이유에 기반을 둔 소명이 자리 잡고 있을 거라 나는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의 연구와 그가 수행하는 역할에 짐 콜린스라는 한 개인의 성공이나 안위를 넘어서는 큰 뜻이 자리 잡고 있을 거라 기대합니다. 바로 이 점이 내가 짐 콜린스를 좋아하고 그의 책을 신뢰하는 이유입니다. 그리고 그의 다음 책을 고대하는 이유입니다.

소명이라는 만만치 않은 주제에 대해 한 번도 만나보지 못한 사람을 사례로 들어 이야기했습니다. 사례의 주인공이 연구하는 분야가 비즈니스와 기업이라는 점에서 적합하지 않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더욱이 그의 인터뷰와 책의 내용을 근거로 잡았으니, 근거가 주관적이고 피상적일 수 있습니다. 그런 위험을 감수한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소명이란 것이 현실과 동떨어진 추상적이고 영적인 개념만은 아님을 전하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짐 콜린스의 책에 대한 비판이 적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경영 분야에서 그 정도의 장기적인 프로젝트에 헌신하고 그 만한 신뢰도를 보여주는 전문가와 책을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도 이야기하고 싶었습니다.

                                               * 짐 콜린스 인터뷰 출처 : ‘조선일보 위클리비즈’ 2010년 10월 3일 기사

SW20110607.gif
* 짐 콜린스 저, 이무열 역,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김영사, 2002년
* 홍승완 트위터 : @SW2123

IP *.49.201.165

프로필 이미지
2011.06.07 11:04:56 *.139.110.78
존재이유가 아침에 일어나는 이유라는 것이 새롭게 느껴지네요. 
전에 이 책 한번 보려다 제대로 못 읽었었는데 언제 다시 한번 봐야겠어요.
오늘 글도 역시.... 란 말 밖에 안 나오네요^^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11.06.07 17:41:51 *.49.201.165
아마 연구원 수련 중에 읽을 기회가 올거야.
처음에는 경영서로 읽었는데,
읽다보면 좀 더 폭넓은 관점에서 반추하고 싶어지는 좋은 책이야.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1.06.07 16:54:16 *.220.23.66
좋은 기업에서 위대한 기업으로
좋은 사람에서, 위대한 사람으로
평범한 개체에서, 비범한 인간으로

 호기심,,,
 교육자..
 삶은 질문이구나..

 마음편지가 마음에 와 닿은 것들..
 와우..좋다.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11.06.07 17:42:28 *.49.201.165
우성 형 ^_^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6 이 세상에 내 세상도 하나 있어야 겠다 file [2] 부지깽이 2010.03.26 4393
675 꿈을 핑계로 현재 일에 소홀하지 않기 [3] 박승오 2008.06.23 4394
674 최선의 것이 부패하면 최악이 된다 [3] [1] 부지깽이 2011.04.01 4397
673 [앵콜편지] 하루를 똑같이 다루는 것처럼 부당한 일은 없다 최우성 2013.07.26 4398
672 마음으로 스며들 줄 아는 따뜻한 글쟁이 [5] 부지깽이 2008.10.24 4399
671 친구이자 스승인 사람들, 꿈벗 홍승완 2006.11.20 4400
670 신년 계획을 세우는 법 [1] 구본형 2007.01.05 4400
669 냉정하고 땨뜻한 패러독스 file [4] 구본형 2008.12.12 4400
668 비둘기의 목소리를 들으려면 [1] 부지깽이 2010.10.01 4401
» ‘소명’의 본질에 대해 생각한다 file [4] 승완 2011.06.07 4402
666 이는 사라지고 혀는 남는다 [3] 부지깽이 2011.05.20 4404
665 두려움에 물들지 않는 삶 문요한 2013.07.17 4405
664 나의 진짜 이름은 무엇인가 file [2] 승완 2012.12.25 4410
663 노 젓는 손을 쉬지 마라 [2] 부지깽이 2009.11.06 4420
662 [앵콜편지] 아, 내 가슴에 두 영혼이 살아있구나 최우성 2013.08.16 4426
661 행복한 질문 최우성 2013.01.14 4428
660 부정의 힘(Power of Negativity) 문요한 2007.01.23 4429
659 당신은 이미 시계를 차고 있다 문요한 2011.11.02 4432
658 맹인들의 뜀박질 한명석 2007.01.11 4439
657 낙관주의와 현실주의를 함께 활용하라 file 승완 2011.05.31 4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