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관리자
  • 조회 수 5658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1년 7월 8일 00시 06분 등록

“그는 대단히 사려 깊은 사람이었다. 외모는 중후하고 예의바르고 덕으로 가득 찼다. 초년에는 고통과 유배와 신변의 위협 속에서 지냈으나, 관대한 성향으로 모든 정적을 누르고 민중들에게 큰 인기를 얻어 냈다. 부자였으나 검소하고 소탈했다. 당대를 통틀어 그 만큼 국정에 통달한 사람도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렇게 변화무쌍한 시대에 30년 동안이나 실질적으로 피렌체를 지배할 수 있었다.”

이 말은 ‘군주론’으로 유명한 마키아벨리가 피렌체의 국부 코시모를 묘사한 표현입니다. 실질적으로 메디치가의 기틀을 잡아 창립한 코시모 데 메디치는 아버지 조반니 디 비치의 유언을 늘 잊지 않았습니다. 조반니는 아들에게 다음과 같이 유언했습니다. “공연히 시뇨리아 궁 주위를 어슬렁대지 마라. 다른 사람이 널 주목하게 하지마라. 꼭 사람 앞에 서야한다면 꼭 필요한 곳에만 모습을 보여주어라. 대중의 시선에서 멀어져 있어야 한다. 절대로 대중의 눈에 거슬리는 행동을 하지마라.”

코시모도 그 아버지도 처음 시작하는 자의 겸손과 낮춤을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가문의 부가 커지고 가문의 명예가 높아질수록 시기하고 질투하는 사람은 많아지는 것이 세상의 이치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던 거지요. 그들은 ‘질투야 말로 물을 주지 않아도 쑥쑥 자라는 잡초’임을 잊지 않았습니다.

코시모는 피렌체 시내를 이동할 때 말을 타지 않았습니다. 그는 걸어 다녔고, 꼭 말을 타야 할 때는 당나귀를 탔습니다. 그래야 시민들과 위화감을 줄이고 웃음을 나누고 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는 길에서 사람들을 만날 때 마다 빨간 모자를 벗어 경의를 표했습니다. 또한 자선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평생 피렌체 금화 총 40만 플로린을 기부했는데, 이것은 피펜체의 연간 총소득의 2배에 해당하는 막대한 거액이었다고 합니다. 성지 순례자를 위한 자선 병원을 세우고, 가난한 사람을 위한 자선단체인 ‘산 마르티노의 착한 사람들’이라는 것을 세우고 후원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마음속으로 늘 ‘50년 내에 우리 메디치 가문은 다시 피렌체에서 축출 될 것이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부도 권력도 유한하다는 생각이 그를 겸손하게 했습니다. 실제로 메디치가는 350년을 존속했으나 그 기간 동안 수많은 부침을 거듭해 왔습니다. 메디치가의 승리는 부의 승리가 아니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키워낸 인간과 예술이라는 유산으로 훨씬 더 위대한 일을 해냈습니다. 코시모 데 메디치가 죽었을 때, 피렌체의 한 시인은 “오, 모든 사람의 빛이여, 모든 상인들의 빛나는 귀감이여, 착한 근로자의 참된 친구여”라고 애통했습니다.

자기 경영은 겸손입니다. ‘내가 해 냈다’가 아니라 ‘우리가 함께 해 냈다’라는 겸손과 공헌이 바로 자기 경영인 것입니다. 겸손이 빛입니다. 자기를 들어내는 순간 빛은 사라집니다. 우리는 어려울 때 용기를 내어 소명을 생각하고, 뜻을 얻었을 때 겸손할 수 있을까요?

IP *.49.201.27

프로필 이미지
뎀뵤
2011.07.08 12:42:39 *.157.196.216
"걸어다녀야 사람들과 대화할 수 있다"
피렌체에서 메디치가를 이야기하면서 들었던 말인데.
멋있는 문장이라 메모해 뒀었는데. 마음을 나누는 편지에서 딱 보게 되네요. ^^
조각났던 여행 기억들이 선생님 글을 읽으면서 하나씩 맞춰지는 느낌이 들어 재밌습니다. ㅎ

피렌체에서 들었던 또 하나의 좋은 문장.
"열등감에 넘어지지 않으면 저력이 된다"
혹시 이건 어디서 나온 얘긴지 아세요? ;;; ㅎ
딱 저 문장만 메모 되어 있고 아무런 설명이 없어 찾을수가 없네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6 짐 콜린스의 <위대한 기업은 다 어디로 갔을까> file [3] 승완 2010.08.10 5602
275 사랑 변화경영연구소-홍승완 2006.08.21 5604
274 사람은 해마다 새로 태어나 내가 된다 부지깽이 2012.12.28 5612
273 [수요편지] 목적을 위한 삶, 삶을 위한 목적 [1] 불씨 2024.03.06 5617
272 골목길 2 구본형 2006.07.14 5627
271 하몽으로 멜론을 싸 먹을 때 file 한 명석 2014.09.03 5632
270 미련하고 비현실적인 사람을 위한 질문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2006.08.16 5638
269 아니, 아버지가 내 손을 잡아 주세요 [2] 부지깽이 2012.06.22 5647
268 당신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품고 사는지요? 구본형 2006.06.30 5651
267 여우숲의 목수 형제 김용규 2012.01.05 5652
266 이태백이 놀던 달처럼 file [1] 박승오 2008.09.15 5656
» 코시모 데 메디치 [1] 관리자 2011.07.08 5658
264 여우숲 이야기 4 [1] 김용규 2011.12.08 5659
263 너를 기다리며 나에게 간다 file [5] 박승오 2008.09.22 5661
262 [책과 함께] 모든 나라의 역사는 같다 /피의 꽃잎들 [1] 에움길~ 2024.02.27 5663
261 마흔의 선물, 최 브라더스 최우성 2012.10.01 5665
260 당신의 지상낙원은? file [1] 문요한 2008.10.14 5675
259 디테일을 버려라 - 행복숲 칼럼<15> 변화경영연구소-김용규 2006.07.06 5681
258 진실 게임 file [2] 박승오 2008.09.29 5683
257 묵묵히 길을 가다 file [1] [13] 부지깽이 2011.11.11 5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