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429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1년 7월 12일 01시 20분 등록

<인문학으로 광고하다>의 저자인 박웅현은 가장 창의적인 광고 전문가로 손꼽힙니다. 그런 그에게 많은 사람들이 묻습니다.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가?” 그는 <인문학으로 광고하다>에서 다음과 같이 답합니다.

“누구나 그것을 물어보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뾰족한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질문한 사람에게 오늘 뭐하기로 했는지 되묻습니다. 영화 보기로 했다고 하면, 영화를 잘 보면 된다고 합니다. 또 다른 사람은 집에 가서 미드 본다고 합니다. 그러면 미드 잘 보라고 합니다. 홍대 앞 클럽데이에 간다고 합니다. 그러면 가서 잘 놀라고 합니다. 이게 제 답입니다.”

그의 대답에서 창의성의 재료는 ‘일상’이고, 창의성 키우기의 전제조건은 ‘잘’입니다. 그럼 ‘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먼저 ‘열심히’ 해야 합니다. 열심히 한다는 말이 진부하다면, ‘몰입’해야 한다고 바꿔 표현하고 싶습니다. ‘몰입’이 ‘열심’의 기준이고, ‘몰입’하지 않았다면 열심히 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새롭게’ 인식하는 것입니다. 즉, 새로운 관점으로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고 체험하라는 의미입니다. 이에 대해 박웅현은 ‘여행’을 예로 들어 설명합니다.

“여행할 때처럼 생활하고 생활하는 것처럼 여행을 하면 된다. 우리는 누구나 여행을 할 때 자기도 모르게 안테나를 세웁니다. 그런데 사실은 그 모든 것들이 다 우리가 살고 있는 그곳에도 있습니다. 그것을 볼 생각이 없어서 그런 거지요.”

왜일까요? 왜 우리는 여행에서 ‘안테나를 세우고’ 신선한 자극과 영감을 받는 경우가 많을까요? 낯선 환경이 하나의 이유가 될 것 같습니다. 여행을 통해 새로운 세상과 다른 삶을 볼 수 있고, 그런 환경에서 우리는 내적인 거리를 가지고 자신을 바라볼 수 있습니다. 그럴 때 자신은 전과 다르게 보입니다. 또한 여행은 내적인 반추를 통해 자신의 삶을 이전과 다르게 바라보고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기회를 줍니다. 그게 뭐든 과거에 대한 생각이 달라지면 미래 역시 다르게 바라보게 됩니다. 그렇지만 낯선 환경 속의 세상과 삶도 본질적으로는 나의 일상과 다르지 않습니다. 낯선 삶 속에 내 삶이 보이고, 낯선 그에게서 나의 조각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낯섦 속에서 어떤 공감을 느끼고, 낯섦이 괴상함으로 다가오지 않으며, 낯섦과 익숙함이 공명하는 떨림이 새로운 인식의 문을 열어줍니다. 요컨대 여행은 낯섦과 익숙함의 경계를 걷게 해주고, 이 경계에서 우리는 다르게 보고 생각하게 됩니다.

박웅현은 중증 장애인으로 태어나 고귀한 삶을 산 헬렌 켈러가 쓴 <사흘만 볼 수 있다면>의 내용을 예로 들면서, 창의성을 키우는 방법을 이렇게 요약합니다.
“이것이 비결입니다. 사흘밖에 볼 수 없는 것처럼 세상을 바라보라는 겁니다. 여행할 때 온몸에서 저절로 안테나가 솟아오르는 것처럼 하루하루를 살아가라는 겁니다.” 창의성은 낯선 것에서 익숙한 것을 보고, 익숙한 것을 낯설게 볼 수 있는 능력입니다. 익숙한 것을 새롭게 표현하고, 낯선 것을 익숙하게 표현할 줄 아는 능력 역시 창의성입니다.

‘오늘 아침은 나의 보물입니다’, <인문학으로 광고하다>의 서문 제목입니다. 여기서 박웅현은
“나의 일상은 나의 보물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일상 속에 창의성의 재료가 살아 숨 쉬고 있기 때문입니다. ‘잘’, 그러니까 ‘열심히’ 몰입하고 여행하듯 ‘새롭게’ 인식하고 경험하기만 한다면 말입니다.

SW20110712.gif
* 박웅현, 노창래 저, 인문학으로 광고하다, 알마, 2009년
* 홍승완 트위터 : @SW2123

* 안내
변화경영연구소의 박소라 연구원이 <춤떼라피 프로그램> ‘꿈꾸는 몸, 춤추는 마음’ 7기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몸의 리듬을 통해 자신을 탐구하고, 삶의 주인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분들을 초대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IP *.49.201.14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96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아홉 번째 이야기 [3] 제산 2019.01.21 1091
1195 [화요편지]분명한 건 더 이상 이렇게 살 수는 없다는 것뿐이었다. [3] 아난다 2019.01.22 772
1194 [수요편지] 이 세상에 내 것이 있었던가 [3] 장재용 2019.01.23 1233
1193 <목요편지> 나답게 말하는 법 [2] 운제 2019.01.24 848
1192 [금욜편지 73- 카잔차키스를 읽고- 나의 자유를 찾아서] [4] 수희향 2019.01.25 828
1191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 번째 이야기 [2] 제산 2019.01.28 868
1190 [화요편지] 진짜 삶, 도대체 그게 뭔데? [3] 아난다 2019.01.29 825
1189 [수요편지] 마당에 열린 망고 [2] 장재용 2019.01.30 905
1188 목요편지 - 패자부활전 [5] 운제 2019.01.31 785
1187 [금욜편지 74- 고민하는 힘- 생각과 잡념사이] [2] 수희향 2019.02.01 827
1186 목요편지 - 다시 일상으로 [3] 운제 2019.02.08 754
1185 [금욜편지 75- 소세키의 그 후: 생존력을 기르는 생각하기] [2] 수희향 2019.02.08 806
1184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한 번째 이야기 [2] 제산 2019.02.10 878
1183 [화요편지] 10년 만에 열어 본 타임캡슐 리뷰 [3] 아난다 2019.02.12 846
1182 [수요편지] 오늘 카오산 [2] 장재용 2019.02.13 1183
1181 [금욜편지 76- 강상중을 읽고- 생각이 만드는 나] 수희향 2019.02.15 742
1180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첫번째 편지 [6] 알로하 2019.02.16 766
1179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14. 엄마는 중학교 때 무슨 책 읽었어? [1] 제산 2019.02.18 796
1178 [화요편지] 주시는 대로 받겠습니다. [2] 아난다 2019.02.19 847
1177 목요편지 - 북수꽃이 피었어요 [3] 운제 2019.02.21 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