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672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1년 8월 17일 08시 15분 등록

“건강한 관계의 조건은 까다롭다. 건강한 두 사람이 자신의 개인적 관심사와 자아감을 그대로 지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파트너와도 ‘우리’라는 연대감을 이루며 자신들의 삶에 완전히 새로운 실체를 하나 더 더하기를 원할 때만이 건강한 관계가 가능하다. 그렇다고 개인의 ‘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둘은 하나가 되지 않는다. 그보다는 둘은 셋이 되는 것이다.”

 

- 마릴린 소렌슨의 <자긍심>중에서 -

-----------------------------------------

 

부부갈등으로 인해 상담하는 부부들에게 사랑의 개념을 물어보면 ‘둘이 만나 하나가 되는 것’ 즉, ‘일체감’을 강조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부부란 하나여야 하는데 상대는 비밀도 많고 너무 개인적이라서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불만을 흔히 호소합니다. 부부라면 일심동체가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물론 5월 21일을 부부의 날로 정한 것도  ‘둘이 만나 하나가 된다’는 의미에서 숫자 21일로 정했다고하니 부부관계에서 일체감은 중요한 요소일 것입니다. 

 

 

너는 내가 되고 나는 네가 될 수 있는 그런 관계를 우리는 바라지만 그러나 둘이 만나 우리는 하나가 될 수 있을까요? 혹은 된다고 한다면 그것이 과연 건강한 관계일까요? 정신분석학자 마가렛 말러는 아이를 관찰하면서 육체적 출생과 심리적 출생을 구분하였습니다. 즉, 출생 후로도 아이는 어머니와 심리적 공생관계에 있다가 만 3세가 되어서야 안정적인 어머니상을 내면화하여 개체성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 그 과정은 아이에게 또 하나의 산통에 비할 수 있는데 아이는 공생에 대한 욕구와 독립에 대한 욕구 사이에서 끊임없는 심적갈등을 겪으면서 개별화 즉, 심리적 탄생을 이루어내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아이가 만일 정신적 충격을 받거나 안정적인 어머니상이 내면화되지 않았다면 분리를 상실로 여겨 독립의 어려움을 보이거나 합일에 대한 강력한 욕구를 어른이 되어서도 갖게 되기 쉽습니다. 아무튼 이러한 이중적 욕망간의 갈등은 어른이 되어 연애를 하게 될 때 고스란히 반복됩니다. 즉, 일체감과 독립성에 대한 팽팽한 줄다리기가 계속되는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둘이 만나 하나가 된다(1+1=1)’는 사랑 개념은 공생에 대한 욕구만을 인정할 뿐, 독립에 대한 욕구를 배제하는 외눈박이 사랑일지 모릅니다. 인간적인 조건에서 건강한 관계란 둘이 만나 하나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상처난 마음에서 비롯된 환상입니다. 건강한 관계란 자신의 개인적 관심사와 자아감을 보존하는 가운데 상대와 ‘우리’라는 연결감을 가지는 것입니다. 즉, ‘나’라는 삶에 ‘우리’라는 또 하나의 삶이 더해지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각자의 삶이 있지만 둘이 알고 있는 친구, 둘이 추구하는 목표, 둘이 즐기는 관심사, 둘이 함께 나누는 시간들로 교집합이 만들어집니다. 이는 결국 둘이 만나 하나가 된다기보다 셋이 되는 것이며 합일이 이루어진다기보다 공존하게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로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사랑은 결국 관계를 멀어지게 함으로써 다른 둘로 존재하게 만듭니다. 그러므로 서로 함께하는 영역이 커지면서도 ‘나는 나대로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 공존하는 셋의 사랑이야말로 건강한 어른들의 사랑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사회학자 크리스티안 슐트는 사랑을 '사랑이란 둘이 만나 하나가 되는 것이 아니라, 나와 다른 타인에게서 나의 유일성을 인정받는 것이다.'라고 정의내린 바 있습니다. 

 

 

당신과 연인은 둘이 만나 몇이 되었나요? 


 

- 2011. 8. 17.  '당신의 삶을 깨우는 ' 문요한의 Energy Plus 503호-



link.jpg




IP *.120.20.156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1.08.23 12:08:27 *.237.209.28
부부가 함께 나누면 좋을 글이네요.
남편에게 선배님의 글을 소개하려고 하는데 허락하시겠죠? ^^
프로필 이미지
요한
2011.08.25 10:00:09 *.131.5.196
허락하고말고. 그런데 두 사람을 원으로 나타내면 어떤 모양일까?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1.08.25 15:18:04 *.237.209.28
어려운 질문인데요.  ^^;;
교집합의 농도가 날로 깊어져가는 벤다이어 그램정도가 되지 않을까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6 아주 민감한 고성능 포착 센서 file [5] 구본형 2008.12.26 3638
1075 나는 가난과 결혼했습니다 - 위대한 혁명가 프란체스코 [4] [1] 부지깽이 2011.07.22 3639
1074 여우숲 이야기 1 [4] 김용규 2011.11.17 3639
1073 살아야할 인생은 바로 지금의 인생 file [2] 부지깽이 2009.11.27 3640
1072 당신을 어떻게 알릴 것인가 [1] 문요한 2008.07.22 3641
1071 음악이 주는 선물 [2] 오병곤 2007.10.01 3643
1070 위기가 찾아올 때 대처하는 방법 [2] 오병곤 2007.04.23 3644
1069 아직 죽지 않은 사람으로 살아가지 말라 문요한 2013.05.01 3649
1068 오래된 것으로 승부하라! [3] 김용규 2011.06.08 3653
1067 가르친다는 것의 즐거움 그리고 지난함 [4] 구본형 2007.04.20 3655
1066 여우숲 이야기 3 [2] 김용규 2011.12.01 3658
1065 정신을 가지고 일하는가? 김용규 2013.10.24 3661
1064 인센토 프로젝트 (Incentaur Project) [6] 김도윤 2008.11.13 3662
1063 인터뷰14:OSP 마스터 '제로':진정으로 살아보기 전에는 죽지 말아야 한다 file [1] 단경(소은) 2009.05.26 3665
1062 책 읽는 인생 예찬 file 승완 2013.01.22 3669
1061 끝과 시작 [3] 홍승완 2006.12.25 3671
1060 아버지, 고양이 그리고 양말 한 켤레 박승오 2008.02.11 3671
» 건강한 사랑의 조건 [3] 문요한 2011.08.17 3672
1058 풍만한 여성들을 위한 피트니스 클럽 문요한 2008.01.15 3676
1057 오래 가기의 비밀 [4] 김용규 2012.03.07 3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