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규
- 조회 수 3537
- 댓글 수 2
- 추천 수 0
늦었지만 텃밭에 심어놓은 배추 중에 한 포기. 하루 한 두 번 녀석에게 말거는 일이 참 좋다.
홀로 지내는 사람이 가장 경계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그것은 일상의 균형을 잃는 것입니다. 지향하는 것을 향해 매일 정진하지
않으면 쉬이 나태해지고 지나치게 분방해지면서 여지없이 일상이 엉켜버립니다. 하루하루 숨을 쉬듯 자연스럽게
반복하는 습관을 정하고 그것을 꾸준히 행하지 않으면 삶의 밸런스가 무너지면서 삶에 조금씩 녹이 슬고 맙니다. 올해는
그렇게 일상의 균형이 깨지면서 내 삶 여기 저기에 녹이 슬고 말았습니다. 아마 숲학교 짓는 일에 몸과
마음 대부분을 빼앗겼기 때문일 것입니다. 요즘 말로 삶의 특정한 전략과제에 선택과 집중을 한 탓이라고
스스로를 위로할 수도 있겠지만, 분명하고 또한 중요한 것은 일상이 간결하지 못하고 불편하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일상의 균형이 깨어지자 어느 순간 내면이 불편해지기
시작했습니다. 그것은 영양이 부족하다고 거의 매일 주로 고기만 먹는 생활을 했을 때 느껴지는 몸의 불편함과
비슷했습니다. 이럴 경우 자연스레 채소와 밥이 그리워지는 것과 같은 것이겠지요.
숲학교에 온 마음과 몸을 빼앗겨 일상이 흐트러진 내게는
우선 농사에 대한 그리움이 컸습니다. 조금씩 그리고 꾸준히 책을 읽는 것에 대한 그리움도 컸습니다. 적어도 한 두 시간 고요히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이 숲을 걷는 것도 대단히 그리워졌습니다. 매일 반복되는 일몰 즈음의 기적 같은 숲 풍광을 온전히 몸으로 받아들이는 시간을 갖지 못하는 것이 너무 안타깝고
아쉬웠습니다.
일상이 흐트러져 얼마간 지속되면 바쁘다고 라면만 내리
몇 끼 먹었을 때 느껴지는 속의 불편함 같은 것이 자연스레 느껴집니다. 이때 몸이 자연스레 채소와 밥을
그리워하듯 우리의 내면 역시 잃어버린 것에 대한 그리움을 은근히 가만히 보여줍니다. 흔들리는 자신을
가만히 바라보면 나를 건강하게 이끌다가 멀어진 그 무엇이 차례로 일어섭니다. 다시 일상으로 그 균형을
불러들이라는 신호인 것이지요. 나는 오늘 다시 그 신호를 따르기로 작정합니다.
동네 형수님이 심어주고 가신 배추에 물도 주고, 퇴비로 웃거름도
주며 매일매일 배추에게 말을 걸고 있습니다. 다시 운동도 시작하고, 하루
몇 십 분이라도 꼭 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일몰의 시간에 신발을 신고 마당으로 나서며 누리는 즐거움도
되찾기로 했습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237 | 당신은 사랑을 몇 번 해보았나요? [1] | 문요한 | 2011.09.21 | 3889 |
1236 |
삶이란 죽음 위에 피는 꽃 ![]() | 승완 | 2011.09.20 | 5360 |
1235 | 문명은 모든 살아 있는 사람을 위한 문명이어야 한다 | 부지깽이 | 2011.09.16 | 4383 |
» |
흔들리는 자신 가만히 바라보기 ![]() | 김용규 | 2011.09.15 | 3537 |
1233 | 감정의 굳은 살 | 문요한 | 2011.09.14 | 3831 |
1232 |
개인사를 관통하는 성장과 퇴화의 패턴 ![]() | 승완 | 2011.09.13 | 4625 |
1231 | 그녀는 수수께끼입니다 | 부지깽이 | 2011.09.09 | 5054 |
1230 | 세상은 나를 주저앉게 할 수 없다 [3] | 김용규 | 2011.09.08 | 3499 |
1229 | 갓난아이가 학교를 구하다 [2] | 문요한 | 2011.09.07 | 3848 |
1228 |
인간에 내재해 있는 위대한 힘 ![]() | 승완 | 2011.09.06 | 4659 |
1227 | 그날, 루까의 성벽 위에서 | 부지깽이 | 2011.09.02 | 5212 |
1226 | 농부로 사는 즐거움 몇 가지 [2] | 김용규 | 2011.09.01 | 3586 |
1225 | 당신의 뇌가 가장 뛰어날 때 [1] | 문요한 | 2011.08.31 | 4841 |
1224 |
아시시의 바람이 준 가르침 ![]() | 승완 | 2011.08.30 | 5519 |
1223 |
비둘기의 꿈 ![]() | 신종윤 | 2011.08.30 | 5541 |
1222 | 특별함의 원천 [2] | 부지깽이 | 2011.08.26 | 4578 |
1221 | 끝까지 가자, 끝을 만나게 되리라! [3] | 김용규 | 2011.08.24 | 3536 |
1220 | 세상의 모든 사랑은 불완전하다 | 문요한 | 2011.08.24 | 4453 |
1219 |
르네상스인, 탐구하고 재생하고 자립하는 인간 ![]() | 승완 | 2011.08.23 | 5181 |
1218 | 오늘이 내일을 만든다 | 신종윤 | 2011.08.23 | 43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