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609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1년 9월 21일 08시 12분 등록



“사랑은 강한 동질성을 기초로 확장된다. 말하지 않아도 상대가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으며, 대답하지 않아도 동의하고 있을 거라는 믿음이 그것이다. 하지만 사랑은 서로의 동질성을 확인하기보다는 격렬하고 가슴 아프게 서로의 차이점을 발견하는 과정이다. 사랑하는 사람들은 아리스토파네스의 말처럼 '원래 하나였던 반쪽을 다시 찾은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다른 존재였다.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상대의 방식을 받아들이고 그 차이를 인정하는 것이 사랑의 시작이다.” 

 

- 이 수현의 <사랑의 발견> 중에서 -
--------------------------------------

 

상담을 하면 늘 사랑에 대해 물어봅니다. 그 질문 중에는 사랑의 횟수도 들어있습니다. 질문을 들으면 사람들은 자신을 거쳐 간 상대를 골똘히 헤아려봅니다. 대개는 헷갈려하면서 대강 몇 번이라고 대답합니다. 그 중에는 한 번도 사랑해 본적이 없다고 하는 사람부터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해봤다고 하는 사람까지 무척 다양합니다. 그럼, 다시 묻습니다. 누군가와 사랑했다고 했을 때 그 기준이 무엇인지를.

   

사랑은 연애와 다릅니다. 연애는 열정이 식는 순간 끝나지만 사랑은 연애가 끝나는 순간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연애 기간 동안 우리는 강렬한 하나됨을 경험합니다. 마치 출생 전 뱃속에서 엄마랑 온전히 하나였던 그 시간으로 되돌아간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잠시라도 떨어지기 싫고 변함없이 하나로 이어질 것 같은 마법과도 같은 시간입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마법이 풀리기 시작하면 너무 다른 두 사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서서히 깨닫게 됩니다.  하나일 수 없고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는 순간 사랑은 부정되고 깨집니다. 그리고 어딘가에 있을 자신의 반쪽을 찾아 떠나갑니다. 그러나 이는 사랑의 끝이 아니라 연애의 끝입니다.  

 

진정한 사랑은 ‘하나 됨’의 느낌이 허물어진 자리에서 또 다른 이름으로 다시 피어납니다. 바로 ‘차이의 존중’이라는 이름으로 피어납니다. 서로 다르기에 밀쳐내고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르다는 것을 존중하고 차이와 갈등을 자원화하면서 사랑을 다져갑니다. 그렇기에 누구나 연애를 할 수 있지만, 사랑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당신은 연애가 아닌 사랑을 해본 적이 있나요? 올 가을이 당신에게 연애를 넘어 사랑으로 깊어가는 시간이길 바래봅니다.  

  
 

 
 
 

- 2011. 9. 21.  '당신의 삶을 깨우는 ' 문요한의 Energy Plus 512호-



link.jpg










IP *.120.20.156

프로필 이미지
김유진
2011.09.21 09:52:10 *.32.94.34
아.."사랑"하고 싶어지는 글이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7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700
4334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09
4333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12
4332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16
4331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721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29
4329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35
4328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6
4327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37
4326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8
4325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43
4324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4
4323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44
4322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44
4321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5
4320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47
4319 가족처방전 – 가족은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가 되었나 [2] 제산 2018.09.10 749
4318 목요편지 - 어린시절 두 장면 운제 2018.10.11 749
4317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