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1년 10월 21일 09시 35분 등록


  아르카디아Arcadia는 서구인들이 동경하는 지상의 낙원 중 대표적인 곳 중의 하나입니다. 동양의 무릉도원인 셈이지요. 그  곳은 번잡하지도 화려하지도 않습니다.    풍광이 온화하고 한가로운 삶이 지속되는 곳입니다.   가장 목가적인 풍광의 자연이 펼쳐지지요.     그리스의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아르카디아라는 이름의 지방은 고원지대로 목동들이 양을 치며 사는 곳이었고   매년 음악경연이 벌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별로 볼 것이 없는 곳입니다.      그러다가 로마의 베르길리우스가 아르카디아를 자신의 목가시를 위한 이상향으로 만들어 낸 다음부터 예술가들의 이상향이 되었지요.

프랑스 미술의 고전주의를 만들어간 17세기의 화가 니콜라 푸생 Nicolas Poussin은 '아르카디아의 목동' 이라는 그림을 그렸지요. 그림 속에서 세 사람의 목동은 아르카디아에 서 무덤 하나를 발견하게 됩니다. 그 무덤의 묘비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습니다. "아르카디아에도 나는 있다" 즉, 죽음은 낙원에도 있다는 뜻이지요.   인간은 필멸의 존재라는 것이지요. 

아르카디아에도 나는 있다.jpg

  신화 속에는 아르카디아의 왕인 리카온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 내려옵니다. 그는 매우 포악하고 오만하며 신을 모독하는 자였기에 제우스가 나그네의 모습으로 변장하고 리카온의 궁전을 찾았지요. 신성한 이적을 행했기에 사람들은 그를 신으로 알고 경배했으나 리카온만은 그를 시험하기 위하여 인육(人肉)을 대접했지요. 사람 고기임을 알아 본 제우스는 분노하여 그를 늑대로 만들었습니다. 50명의 아들들 중 49명도 변을 당했습니다. 오직 한 아들만이 화를 면할 수 있었지요. 인육을 먹은 자는 9년 간 이리가 되고, 그 동안 인육을 끊으면 다시 사람이 된다고 합니다. 험한 산세 때문에 늑대인간 전설의 원조 이야기가 만들어진 셈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유토피아와 늑대인간의 전설이 모두 하나의 이름을 가진 지방 아르카디아에서 생겨났다는 것이지요. 그 뜻이 묘합니다. 탐욕과 오만이 지배하면 늑대가 되고, 자제하고 번민에서 벗어나면 다시 사람이 된다는 이야기는 아르카디아란 다른 곳이 아니라 바로 우리 마음 속에 있는 낙원이라는 뜻일 것입니다.   해서는 안되며 넘어서서는 용서 받지 못할 경계를 상징하는 단어가 바로 '인육'입니다.   카다피의 처참한 죽음을 보며, 다른 사람의 눈물과 피가 바로 인육임을 알게 됩니다.   그리고 그것이 하늘 모르는 욕망과 오만 때문이었음을 알게 됩니다.

    자기경영은 마음 속 아르카디아를 찾아가는 것입니다. 그곳에도 죽음은 있으며, '죽음이야 말로 삶이 만들어 낸 가장 훌륭한 발명품'이라는 것을 깨닫는 것입니다.   그 죽음이 삶을 위대한 찰라가 되게 해주는 것이니까요.   필멸의 인간이기에 불멸의 신들 조차 부러워하는 '바로 그때, 그순간'의 삶의 떨림으로 충만한 순간을 가질 수 있으니까요.   오늘이 바로 그 떨림으로 가득한 그 날이기를.

IP *.160.33.29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1.10.21 11:05:56 *.69.159.123
옛날 대학 1학년 때 롱펠로우 의 <에반젤린>을 읽었는데요...그땐 참 감동적이었어요. 
그때 제일 앞장에 이 아르카디아 숲이 나왔어요.
지금도 그 이름을 잊지못하고 있는데.....
오늘 이렇게 원조 아르카디아 이야기를 듣게 되는군요.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96 [화요편지]인요가가 글쓰기를 만났을 때 [2] 아난다 2021.03.30 1152
3095 내가 알고 있는 건 모두 틀렸다 [4] -창- 2017.02.25 1153
3094 [화요편지] 조바심의 자격 [4] 아난다 2021.12.14 1153
3093 [라이프충전소] 외국어를 1년간 매일 하면 얼마나 늘까? 김글리 2023.02.24 1153
3092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양치기의 슬픈 짝사랑이 인류에게 준 선물 file [1] 알로하 2019.05.26 1154
3091 여든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원더우먼에게 재키제동 2017.01.06 1155
3090 텅 비어있어 실상을 보는 눈 [1] 옹박 2017.04.17 1155
3089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규칙을 따를 때와 잊을 때... file [3] 알로하 2020.11.22 1155
3088 참파 단상 file [2] 장재용 2019.03.20 1156
3087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메리 맛있는 크리스마스~^^ file 알로하 2019.12.22 1156
3086 [월요편지 7] 꿈에는 매뉴얼이 없다 file 습관의 완성 2020.05.10 1156
3085 [수요편지] 짙은 라오, 깊은 외로움 [4] 장재용 2019.01.09 1157
3084 2016년 마음편지를 돌아보며 차칸양(양재우) 2016.12.26 1158
3083 [월요편지 6] 나는 도대체 어떤 사람인가? file 습관의 완성 2020.04.26 1158
3082 [용기충전소] 자극과 반응사이, 변화의 길이 있다 김글리 2020.05.14 1158
3081 월급쟁이 무기력 장재용 2020.09.22 1158
3080 바라는 대로 이뤄지는 삶 어니언 2021.07.08 1158
3079 나는 왜 책을 읽는가 [1] 연지원 2016.12.19 1159
3078 내 삶의 희열(bliss)을 찾아서 [1] 옹박 2017.03.20 1159
3077 창업의 첫번째 단추 - 탄탄한 기술 [14] 이철민 2017.03.30 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