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3152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1년 10월 27일 19시 25분 등록

상강이 지났습니다. 이 숲에도 몇 차례 서리가 내렸습니다. 자연스레 대부분의 풀들이 속절없이 스러지고 있습니다. 나뭇잎들 역시 본래 제 빛깔로 물들어 탈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여름철에 충분히 키를 키운 어떤 나무들은 이미 나목이 되어 첫눈을 맞을 준비도 끝내 놓았습니다. 이 즈음은 자연스레 숲 언저리에 핀 꽃향유나 까실쑥부쟁이, 개쑥부쟁이, 산국처럼 오직 늦된 녀석들의 꽃만이 찬란하여 사람과 날벌레들의 발길과 눈길을 사로잡는 시절입니다.

 

숲의 어떠한 생명도 겨울의 출입문인 입동을 앞두고 내리는 이 즈음의 서리를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나는 그것을 느낍니다. 뱀도 동면의 준비를 미리 끝내어 어디론가 찾아들었고, 겨울을 견딜 양식을 이미 구해놓은 꿀벌들도 더는 바깥 출입을 하지 않습니다. 한 해를 살며 싹 틔우고 자라고 이 즈음을 겨냥해 꽃피웠던 수많은 들풀들도 이미 씨앗을 퍼트렸거나 퍼트릴 준비를 끝낸 시점이 이 즈음입니다.

 

냉이나 지칭개처럼 두 해를 사는 녀석들은 이미 싹을 틔워놓은 채로 겨울을 견딜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한편 쑥처럼 한 해를 살고 스러졌다가 다시 그 자리에서 다시 삶을 시작하며 여러 해를 사는 풀들 역시 어느새 새순을 돋우어 차디찬 겨울을 견뎌낼 준비를 마쳤습니다. 이렇게 두 해나 여러 해를 사는 풀들을 볼 때 마다 나는 궁금한 게 있었습니다. 저들이 하필 겨울을 앞두고 싹을 틔워 혹한을 견디는 이유는 무엇일까? 차라리 보다 안전하게 온화한 봄날에 싹을 틔워 자라고 꽃피우는 방식을 택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오히려 씨앗의 상태로 겨울을 건너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것을 저들은 모르는 것일까?

 

그대 생각은 어떠신지요? 저들은 왜 굳이 가을날에 새싹을 틔우고 그 상태로 겨울을 견디는 것일까요? 내가 그들에게 들은 대답은 다음주에 전해드리겠습니다. 그들의 모습에서도, 또는 씨앗의 형태로 겨울을 건너는 녀석들의 모습에서도 나는 희망의 법칙을 보았습니다. 자연이 가르쳐주는 희망의 법칙은 저렴하지 않은 것이니 한 주쯤 뜸을 들였다가 전해보려는 것입니다. 다음 주 시련이 희망에게 하는 말 2 를 기다려 주시기 바랍니다. ^^
IP *.20.202.79

프로필 이미지
2011.10.27 19:27:46 *.20.202.79
편지가 늦었습니다. 어젯밤 편지를 써놓았지만 이제야 올리게 됩니다.
1박 2일 인터넷을 쓸 수 없는 공간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
프로필 이미지
숲기원
2011.11.02 05:57:37 *.120.143.52
기다려도 기다려도 다음글이 보이지않내요? 조급증이 문제인가봐요? ㅎㅎㅎ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96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양치기의 슬픈 짝사랑이 인류에게 준 선물 file [1] 알로하 2019.05.26 1156
3095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메리 맛있는 크리스마스~^^ file 알로하 2019.12.22 1157
3094 [화요편지]인요가가 글쓰기를 만났을 때 [2] 아난다 2021.03.30 1157
3093 [월요편지 6] 나는 도대체 어떤 사람인가? file 습관의 완성 2020.04.26 1158
3092 [화요편지] 조바심의 자격 [4] 아난다 2021.12.14 1158
3091 내가 에코독서방을 하는 이유는 [3] 차칸양(양재우) 2017.05.23 1159
3090 [월요편지 7] 꿈에는 매뉴얼이 없다 file 습관의 완성 2020.05.10 1159
3089 [용기충전소] 자극과 반응사이, 변화의 길이 있다 김글리 2020.05.14 1159
3088 [라이프충전소] 외국어를 1년간 매일 하면 얼마나 늘까? 김글리 2023.02.24 1159
3087 나는 왜 책을 읽는가 [1] 연지원 2016.12.19 1161
3086 참파 단상 file [2] 장재용 2019.03.20 1161
3085 바라는 대로 이뤄지는 삶 어니언 2021.07.08 1161
3084 텅 비어있어 실상을 보는 눈 [1] 옹박 2017.04.17 1162
3083 [수요편지] 짙은 라오, 깊은 외로움 [4] 장재용 2019.01.09 1162
3082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_와인의 나라, 와인을 “먹는” 사람들 2 file [2] 알로하 2019.10.28 1162
3081 욕지 이야기 (2) [1] 장재용 2021.12.07 1162
3080 2016년 마음편지를 돌아보며 차칸양(양재우) 2016.12.26 1164
3079 창업의 첫번째 단추 - 탄탄한 기술 [14] 이철민 2017.03.30 1164
3078 누가 만들었는가? 그들은 누구인가? 이철민 2017.07.06 1164
3077 저항해야 할 대상은 그것이 아니다 김용규 2016.08.11 1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