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535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1년 12월 13일 06시 29분 등록

가장 뜨거운 순간이 지나간 뒤에 더는 참을 수 없어 쏟아지는 빗줄기처럼 시는 제게 그렇게 다가왔습니다. 시가 빗줄기처럼 쏟아져 저를 때리면 저도 그 비를 다 맞았습니다. 치열하지 않으면 시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절절하지 않으면, 가슴을 후벼 파는 것이 아니면, 울컥 치솟는 것이 아니면 시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내 가장 뜨거운 순간이 담겨 있지 않으면, 간절한 사랑과 아픈 소망이 아니면 시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 도종환, <도종환 시화선집 :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詩란 가장 뜨거운 순간

그렇다면

내면에 시가 없을 때 존재는 시들합니다.

시가 없는 삶은 메마릅니다.


내면에 시를 품을 수 있다면

뜨거운 순간이 쌓여 있는 만큼

존재는 싱싱합니다.

치열함과 절절함이 함께 흐르는 삶은 풍요롭습니다.


한 해가 가고 있습니다.

하루의 궤적을 돌아봅니다.

뜨거웠던 순간들을 찾아 올해를 뒤적여봅니다.

옳거니!

몇 개의 장면이 잡힙니다.

그 순간 속에 존재의 골수가 펄떡입니다.


마음이 뜨거워집니다.

남은 열아흐레 동안

가장 뜨거운 장면 하나

가장 아름다운 장면 하나

만들어 보겠습니다.


내게 시인은 시를 쓰는 사람이 아닙니다.

시인의 마음으로 자신과 삶을 갈고 닦은 사람이 시인입니다.

시 같은 삶은 가장 뜨거운 순간을 발견하고 만들고 나누는 삶입니다.


그 길이 내 앞에 운명처럼 패여 있는 길이라면

더욱 가슴 아리고 그것이 내 발길이 데려온 것이라면

발등을 찍고 싶을 때 있지만

내 앞에 있던 모든 길들이 나를 지나

지금 내 속에서 나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오늘 아침엔 안개 무더기로 내려 길을 뭉턱 자르더니

저녁엔 헤쳐온 길 가득 나를 혼자 버려둔다

오늘 또 가지 않을 수 없던 길

오늘 또 가지 않을 수 없던 길

- 도종환, ‘가지 않을 수 없던 길’ 중에서

20111213sw.gif
* 도종환 시, 송필용 그림,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랜덤하우스코리아, 2007년

* 안내
변화경영연구소에서 ‘하루 2시간의 자기혁명 프로젝트’ <단군의 후예> 6기를 모집합니다. 100일간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는 새벽기상 습관화와 새벽활동 수련을 통해 자기실현의 토대를 만드는 자기계발 프로그램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IP *.122.237.1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7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99
4334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09
4333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11
4332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16
4331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720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29
4329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35
4328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6
4327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7
4326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37
4325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43
4324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43
4323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43
4322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4
4321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5
4320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47
4319 목요편지 - 어린시절 두 장면 운제 2018.10.11 748
4318 가족처방전 – 가족은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가 되었나 [2] 제산 2018.09.10 749
4317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