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2013년 3월 18일 09시 53분 등록

카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 (1875~1961)

 

 

1646_~1.JPG

 

출생-사망 1875~1961

원어 Jung, Carl Gustav

직업 정신의학자, 심리학자

국적 스위스

 

 

 

스위스의 케스빌에서 태어나 바젤 대학교와 취리히 대학에서 의학 공부를 했던 정신과 의사이자 분석심리학의 창시자인 카를 융은 의학, 고고학, 신비주의, 철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지니고 있었을 뿐 아니라 인간 정신의 이해에 지대한 공헌을 한

창조적 사상가이다.

 

 

언어학자이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어린시절에는 왕성한 상상력을 마음껏 펼쳤으나 외로움을 떨칠 수 없었다.

어릴 때부터 부모와 교사의 행동을 유심히 살피고 분석하려 했다. 특히 아버지가 종교적 믿음을 잃어가는 것을 걱정하여

자신이 경험한 신을 아버지에게 전하려고 애썼다.

 

 

 

그의 아버지는 많은 점에서 친절하고 참을성 많은 사람이었지만, 두 사람은 서로를 이해하지 못했다.

 

 

 

그의 가족들 중에는 성직자가 많았기 때문에 그 역시 목사가 될 운명인 듯했다.

그러나 그는 10대에 접한 철학, 폭넓은 독서, 소년시절에 느낀 실망 등으로 인해 가문의 전통을 버리고 의학을 공부하여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

 

바젤대학교(1895~1900)와 취리히대학교(1902 의학박사)에서 공부했다.

1900년 그는 취리히대학교 부설 부르크횔츨리 정신병원에서 일했다.

 당시 이 병원의 원장이었던 오이겐 블로일러는 오늘날 정신병의 고전적 연구로 평가되는 심리학적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부르크횔츨리에서 융은 이전의 연구자들이 시작한 연상검사를 매우 성공적으로 응용했다.

그는 특히 자극어에 대한 환자의 독특하고 비논리적인 반응을 연구하여,

그러한 반응이 정서적인 내용이 포함된 일련의 연상 때문에 일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연상들은 불쾌하고, 비도덕적이며, 성적(性的)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의식에서 억제된다.

그는 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지금은 유명해진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정신분열증 연구에 정신분석의 방법을 최초로 적용한 융은 1906년에서 1913년까지 프로이트와 함께 연구 활동을 하기도 했으나

프로이트의 유아 성욕론과 본능적 충동의 강조, 그리고 정신을 개인적 경험에만 한정시킨 것 등에 대해 반대하고 그와 결별하였다.

 

 

대신 융은 개인적 경험뿐만 아니라 종족적인 경험에 의해서도 인격 형성이 영향을 받으며, 성적 욕구보다는 도덕적이며 정신적인 가치관에 의하여 인간의 행동이 결정되기도 한다는 생각 등을 기초로 분석심리학의 이론을 체계화시켰다.

 

 

 

특히 융은 모든 인간의 영혼에는 이른바 <집단 무의식>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통해 인간 정신에 관한 연구에 크게 기여하였다.

개인적 경험과는 상관없이 조상 또는 종족 전체의 경험 및 생각과 연관된 원시적 감정, 공포, 사고, 성향 등을 포함하는 <집단 무의식>의 개념이 등장하면서 이전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신화, 전설, 꿈, 환상 등이 인간 정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각되었다.

 

 

인간의 정신 속에 끊임없이 반복되고 각인된 신화, 전설, 꿈, 환상 등은 어떤 기본적인 인간 상황을 나타내는 <원형>의 이미지라는 융의 생각은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심리학뿐만 아니라 예술과 과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융의 대표적 저술로는 『정신분석의 이론』, 『심리학과 종교』, 『영혼을 찾는 현대인』, 『심리학적 유형』. 『미발견과 자아』 등이 있다

 

 

[B  '내 마음을 무찔러드는  글귀'와 '  C  내가 저자라면'은 첨부 합니다.]

IP *.9.188.10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032 #3 떠남과 만남(장성한) 뚱냥이 2017.04.24 2610
5031 [북리뷰] <강의> 다시 읽기 이선형 2011.02.14 2650
5030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My way [2] 余海 송창용 2007.09.02 2651
5029 [5월 1주차] #2. 낯선 곳에서의 아침_박진희 file [1] 라비나비 2013.05.06 2651
5028 파라슈트_구달리뷰#26 구름에달가듯이 2014.10.19 2658
5027 언제나여행처럼_구달리뷰#41 구름에달가듯이 2015.02.02 2658
5026 북리뷰 49. 프로페셔널의 조건_피터 드러커(청림출판) 박상현 2011.03.06 2659
5025 철학이야기 - 강종희 종종 2014.06.17 2659
5024 #3 떠남과 만남 (윤정욱) 윤정욱 2017.04.23 2659
5023 [신화의 힘-조셉캠벨] Review [2] 손지혜 2008.03.02 2660
5022 26. 깊은 인생, 구본형, 휴머니스트 [2] 강훈 2011.10.25 2661
5021 31. 칼리 피오리나, 힘든 선택들, 해냄 강훈 2011.11.28 2661
5020 열정과 기질 [1] 앨리스 2014.05.26 2661
5019 #22 마흔 세 살에 다시 시작하다 - 이동희 [1] 희동이 2014.09.23 2661
5018 경영의 미래 녕이~ 2014.11.17 2661
5017 #19 - 한시미학산책(이정학) [1] 모닝 2017.08.14 2661
5016 코리아니티 경영, 구본형 [3] 홍현웅 2008.03.15 2662
5015 [05] 인생으로의 두번째 여행 - 알랜 B.치넨 [3] 최지환 2008.05.04 2662
5014 신화의 힘 맑은 김인건 2011.01.10 2662
5013 #25. 영적인 비즈니스(아니타로딕, 김영사) file 땟쑤나무 2013.11.26 2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