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2013년 3월 25일 09시 19분 등록

A . 저자 소개

 

face.jpg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은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이자 분석심리학(分析心理學)의 창시자.

 

1875년 스위스 북동부 작은 마을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고,스위스 바젤 대학 의학부를 나온 뒤 취리히 대학 의학부 정신과의 오이겐 블로일러 교수 문하에 들어갔다. 그곳의 교수직에 있으면서 단어연상검사를 연구하여 '콤플렉스' 학설의 기초를 마련하였고 정신분열증의 심리적 이해와 이에 대한 정신치료를 처음으로 시도했다. 이 당시 프로이트 학설에 접하여 한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파의 핵심인물로 활동하기도 했으나 프로이트의 초기학설인 성욕중심설의 부적절함을 비판하여 독자적으로 무의식세계를 탐구하여 분석심리학설을 제창하기에 이르렀다.

 

 

 

그는 자기자신의 무의식과 수많은 사람들의 심리분석작업을 통해서 얻은 방대한 경험자료를 토대로, 원시종족의 심성과 여러 문화권의 신화, 민담, 동서양의 철학과 사상, 종교현상들을 비교 고찰한 결과, 인간심성에는 자아의식과 개인적 특성을 가진 무의식 너머에 의식의 뿌리이며 정신활동의 원천이고 인류 보편의 원초적 행동 유형인 많은 원형(原型)들로 이루어진 집단적 무의식의 층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모든 사람의 무의식 속에서 의식의 일방성을 자율적으로 보상하고 개체로 하여금 통일된 전체를 실현케 하는 핵심적인 능력을 갖춘 원형 즉, 자기원형이 작동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그의 학설은 병리적 현상의 이해와 치료뿐 아니라 이른 바 건강한 사람의 마음의 뿌리를 보다 깊고 넓게 이해하고 모든 인간의 자기통찰을 돕는데 이바지하고 있으며 , 시대적 문화, 사회적 현상의 심리적 배경을 이해하는 기초로서 정신의학이나 심리학, 신학, 신화, 민담학, 민족학, 종교심리학, 에술, 문학은 물론 물리, 수학등 자연과학에 이르기까지 깊은 영향을 끼쳤왔다.

 

 

융은 심혼(心魂)의 의사(Seelenarzt)로서 자기실현의 가설을 몸소 실천하였을 뿐 아니라 20세기 유럽이 낳은 정신 과학자 중에서 동양사상(東洋思想)을 누구보다도 깊이 이해함으로써 동서(東西)에 다리를 놓았으며, 새 천년(千年)에 인류가 무엇을 보고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제시한 사람이다.

 

 

데이비드 호킨스 박사의 저서에는 프로이드와 융의 의식 수준이 나온다.

프로이드는 499 융은 520으로 측정된다고 한다.

호킨스 박사의 이론은 증명할 수 없는 것으로 사람들의 공격을 받긴 하지만 그를 신봉하는 무리들은 융과 프로이드의

의식 수준이 차이나는 것을 이렇게 설명한다.

 

바로 프로이드는 죽을 때 까지 하느님의 존재를 부정하고 죽었지만 융은 미약하게나마 이렇게 이야기 했다.

 

 

" 카를 융은 죽기 2년전인 BBC 방송과 인터뷰를 했다. 그때 기자가  융에게 신을 믿느냐고 물었다.

수백만의 시청자들은 융이 어떤 대답을  할 것인가 긴장하며 기다렸다.

융이 천천히 대답했다.

 

" 나는 신을 압니다."

 

 

무찔러 드는 글귀와 내가 저자라면은 첨부

 

 

 

 

 

 

 

 

 

 

 

 

       

 

 

IP *.9.188.10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32 조직을 죽이고 살리는 <리더의 언어> 김향숙 2008.04.01 2201
3631 [02]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 조셉 캠벨 [1] 양재우 2008.04.14 2201
3630 [20] 다이앤 애커먼의 <천개의 사랑> - 인용문 먼별이 2009.09.06 2201
3629 칼리 피오리나 -힘든 선택들 효인 2009.09.28 2201
3628 No 33 칼리 피오리나 힘든 선택들 file 미스테리 2013.12.16 2201
3627 소유의 종말(The Age of Access) 이종승 2006.03.19 2202
3626 거인 골리앗을 이긴 소년 다윗- 정재엽 2006.03.28 2202
3625 '금빛 기쁨의 기억' 무엇이란 말인가 도명수 2006.05.26 2202
3624 미완의 시대 [5] [1] 정선이 2007.03.13 2202
3623 사람에게서 구하라 洧村 曺基童 2007.11.21 2202
3622 포트폴리오 인생_발췌 맑은 김인건 2010.10.25 2202
3621 #23. 사기열전(1/2)- 난세의 영웅 file [1] ggumdream 2017.09.11 2202
3620 열정과 기질 - 하워드 가드너 [2] 혜향 2009.05.25 2204
3619 Review 강점혁명 최우성 2010.07.05 2204
3618 북리뷰19.<How to Live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윌리엄 브리지스 [2] 이선형 2010.07.17 2204
3617 <살아남기 위하여> 자크 아탈리 file 박미옥 2010.08.30 2204
3616 영적인 비즈니스 - 아니타 로딕 루미 2011.11.20 2204
3615 세계적 보편성의 한국화&amp;코리아니티 [2] 한정화 2007.03.18 2205
3614 칼리 피오리나 - 힘든 선택들 [1] 정야 2009.09.28 2205
3613 어제까지의 세계 전통사회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것인가? 에움길~ 2014.11.11 2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