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젊은 아빠
- 조회 수 1941
- 댓글 수 1
- 추천 수 0
안녕하세요. 항상 선생님의 글을 통해 살아가는 지혜를 얻습니다. 다른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까 하고 여기 메모를 남깁니다.
<돈에 대해서>
저는 국영업체소속으로 TV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입니다. 직장생활속에서 일에 대한 기본적인 스트레스를 제외하곤 사기업체에 비해 안정적이며 일도 또한 제가 좋아하며 잘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아이들을 낳고 4인가족이 살기엔 넉넉히 않은 막연한 불안함을 지울 수 없습니다. 즉, 일도 좋고 최고가 되고자 노력하며(선생님 말씀대로 본업에서 승부를 걸고자) 일에 집중하고 있다고 생각하나, 수십년까지 정해진 봉급테이블에선 생활의 여유를 찾기 힘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칼럼에선 선생님께선 돈을 위한다면 그곳을 찾아떠나라고 말씀하셨던 같은데, 이곳을 벗어나 훨씬 풍요로운 세상으로 뛰어들순 없습니다. 당장의 생활이 불안한 장미빛보다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하긴 이것이 제 그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제 일을 좋아합니다. 이 본업을 통해 좋은 성과를 받기 원합니다. 그러나 정해진 봉급을 벗어날 수 없으며, 이곳을 벗어날 용기 또한 없습니다. 물론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다고 늘 스스로 생각하고 있으니 오로지 미래 '봉급'에 대한 고민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르바이트? 그러나 본업을 통해 인정받고 싶습니다. 곁눈질 하고 싶지 않습니다. 돈에 대하여 고민하는 젊은 아빠의 생각에 한말씀 부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IP *.232.179.110
<돈에 대해서>
저는 국영업체소속으로 TV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입니다. 직장생활속에서 일에 대한 기본적인 스트레스를 제외하곤 사기업체에 비해 안정적이며 일도 또한 제가 좋아하며 잘할 수 있는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아이들을 낳고 4인가족이 살기엔 넉넉히 않은 막연한 불안함을 지울 수 없습니다. 즉, 일도 좋고 최고가 되고자 노력하며(선생님 말씀대로 본업에서 승부를 걸고자) 일에 집중하고 있다고 생각하나, 수십년까지 정해진 봉급테이블에선 생활의 여유를 찾기 힘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칼럼에선 선생님께선 돈을 위한다면 그곳을 찾아떠나라고 말씀하셨던 같은데, 이곳을 벗어나 훨씬 풍요로운 세상으로 뛰어들순 없습니다. 당장의 생활이 불안한 장미빛보다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하긴 이것이 제 그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제 일을 좋아합니다. 이 본업을 통해 좋은 성과를 받기 원합니다. 그러나 정해진 봉급을 벗어날 수 없으며, 이곳을 벗어날 용기 또한 없습니다. 물론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다고 늘 스스로 생각하고 있으니 오로지 미래 '봉급'에 대한 고민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르바이트? 그러나 본업을 통해 인정받고 싶습니다. 곁눈질 하고 싶지 않습니다. 돈에 대하여 고민하는 젊은 아빠의 생각에 한말씀 부탁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댓글
1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구본형
' 구본형의 칼럼' 212 번에 ' 돈에 대하여'라는 글을 써 두었습니다. 혹시 보셨다면 다시 보시면 좋겠습니다.
가장 높은 확율의 돈벌이는 본업을 통해 버는 길이라고 믿습니다. 가장 높은 투자수익율과 만족을 주는 것이니까요. 무엇을 하든 그 일을 아주 잘하도록 학습하고 전문가가 되세요. 일단 회사 내에서 그, 일을 가장 잘하는 사람이 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잡기 바랍니다. 잘하면 그 보상을 얻게 되어 있습니다. 그 보상의 현태는 다양해요. 예를들면 명예를 얻을 수 있지요, 또 직업의 안정성이 높아져요. 또 하나는 필요한 경우 더 좋은 기회를 찾아 떠날 수 잇는 옵션이 가능하지요. 승진도 따라오지요. 물론 돈도 따라 오겠지요.
내가 알고 건강한 작은 부자들은 몇 가지 원칙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이 안하는 일들에 관심이 많아요. 그러니까 특화하고 차별화 하는 것에 눈독을 들이지요. 그리고 기 일에 오래동안 열심히 매달려요. 최선을 다해서. 그리고 기본적으로 짠돌이예요. 한번 들어 가면 잘 안나와요. 투자의 개념이 확실해요. 말하자면 돈을 쓰는 순간 가치가 떨어지는 것에는 절대로 많이 투자 하지 않아요. 예를들면 자동차같이 갈 수록 가치가 떨어지는 것에는 절대 돈을 쓰지 않아요.
그리고 이건 제 철학입니다. 돈에 대한 기본적 선을 정해 두는 것이 좋아요. 다다익선은 아니라는 것이지요. 먹고 살고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정도에 만족하면 일 자체를 즐길 수 있어요. 말하자면 돈이 일을 잡아 먹지 않는다는 뜻이지요.
특화하고 전문화 하고 그리고 일 맛을 즐기세요. 그러면 자연히 살만 해집니다.
가장 높은 확율의 돈벌이는 본업을 통해 버는 길이라고 믿습니다. 가장 높은 투자수익율과 만족을 주는 것이니까요. 무엇을 하든 그 일을 아주 잘하도록 학습하고 전문가가 되세요. 일단 회사 내에서 그, 일을 가장 잘하는 사람이 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잡기 바랍니다. 잘하면 그 보상을 얻게 되어 있습니다. 그 보상의 현태는 다양해요. 예를들면 명예를 얻을 수 있지요, 또 직업의 안정성이 높아져요. 또 하나는 필요한 경우 더 좋은 기회를 찾아 떠날 수 잇는 옵션이 가능하지요. 승진도 따라오지요. 물론 돈도 따라 오겠지요.
내가 알고 건강한 작은 부자들은 몇 가지 원칙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다른 사람이 안하는 일들에 관심이 많아요. 그러니까 특화하고 차별화 하는 것에 눈독을 들이지요. 그리고 기 일에 오래동안 열심히 매달려요. 최선을 다해서. 그리고 기본적으로 짠돌이예요. 한번 들어 가면 잘 안나와요. 투자의 개념이 확실해요. 말하자면 돈을 쓰는 순간 가치가 떨어지는 것에는 절대로 많이 투자 하지 않아요. 예를들면 자동차같이 갈 수록 가치가 떨어지는 것에는 절대 돈을 쓰지 않아요.
그리고 이건 제 철학입니다. 돈에 대한 기본적 선을 정해 두는 것이 좋아요. 다다익선은 아니라는 것이지요. 먹고 살고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정도에 만족하면 일 자체를 즐길 수 있어요. 말하자면 돈이 일을 잡아 먹지 않는다는 뜻이지요.
특화하고 전문화 하고 그리고 일 맛을 즐기세요. 그러면 자연히 살만 해집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011 | 앞서간 사람이 있기에.. [1] | 조양연 | 2005.08.29 | 1934 |
» | 돈에 대해서 [1] | 젊은 아빠 | 2005.08.26 | 1941 |
1009 | 외적변화에 대한 내적변화의 대응은?? [1] | 김경일 | 2005.08.26 | 2302 |
1008 | 갈림길에서... [3] | lena | 2005.08.24 | 2099 |
1007 | 무엇을 쫓아야할지 모르겠습니다 [1] | 꿈 | 2005.08.24 | 1969 |
1006 | 휘청 휘청 [2] | 영진 | 2005.08.22 | 2076 |
1005 | 역사에 관한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2] | 초롱이 | 2005.08.20 | 2057 |
1004 | 대범해지는 방법은? | 구미경 | 2005.08.19 | 4857 |
1003 | -->[re]대담해지는 방법 [1] | 문요한 | 2005.08.20 | 3943 |
1002 | 사라지고 싶다... | 연기 | 2005.08.19 | 4086 |
1001 | -->[re]선순환 법칙 [1] | 구본형 | 2005.08.21 | 2178 |
1000 | 사자같이 젊은 놈들 [1] | 오영근 | 2005.08.18 | 1873 |
999 |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고민들.. | 마음의 개척자 | 2005.08.16 | 1953 |
998 | -->[re]악세사리/패션관련 업으로 가야지요 [1] | 구본형 | 2005.08.17 | 1921 |
997 | 주관세우기.. | 지니 | 2005.08.15 | 1988 |
996 | -->[re]주관 또렷이 세우기 | 허희영 | 2005.08.17 | 2124 |
995 | -->[re]유연한 마음이 좋아 | 구본형 | 2005.08.17 | 1976 |
994 | 엉망진창 | 이영 | 2005.08.12 | 1870 |
993 | -->[re]엉망진창 ? | 구본형 | 2005.08.14 | 1956 |
992 | 아픈 벗에게 ---- 박노해 [2] | 통찰맨 | 2005.08.04 | 227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