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대중반
- 조회 수 4476
- 댓글 수 22
- 추천 수 0
안녕하세요. 구본형선생님 독자입니다.
저는 나이가 46세 이며, 그동안 IT기업에서 근무하다가 올해 초 퇴직한 상태입니다. 아이는 고1,초2 2명이며, 아파트 1채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퇴직한 상태에서 실업교육중이며, 새로운 직장을 구하고자 하나 현실이 쉽지 않습니다. 늦어도 올해안에는 직장 또는 창업을 해야하나 사실 어떻게 진행해야 할 지 방황하고 있습니다.
1. 지금까지 특별히 저 자신만이 잘 할 수 있는 것을 제대로 확립하지 못한것
같고, 그러나 지금상태에서 계속 공부만 할 수 있는 상태도 아니기에 난감합
니다. 40대 중반인 제가지금 상태에서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좋은지요.
2.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해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현실의 급급함속에서 제대
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추구할 수는 없는것 같습
니다.
3. 가장으로서 어떻게 보통의 사람이 성실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
다.
IP *.115.231.125
저는 나이가 46세 이며, 그동안 IT기업에서 근무하다가 올해 초 퇴직한 상태입니다. 아이는 고1,초2 2명이며, 아파트 1채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퇴직한 상태에서 실업교육중이며, 새로운 직장을 구하고자 하나 현실이 쉽지 않습니다. 늦어도 올해안에는 직장 또는 창업을 해야하나 사실 어떻게 진행해야 할 지 방황하고 있습니다.
1. 지금까지 특별히 저 자신만이 잘 할 수 있는 것을 제대로 확립하지 못한것
같고, 그러나 지금상태에서 계속 공부만 할 수 있는 상태도 아니기에 난감합
니다. 40대 중반인 제가지금 상태에서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좋은지요.
2.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해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현실의 급급함속에서 제대
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추구할 수는 없는것 같습
니다.
3. 가장으로서 어떻게 보통의 사람이 성실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
다.
댓글
2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구직자
구본형 선생님 강의를 들어본 적 있습니다.
강점과 비지니스를 연결하는 것이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씀하시더군요. 그 방법은 아무도 이야기해 줄 수 없습니다. 강점은 자기만 가지고 있는 독특한 기질이기 때문입니다.
저의 경우, 그동안 해왔던 일들을 글로 정리했습니다. 보통 CAR 분석이라고 하는데요. 이거 하시면, 생각보다 본인이 성취했던 일이 그래도 많다는 사실과 어느쪽 성향에 가까운 지 확인가능합니다. 무슨 일을 해야할 지 모르는 이유는 자기를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당신의 파라슈트는 무슨 색깔입니까?'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 번역하신 교수님에게 이야기를 들었는데, 당신은 학생들에게 이 독특한 기질을 발견하는 작업만 시킨다고 합니다 . 그것을 전용성 소질이라고 합니다. 요즘 '트랜스포머'라는 영화가 유행이지요? 전용성 소질은 변신 가능한 자기만의 기질입니다. IT업계에 계셨다고, 그 쪽만 생각하시는 것은 아니겠지요? 40대 중반이면, 관리직쪽으로 포지션을 잡으셔야 겠지만, 직장과 직업은 귀하께서 생각하신 거보다 훨씬 많습니다. 헤드헌터들이 제일 처음 일을 시작할 때, 놀라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분명, 재미있게 할 수 있는 일이 있습니다. 전용성기질을 발견한 사람은 금방 직장을 구합니다. 면접을 보아도 당당합니다. 자기꺼 꺼내서 이야기하기만 하면되니까요.
구본형 선생님 강연 마지막에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청중중에도 귀하와 비슷한 질문을 하신 분이 계셨습니다. 사실 그 질문은 우리 모두의 질문이기도 하지만요.
현실이 중요한데, 과연 그 현실이 무엇인가?
그 말씀 듣고, 먹고 사는 게 현실인지, 나를 펼치는 것이 현실인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후자가 더 근원적인 질문이고, 더 어렵습니다. 어찌보면, 우리가 그렇게 이야기 하는 현실은 또 다른 도피처이지 않을까요?
빨리 1:1 상담을 받으세요. 그리고, 데드라인 한달에서 두 달을 정해놓고, 구직에 올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력서 작성과 면접 스킬도 아셔야합니다. 통과의례입니다. 고생이 되시더라도, 한 번 이 과정을 겪고 나시면,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 지 앞이 보이실 겁니다.
강점과 비지니스를 연결하는 것이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씀하시더군요. 그 방법은 아무도 이야기해 줄 수 없습니다. 강점은 자기만 가지고 있는 독특한 기질이기 때문입니다.
저의 경우, 그동안 해왔던 일들을 글로 정리했습니다. 보통 CAR 분석이라고 하는데요. 이거 하시면, 생각보다 본인이 성취했던 일이 그래도 많다는 사실과 어느쪽 성향에 가까운 지 확인가능합니다. 무슨 일을 해야할 지 모르는 이유는 자기를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당신의 파라슈트는 무슨 색깔입니까?'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 번역하신 교수님에게 이야기를 들었는데, 당신은 학생들에게 이 독특한 기질을 발견하는 작업만 시킨다고 합니다 . 그것을 전용성 소질이라고 합니다. 요즘 '트랜스포머'라는 영화가 유행이지요? 전용성 소질은 변신 가능한 자기만의 기질입니다. IT업계에 계셨다고, 그 쪽만 생각하시는 것은 아니겠지요? 40대 중반이면, 관리직쪽으로 포지션을 잡으셔야 겠지만, 직장과 직업은 귀하께서 생각하신 거보다 훨씬 많습니다. 헤드헌터들이 제일 처음 일을 시작할 때, 놀라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분명, 재미있게 할 수 있는 일이 있습니다. 전용성기질을 발견한 사람은 금방 직장을 구합니다. 면접을 보아도 당당합니다. 자기꺼 꺼내서 이야기하기만 하면되니까요.
구본형 선생님 강연 마지막에 이렇게 말씀하시더군요. 청중중에도 귀하와 비슷한 질문을 하신 분이 계셨습니다. 사실 그 질문은 우리 모두의 질문이기도 하지만요.
현실이 중요한데, 과연 그 현실이 무엇인가?
그 말씀 듣고, 먹고 사는 게 현실인지, 나를 펼치는 것이 현실인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후자가 더 근원적인 질문이고, 더 어렵습니다. 어찌보면, 우리가 그렇게 이야기 하는 현실은 또 다른 도피처이지 않을까요?
빨리 1:1 상담을 받으세요. 그리고, 데드라인 한달에서 두 달을 정해놓고, 구직에 올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력서 작성과 면접 스킬도 아셔야합니다. 통과의례입니다. 고생이 되시더라도, 한 번 이 과정을 겪고 나시면,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 지 앞이 보이실 겁니다.

파란바다
구직자 님이 말씀 하신 것 처럼 상담을 받으시길 권합니다. 모든 게 막막할 때는 뭔가 기준을 수립할 필요가 있고, 우선은 객관적인 도구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도구나 전문가는 나 자신이 아니므로 상담 이후에 그 결과들을 나의 체험으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하겠지요. 아시겠지만 내가 스스로 결심하고 행동하지 않으면 세상은 언제나 그대로 아닙니까?
당신은 당신만의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그 사실을 믿으시고 실망하지 않는다면 다시 시작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세상에 당신을 내보낸 하나님은 실수하지 않으시는 분입니다. 화이팅~ ^^;
물론 도구나 전문가는 나 자신이 아니므로 상담 이후에 그 결과들을 나의 체험으로 바꾸는 작업이 필요하겠지요. 아시겠지만 내가 스스로 결심하고 행동하지 않으면 세상은 언제나 그대로 아닙니까?
당신은 당신만의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그 사실을 믿으시고 실망하지 않는다면 다시 시작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세상에 당신을 내보낸 하나님은 실수하지 않으시는 분입니다. 화이팅~ ^^;

진명식
많은 분들이 좋은 말씀을 많이 해주셨네요.
전 실직을 한 경험이 있어서 님께서 표현하지 못하는 마음속의 조급함, 답답함 그리고 내 자신에 대한 자존감이 더 걱정이 되네요.
정신의 가난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매일의 생활에서 자신을 동기부여하는 시간들을 늘 가지실 것을 제안드립니다.
생활의 리듬을 반드시 지키시면서 자기계발에 관련된 책들과 강연을 참석하시면서 현재의 경영 및 경제관련 책들을 다독해 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제 플래너에 이런 문구가 있네요
"좋은 목재가 되는 나무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 자란다. 바람이 강하면 나무도 강해진다."
좋은 목재로 더듭 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전 실직을 한 경험이 있어서 님께서 표현하지 못하는 마음속의 조급함, 답답함 그리고 내 자신에 대한 자존감이 더 걱정이 되네요.
정신의 가난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매일의 생활에서 자신을 동기부여하는 시간들을 늘 가지실 것을 제안드립니다.
생활의 리듬을 반드시 지키시면서 자기계발에 관련된 책들과 강연을 참석하시면서 현재의 경영 및 경제관련 책들을 다독해 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제 플래너에 이런 문구가 있네요
"좋은 목재가 되는 나무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 자란다. 바람이 강하면 나무도 강해진다."
좋은 목재로 더듭 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한명석
성실하고 책임감 강한 분이라면 더욱더 실직의 상황에서 막막한 것이 이해가 갑니다. 누구나 한번은 거쳐가야 할 인생의 하프타임을 제대로 통과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좋은 책 꼭지에 올려있는 "강점찾기"에 대한 리뷰와 - 책을 읽으시면 더좋고 -
커뮤니티 꼭지의 1576, 1577번, "직장을 나올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구소장님의 강의 요약을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그 다음에는 이론과 원칙을 현실에 펼쳐놓는 것은, 전적으로 우리 자신의 몫이라는 생각입니다.
당면한 상황에 대해 긍정적이고,
하고싶은 일을 구체적으로 이미지를 떠올리시면서,
열정적인 자세로 자신감을 갖고 추구해 나가는수밖에 없지 않을까요.
님의 상황, 그다지 나쁘지 않습니다.
마음먹기에 달렸지요. 모쪼록 기운내시구요. 화이팅!
좋은 책 꼭지에 올려있는 "강점찾기"에 대한 리뷰와 - 책을 읽으시면 더좋고 -
커뮤니티 꼭지의 1576, 1577번, "직장을 나올 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구소장님의 강의 요약을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그 다음에는 이론과 원칙을 현실에 펼쳐놓는 것은, 전적으로 우리 자신의 몫이라는 생각입니다.
당면한 상황에 대해 긍정적이고,
하고싶은 일을 구체적으로 이미지를 떠올리시면서,
열정적인 자세로 자신감을 갖고 추구해 나가는수밖에 없지 않을까요.
님의 상황, 그다지 나쁘지 않습니다.
마음먹기에 달렸지요. 모쪼록 기운내시구요. 화이팅!

나도 마흔 중반
위에 말씀하셨듯 그러하신 것을 느낍니다. 열심히 살고자 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데다가 나눔과 도움을 원천적으로 품고 있는 분들이 이렇게 많이 계시거든요.
마흔 중반... 너무 눈물겨운 나이입니다. 눈부시게 찬란해야 하는, 그러나 아쉽기도 하다면 다시금 궤도를 수정하여 힘차게 나아가야 하는 것이지요. 그 마흔을 치열하고 성공적으로 살아내시며 어제 오늘 내일을 그리시고 체화하며 써가시는 산 증인, 바로 우리와 똑같은 실체가 여기 계시기에 우리 함께 모인 것이 아니겠습니까.
님께 약간의 동질감을 느낀다면 저도 그렇게 많은 이의 의견을 묻고, 불투명한 자신과 세상살이에 대해 조언을 구한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가 찾고 구하는 만큼의 진심어린 충고를 아끼지 않았기에 저는 여기에 남아있습니다. 어떻게 무슨일을 하며 아름다운 이곳을 함께 지켜나갈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있지요. 저보다 훨씬 능동적이고 구체적으로 행동에 옮기실 수 있으시리라 믿습니다. 수위를 잘 조절하시어 단단히 여미고 집중하여 나가실 수 있기를 저와 같은 심정으로 바랍니다.
얻어 듣는 것보다 훨씬 많이 절실하게 구하십시오. 그리고 지금 아니면 언제 이렇게 살아보랴, 이제까지의 모든 경험과 신념이 펄펄 끓어오르고 그야말로 추호의 한 방울의 아쉬움도 남지 않도록 애써 달려나가시길 바랍니다. 그런 연후에 또 우리의 뒤를 밟아오는 후배님들에게 할말이 있고 나눌 여유가 생길 수 있도록 기어이 살아보자고요. 열정이 많으신 것을 느낍니다. 그렇다면 그렇게 살아야하지요. 잘 해내실 겁니다. 다만 얼마만큼이냐 이겠지만 판단->실행->집중하여 계속하여 나간다면 무엇이 문제겠습니까. 달리자 꿈! 이름 석자 휘날리며 거세게 차오르자. 이렇게 살다가 죽는 것 절대 후회없도록. 아자!! 화이팅!!!
P.S 중년의 참여가 많은 것을 저는 의미있게 생각합니다. 경험을 토대로 실질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님과 같은 분들의 참여가 실로 많은 일을 해나갈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저의 바람에 동조하시나요?
마흔 중반... 너무 눈물겨운 나이입니다. 눈부시게 찬란해야 하는, 그러나 아쉽기도 하다면 다시금 궤도를 수정하여 힘차게 나아가야 하는 것이지요. 그 마흔을 치열하고 성공적으로 살아내시며 어제 오늘 내일을 그리시고 체화하며 써가시는 산 증인, 바로 우리와 똑같은 실체가 여기 계시기에 우리 함께 모인 것이 아니겠습니까.
님께 약간의 동질감을 느낀다면 저도 그렇게 많은 이의 의견을 묻고, 불투명한 자신과 세상살이에 대해 조언을 구한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모두가 찾고 구하는 만큼의 진심어린 충고를 아끼지 않았기에 저는 여기에 남아있습니다. 어떻게 무슨일을 하며 아름다운 이곳을 함께 지켜나갈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있지요. 저보다 훨씬 능동적이고 구체적으로 행동에 옮기실 수 있으시리라 믿습니다. 수위를 잘 조절하시어 단단히 여미고 집중하여 나가실 수 있기를 저와 같은 심정으로 바랍니다.
얻어 듣는 것보다 훨씬 많이 절실하게 구하십시오. 그리고 지금 아니면 언제 이렇게 살아보랴, 이제까지의 모든 경험과 신념이 펄펄 끓어오르고 그야말로 추호의 한 방울의 아쉬움도 남지 않도록 애써 달려나가시길 바랍니다. 그런 연후에 또 우리의 뒤를 밟아오는 후배님들에게 할말이 있고 나눌 여유가 생길 수 있도록 기어이 살아보자고요. 열정이 많으신 것을 느낍니다. 그렇다면 그렇게 살아야하지요. 잘 해내실 겁니다. 다만 얼마만큼이냐 이겠지만 판단->실행->집중하여 계속하여 나간다면 무엇이 문제겠습니까. 달리자 꿈! 이름 석자 휘날리며 거세게 차오르자. 이렇게 살다가 죽는 것 절대 후회없도록. 아자!! 화이팅!!!
P.S 중년의 참여가 많은 것을 저는 의미있게 생각합니다. 경험을 토대로 실질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님과 같은 분들의 참여가 실로 많은 일을 해나갈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저의 바람에 동조하시나요?

40대 중반
의견주어 참으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저도 대기업부터 시작해서 벤쳐기업까지 직장을 계속 연결시켜 왔으나, 이제 한계상황에 도달했는지 직장 구하기도 참으로 어렵습니다.
직장을 이동하면서 기본적으로 저의 잘못이 크다고 보며, 직장을 이동한 것중의 상당한 부분은 그냥 직장을 연결시키기에 바빴다고 보여집니다. 대기업 근무하다가 소규모 회사 근무해 보니 참으로 어렵더군요. 눈높이를 낮추어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솔직히 막상 상황에 부딪히니 참으로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더군요. 잘 버텨내야 하는 것도 알고 있지만 말입니다. 저도 예전 직장 다닐때가 좋다는 생각을 하고 하지만 지금은 직장 자체가 구하기도 힘들더군요. 그런데 또한 창업을 할려고 해도 어렵구요. 시간은 가고, 또 눈높이 더 낮추어서 들어가고, 반복적인 것, 참으로 이런 고리를 어떻게 탈출할 수 있을까요. 참으로 애석합니다.
직장을 이동하면서 기본적으로 저의 잘못이 크다고 보며, 직장을 이동한 것중의 상당한 부분은 그냥 직장을 연결시키기에 바빴다고 보여집니다. 대기업 근무하다가 소규모 회사 근무해 보니 참으로 어렵더군요. 눈높이를 낮추어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솔직히 막상 상황에 부딪히니 참으로 여러가지 어려움이 있더군요. 잘 버텨내야 하는 것도 알고 있지만 말입니다. 저도 예전 직장 다닐때가 좋다는 생각을 하고 하지만 지금은 직장 자체가 구하기도 힘들더군요. 그런데 또한 창업을 할려고 해도 어렵구요. 시간은 가고, 또 눈높이 더 낮추어서 들어가고, 반복적인 것, 참으로 이런 고리를 어떻게 탈출할 수 있을까요. 참으로 애석합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251 | 유독한 부모. [7] | 우주 | 2007.07.24 | 3793 |
1250 | 구본형선생님께 묻고싶습니다. [3] | 전장아 | 2007.07.24 | 3681 |
1249 | 조언 부탁합니다. [7] | 40대 중반 | 2007.07.20 | 3121 |
1248 | 29살 선택의 갈림길에 서있습니다 [2] | 20대후반 | 2007.07.19 | 4019 |
1247 | 인생의 갈림길에서 선택은 [2] | 40대 중반 | 2007.07.19 | 3271 |
1246 | 재취업과 창업사이에서 갈등 [2] | 40대 중반 | 2007.07.19 | 3654 |
1245 | 안나 이야기 [1] | westlife | 2007.07.18 | 3134 |
1244 | 하루하루 태양보다 더 빛나기를 [7] | 구직자 | 2007.07.18 | 3265 |
1243 | 남이 알아주지 않아 불행하다 [4] | 행복이란 | 2007.07.16 | 3415 |
1242 | 공부가 어려워요~ [5] | @햇살 | 2007.07.14 | 3693 |
1241 | 직장을 관둬야합니까? [5] | 무명씨 | 2007.07.13 | 3610 |
1240 | 재취업과 징검다리 [8] | 구직자 | 2007.07.13 | 3678 |
1239 | 지금 이 시점에서 해야 할일이란? [9] | 40대 중반 | 2007.07.12 | 3112 |
» | 새로운 인생출발을 위한 구체적 방법 [22] | 40대중반 | 2007.07.11 | 4476 |
1237 | 꿈을 향한 과정을 구체화 하는 법.. [3] | 검은별 | 2007.07.10 | 3642 |
1236 | 상담 부탁드립니다. [5] | hippo | 2007.07.09 | 3220 |
1235 | 용기가 필요해요. [3] | 이하나 | 2007.07.09 | 3342 |
1234 | 삶이 두렵습니다. [4] | 빛나고 싶은이` | 2007.07.09 | 3610 |
1233 | 구직자에서 성인아이로 [5] | 성인아이 | 2007.07.09 | 3565 |
1232 | 글쓰기를 체계적으로 배워보고 싶어요 [2] | 이른 아침 | 2007.07.07 | 28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