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요한
- 조회 수 5120
- 댓글 수 1
- 추천 수 0
“나를 넘어서는 더 커다란 것에 대한 그리움과 지향성을 갖지 못하면 우리의 정신은 고양될 수 없다. 평범함은 아직 개화하지 않고 숨어 있는 위대함에 대한 다른 말이다. 평범함이 깨져야 위대함이 발아한다.”
- 구 본형 著 <깊은 인생> 중에서 -
----------------------------------------------------
봄비가 흠뻑 내립니다. 산길을 걷습니다. 여기저기 물 흐르는 소리가 아우성입니다. 바다를 꿈꾸는 물방울들이 서로 모여 물길을 만들어내는 소리입니다. 이 물줄기들이 모여 내를 이루고 강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흐르는 물은 힘이 있습니다. 자갈을 움직이고 산을 깎아 내고 평야도 만들어냅니다. 흐르는 물은 깊어갑니다. 그 깊이가 깊을수록 큰 배가 떠다닙니다. 하지만 아무리 큰 물줄기라도 더 낮은 곳을 향해 흘러가지 않는다면 고이거나 마를 수밖에 없습니다. 고인 물은 모래 한 알 움직일 수 없고, 얕은 물은 종이배 하나 띄울 수 없습니다.
구 선생님의 <깊은 인생>을 읽다가 한 곳에 멈춰섭니다. 평범한 한 인간이 언제 위대함으로 나아가는 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그 분기점은 한 사람이 큰 것을 이룰 때가 아니라 자신의 힘으로 이룬 것을 나누어 주기 시작할 때 시작됩니다. 정말 가난하고 초라한 것은 나누지 않는 삶입니다. 물방울로 존재하는 삶은 아무리 커지더라도 결국 고이고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작은 물방울이라도 물줄기를 이루어 함께 흘러간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깊어집니다.
책을 보며 구 선생님의 삶을 생각해보니 인생도 그렇습니다. 자신보다 큰 것에 헌신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몸집을 불린다고 하더라도 결국 축소된 삶에 불과하고 잊혀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물방울들이 바다를 꿈꾸게 되면 거대한 물길이 만들어지듯이 자신을 넘어서는 삶을 꿈꾸면 커다란 흐름이 만들어 집니다. 그 꿈길이 삶도 바꾸고 사회도 변화시키게 됩니다. 그리고 그 꿈길 위에 수 많은 사람들이 다시 크고 작은 꿈들을 띄워냅니다.
인생의 어느 순간 나를 넘어서는 그리움과 지향성을 찾을 때 우리의 인생은 비로소 흐르기 시작합니다. 흐르는 인생은 점점 깊어지고 위대해집니다. 그리고 그 인생은 결코 과거로 되돌아갈 수 없고, 그 고양된 정신은 결코 낮아지 않습니다. 바다가 다시 강으로 흘러갈 수 없는 것처럼.
- 2013. 5. 29. 당신의 마음을 깨우는 '문요한 에너지 플러스' 678호-
페이스북으로도 에너지 플러스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QR 코드를 클릭해서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657 |
시인의 시선을 배운다 ![]() | 승완 | 2013.06.04 | 3665 |
1656 |
당신을 위하여! ![]() | 최우성 | 2013.06.03 | 3371 |
1655 | 사랑한다 사랑한다 [추모 앵콜편지] [1] | 최우성 | 2013.05.31 | 3603 |
1654 | 껴안고 살기 [1] | 김용규 | 2013.05.30 | 4053 |
» | 깊은 물에 큰 배 뜬다 [1] | 문요한 | 2013.05.29 | 5120 |
1652 |
양자역학 100년의 드라마 ![]() | 승완 | 2013.05.28 | 5791 |
1651 | 유일한 기회 [4] | 최우성 | 2013.05.26 | 3150 |
1650 | 내게 15분만 적선하시오 [추모 앵콜편지] | 부지깽이 | 2013.05.24 | 5338 |
1649 | 희망의 순환법칙 : 실패에게 절망을 허하지 말라 | 김용규 | 2013.05.23 | 5607 |
1648 | 자신의 생각을 비판하고 있는가 [1] | 문요한 | 2013.05.22 | 4805 |
1647 |
양자론과 인간의 세계관 ![]() | 승완 | 2013.05.21 | 9432 |
1646 | 공감이라는 씨앗 | 최우성 | 2013.05.19 | 4052 |
1645 | 바쁨사이의 텅빈 공간 [추모앵콜편지] | 최우성 | 2013.05.18 | 4992 |
1644 | 주변을 물들이고 싶을 때 알아야 할 자연원리 [1] | 김용규 | 2013.05.16 | 4600 |
1643 | 왜 모든 공을 잡으려고 하나? | 문요한 | 2013.05.15 | 4861 |
1642 | 경계를 걷는 사람 [1] | 승완 | 2013.05.14 | 3730 |
1641 | 사랑한다는 말 [1] | 최우성 | 2013.05.13 | 3764 |
1640 | 골목길2 [앵콜편지] | 부지깽이 | 2013.05.10 | 4417 |
1639 | 절망, 못이 되어 걸음을 꺾으려 들 때... [1] | 김용규 | 2013.05.09 | 4514 |
1638 | 위너인가, 루저인가? | 문요한 | 2013.05.08 | 49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