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792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6월 6일 17시 06분 등록

 

층층나무 꽃이 만개했다가 사위는 지금 숲은 마치 영화 이웃집토토로의 배경이 되는 담녹색 숲을 연상시킵니다. 멀리서 보면 숲 가장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커다란 나무와 나무 사이의 빈 공간이 깊고 깊은 바다 속처럼 검푸른 빛입니다. 그 속으로 걸어들어가면 틀림없이 이곳과는 다른 놀랍고 신비로운 세계를 만날 것 같은. 밤이 되자 그 커다란 숲 구멍은 칠흑처럼 어두운 영역으로 바뀝니다. 61일에 처음 딱 한 마리 나타났던 반딧불이가 이제는 제법 여러 마리로 늘어나 그 어둠 속을 유영합니다.

 

사흘간 도시를 떠돌다가 잔뜩 피로를 묻히고 여우숲으로 돌아온 나는 어제 아주 긴 시간 동안 숲의 낮과 밤을 응시하고 있었습니다. 졸음이 쏟아지면 이따금 꾸벅꾸벅 졸았고 가까이 다가와 지저귀는 노랑할미새 소리에 깨어나 또 숲에 젖어들었다가 또 졸기도 하면서. 그러던 중 바다가 컹컹컹컹 큰 소리로 짖어대며 어둔 숲 구멍 속으로 달려가는 소리를 듣고 놀랐습니다. 졸고 있던 의자에서 벌떡 일어나 바다를 뒤따라 달려가는 산의 동선을 살폈습니다. 저 숲에 무엇이 있을까? 녀석들이 무엇을 보고 저렇게 흥분하여 달려간 것일까? 아무리 주의 깊게 살펴도 내 눈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숲 마루를 달리는 두 녀석의 발자국 소리만 들려오다가 멀어질 뿐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았습니다. 흔히 개는 색맹이라고 하는데 저 녀석들은 내가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구나 새삼 느껴지는 밤이었습니다.

 

아 맞아! 신이 인간에게 주지 않은 빛의 영역이 있었지. 신이 만든 빛 중에서 인간은 겨우 가시광선의 영역만을 볼 수 있는 것이었지. 자연 상태에서 우리는 적외선과 자외선의 영역을 볼 수가 없어. 새가 보는 빛, 곤충이 볼 수 있는 빛을 우리는 볼 수가 없어. 빛만이 아니지, 소리도 그렇지. 저 녀석들이 듣는 소리의 영역 중에 내가 들을 수 없는 영역이 있지. 돌고래가 나누는 소리, 박쥐가 소통하는 소리의 대역을 나는 들을 수가 없는 존재야. 나는 겨우 그렇게 무수한 생명 속에 극히 작은 일부인 인간일 뿐이야.

 

그래 정말 우리 인간은 다시 겸손해져야 해. 인간을 만물의 영장이라 선언한 누군가의 말이 얼마나 가당치 않은가 생각해 보아야 해. 자연을 자원이요 통제 가능한 대상으로 삼아온 우리 문명의 사유와 방식이 얼마나 신의 뜻을 자의적으로 헤아린 것인지 성찰해 보아야 해. 나는 빛과 소리를 생명 저마다가 나누어 보고 들을 수 있게 한 신의 뜻이 무엇일까 생각하는 밤을 보내다가 백오산방으로 돌아와 잠을 청했습니다. 홀로 있는 시간이 이래서 참 좋지... 생각하다가 깊은 잠에 빠진 하루를 보냈습니다.

IP *.20.202.74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6 피해자가 되지 말고 해결자가 되라 문요한 2008.01.22 3036
1675 단순함으로 나아가고 있는가 [3] 문요한 2010.12.22 3040
1674 지금 시들고 있나요 [2] -창- 2013.10.19 3040
1673 직장을 내 인생 반전의 기회로 삼아라 [3] 오병곤 2007.12.24 3041
1672 상황을 다시 설계하라 [1] 신종윤 2010.07.12 3041
1671 겨우 인생의 맛을 알기 시작한 것이다 [4] 박미옥 2013.10.25 3041
1670 '피어난 봄'을 만난 겨울여행 김용규 2013.12.26 3041
1669 약점을 극복하는 지혜 문요한 2009.12.16 3042
1668 더 이상 예전처럼 살 수 없을 때 [1] 문요한 2008.04.22 3044
1667 개척자에게 요구되는 것 김용규 2010.08.26 3044
1666 두려움을 다루는 가장 좋은 방법 김용규 2009.05.14 3045
1665 용기 있는 사람 [4] 김용규 2010.05.27 3046
1664 이것을 또 어디에 적용할 수 있을까? 문요한 2008.01.08 3047
1663 시작하지 않았더라면 결코 알 수 없는 기쁨 하나 [1] 구본형 2008.05.02 3047
1662 약점의 보완 보다 재능의 활용이 중요하다 file [2] 승완 2010.01.19 3049
1661 삶의 전환기에 읽으면 좋은 책 file [6] 승완 2010.03.02 3049
1660 울음으로 시작한 세상, 웃음으로 끝내라 [1] 문요한 2008.04.08 3050
1659 첫 번째 욕심 [3] 김용규 2011.03.31 3050
1658 약초는 밭에서 자라지 않는다 문요한 2008.06.03 3051
1657 늙어도 늙지 않는다 마리아 아줌마 구본형 2009.04.24 3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