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차탁마
- 조회 수 3494
- 댓글 수 7
- 추천 수 0
"우리는 살아가는 동안 이름과 가면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그리고 결국 가면이 바로 우리의 본질이었음을 알게 된다."
- 옥타비오 빠스 Octavio Paz
어제와 오늘 사이에 공백을 만들어 어제의 관성이 오늘에 미치지 않도록 하여 오늘을 새롭게 시작하는 ‘starting point’를 만드는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한 단절을 통해 일상적인 흐름에 여백, 공간을 만들고 며칠동안 덜 먹으며 생각을 집중해, 실천을 시작하는 계기로 만들어 보고자 한 것이다.
서로가 서로에게 스승이 되어 '나는 도대체 어떤 종류의 사람인가?', '나는 뭘 하고 싶은가?' 등 자신에 대한 퍼즐을 풀어 보고자 시도하였으며, 그 여정의 결과로 어제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출발선에서 내 앞에 펼쳐질 아름다운 미래를 회고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모색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다.
프로그램 참가를 결정한 것은 적절한 타이밍timing에 이루어진 적절한 선택이었다.
아쉬운 점은 나름대로 한바탕 꿈을 꾸었으되, '호접몽(胡蝶夢)'...꿈에 나비가 되어 즐기는데, 나비가 장자인지 장자가 나비인지 분간하지 못하는 개인적인 안타까움은 여전히 많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아직은 설익고 미숙한 꿈을 '숙제는 제출되어야 한다'는 기특한 생각에 모자란 글을 올리게 되었지만, 이후 명징한 꿈이 완성되는 날 이 게시판을 통하여 다시 한번 그 꿈을 펼쳐보일 것임을 스스로에게 약속한다.
1. 직업관
자아실현과 나와 세상과의 소통의 場이자 여유로운 삶을 위한 경제적 활동,
아울러 공동체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일.
2. 직업의 선택기준
1) 즐거워야 한다.
2) 세계와 끊임없는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하여야 한다.
3) 가족과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충분한 수입이 있어야 한다.
4)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일에 공헌하는 일이어야 한다.
3. 기질·재능·경험
1)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지는 일에 강하다.
2) 일상적인 일에서 다양성을 추구하는 일, 끊임없는 변화를 안겨주는 일을 즐긴다.
3) 내적인 경험이 활발하고 매혹적이다.
4) 현금과 자산의 흐름에 대한 파악이 빠르다.
4. 마음에 드는 직업
1) ?
2) Knowledge Trader
5. Vision of job (slogan)
Creation of Something Special Culture
6. 10 great scenery of 10 years (미래에 대한 회고)
Hope set your dream on Reality,
and change the scars of your past
Into beautiful vestiges.
- T.S. Eliot
1) 걷고, 뛰고, 오르고, 춤추고, 무엇보다도 환하게 웃는 법을 다시 배웠다.
2) 2006년 2월 구본형 소장님과 함께 남미 여행을 다녀 왔다. 예상했던 대로 여행은 즐거웠으며 나에게 세상을 보는 새로운 안목을 더해 주었다. 칠레 와인 농장의 푸르고 너른 풍경과 그 농장이 자랑하는 와인 맛을 잊지 못한다. 내 입 속으로 남미의 태양과 바람, 향기가 밀려들어 맴돌다 기대감으로 헐떡이는 목구멍 속으로 부드럽게 넘어갔다. 칠레는 woman, weather, wine의 3W 나라라고 알려져 있는데, 그 중 woman은 나에게 그림의 떡이었으나, weather과 wine은 참으로 멋진 것이었다. 와인을 마신 후, 농장 테라스 소파 위에 누워 달콤한 낮잠을 즐겼다. 눈을 떴을 때, 세상은 잠시 멈춘 듯 고요하게 묘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었고, 그 순간 나는 내 삶이 계속해서 멋지게 펼쳐지리라는 걸 예감했다. 이러한 경험은 이후 10년간 매년 동참했던 구본형 소장님과의 여행에서 계속 되풀이 된다.
3) 2007년 초,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으로써 두 해 동안 꾸준히 내공을 쌓은 결과인 책이 나오게 되었다. 비록 아직은 미숙한 성과물이라고 할지라도 내 이름으로 된 최초의 책이다. 신기했다. 이후 나는 ‘변화’, ‘역사’, ‘영화’, ‘자아실현’, ‘중국’, ‘재테크의 철학’, 그리고 ‘문화의 힘’ 등을 주제로 여러 종의 책을 발간하였으며, 대부분 독자들로부터 아주 좋은 반응을 얻었다.
4)
5)
6)
7)
8) 2013년 그 동안 벌어들인 수익을 바탕으로 문화적 sponsoring을 위한 Cafe와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겸한 복합문화공간을 운영하게 되었다. 이러한 Cafe와 영화관을 운영하는 것은 나의 오랜 꿈이었다. Open하는 날, 구본형 소장님을 모시고 강연회 및 세미나 등을 성황리에 개최하였으며, 이후 文人들을 초청하여 ‘시집발표회’, ‘작가사인회’등을 열어 문인과 일반독자들간의 교류와 소통을 지원하고, 좋아하는 음악가들을 초청하여 작은 음악회를 개최, 많은 이들과 함께 멋진 연주를 숨죽이며 지켜보는 경험을 나누기도 하였다. 좋은 것, 아름다운 것은 더불어 나눌 때 그 빛을 더한다. 좋아하는 영화를 취사선택하여 간판으로 내 걸었으며, 몇 번이고 공짜로 접할 수 있는 영화 관람을 바탕으로 영화에 관한 책을 발간하였다. 잘 팔렸다. 이로써 나는 일종의 'Knowledge Trader'라는 직함을 명함에 새겨넣을 수 있었다.
9) 2015년 드디어 가칭 ‘문화국가 발전을 위한 연구’를 위한 연구소 설립 기금을 조성하였다. 김구 선생이 말했던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 위한 문화의 힘’이라는 개념이 늘 궁금했다. 선생이 말씀하셨던 문화란 어떤 형태의 것인지, 그러한 문화를 어떻게 갖추어 나갈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문화를 어떻게 힘으로 구현해 내고 지속시켜 나갈 수 있는지가 언제나 궁금했던 것이다. 문화(文化)를 ‘진리를 구하고 끊임없이 진보·향상하려는 인간의 정신적 활동, 또는 그에 따른 정신적·물질적인 성과를 이르는 말’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면, 그러한 정신적 활동과 물질적인 성과를 학술적으로, 생활실천적으로 각각의 범주마다 규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피터 드러커는 앞으로의 시대는 제조업이 아닌 문화에서 그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이라고 지적했는데, 그 예견은 지금 시대에 얼추 들어맞고 있는 분위기이다. 문제는 그러한 문화 컨텐츠를 우리 안에 어떻게 생성하고, 끊임없이 발전시켜 나가느냐 하는 데 있을 것이다. 우리의 잠재력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문제를 연구하고 풀어내야 한다. 우리가 상식적· 합리적으로 진리를 구하고 끊임없이 진보·향상하려 한다면, 또 그에 따른 정신적·물질적 성과를 이루어 낸다면, 그 때 우리는 어떠한 내부적 갈등이나 외부적 압력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이며 인류의 보다 나은 미래와 문화에 기여하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를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꿈의 실현이다.
10) 지난 10년은 2005년 1월 ‘내 꿈의 첫 페이지’ 프로그램에 참석하여 내 꿈의 첫 페이지 초안을 마련한 후 그 꿈을 확고히 뿌리내리게 한 멋진 세월이었다. 지금 나는 내 마음에 드는 일을 하고 있으며 세상과 더불어 끊임없이 소통하고 교류한다. 나는 분명 행운아이다. 이제 다시 내부의 힘과 기를 모으고 추슬러 지난 세월 꾸준히 연마해 온 내공을 바탕으로 향후 10년간의 또 다른 미래를 준비할 때이다. 그간 틈틈이 준비해 두었던 계획을 토대로 하여 또 하나의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세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천 가지 방식이 남았고, 또 한번의 주사위를 던질 때가 되었다. 설레는 마음을 어찌 할 수 없다. *^^*
7. 1st steps in 1st year
1주일: 내 꿈의 첫페이지 resume2(미완성본) 작성
15일 :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직 지원을 위한 life story 작성
1개월: ?
3개월: ?
6개월: ?
1년 : '내 꿈의 첫페이지' 완성
IP *.161.127.214
- 옥타비오 빠스 Octavio Paz
어제와 오늘 사이에 공백을 만들어 어제의 관성이 오늘에 미치지 않도록 하여 오늘을 새롭게 시작하는 ‘starting point’를 만드는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먹고 사는 문제’에 대한 단절을 통해 일상적인 흐름에 여백, 공간을 만들고 며칠동안 덜 먹으며 생각을 집중해, 실천을 시작하는 계기로 만들어 보고자 한 것이다.
서로가 서로에게 스승이 되어 '나는 도대체 어떤 종류의 사람인가?', '나는 뭘 하고 싶은가?' 등 자신에 대한 퍼즐을 풀어 보고자 시도하였으며, 그 여정의 결과로 어제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출발선에서 내 앞에 펼쳐질 아름다운 미래를 회고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모색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다.
프로그램 참가를 결정한 것은 적절한 타이밍timing에 이루어진 적절한 선택이었다.
아쉬운 점은 나름대로 한바탕 꿈을 꾸었으되, '호접몽(胡蝶夢)'...꿈에 나비가 되어 즐기는데, 나비가 장자인지 장자가 나비인지 분간하지 못하는 개인적인 안타까움은 여전히 많이 남아있다는 것이다. 아직은 설익고 미숙한 꿈을 '숙제는 제출되어야 한다'는 기특한 생각에 모자란 글을 올리게 되었지만, 이후 명징한 꿈이 완성되는 날 이 게시판을 통하여 다시 한번 그 꿈을 펼쳐보일 것임을 스스로에게 약속한다.
1. 직업관
자아실현과 나와 세상과의 소통의 場이자 여유로운 삶을 위한 경제적 활동,
아울러 공동체문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일.
2. 직업의 선택기준
1) 즐거워야 한다.
2) 세계와 끊임없는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가교 역할을 하여야 한다.
3) 가족과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충분한 수입이 있어야 한다.
4) 아름다운 사회를 만드는 일에 공헌하는 일이어야 한다.
3. 기질·재능·경험
1)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지는 일에 강하다.
2) 일상적인 일에서 다양성을 추구하는 일, 끊임없는 변화를 안겨주는 일을 즐긴다.
3) 내적인 경험이 활발하고 매혹적이다.
4) 현금과 자산의 흐름에 대한 파악이 빠르다.
4. 마음에 드는 직업
1) ?
2) Knowledge Trader
5. Vision of job (slogan)
Creation of Something Special Culture
6. 10 great scenery of 10 years (미래에 대한 회고)
Hope set your dream on Reality,
and change the scars of your past
Into beautiful vestiges.
- T.S. Eliot
1) 걷고, 뛰고, 오르고, 춤추고, 무엇보다도 환하게 웃는 법을 다시 배웠다.
2) 2006년 2월 구본형 소장님과 함께 남미 여행을 다녀 왔다. 예상했던 대로 여행은 즐거웠으며 나에게 세상을 보는 새로운 안목을 더해 주었다. 칠레 와인 농장의 푸르고 너른 풍경과 그 농장이 자랑하는 와인 맛을 잊지 못한다. 내 입 속으로 남미의 태양과 바람, 향기가 밀려들어 맴돌다 기대감으로 헐떡이는 목구멍 속으로 부드럽게 넘어갔다. 칠레는 woman, weather, wine의 3W 나라라고 알려져 있는데, 그 중 woman은 나에게 그림의 떡이었으나, weather과 wine은 참으로 멋진 것이었다. 와인을 마신 후, 농장 테라스 소파 위에 누워 달콤한 낮잠을 즐겼다. 눈을 떴을 때, 세상은 잠시 멈춘 듯 고요하게 묘한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었고, 그 순간 나는 내 삶이 계속해서 멋지게 펼쳐지리라는 걸 예감했다. 이러한 경험은 이후 10년간 매년 동참했던 구본형 소장님과의 여행에서 계속 되풀이 된다.
3) 2007년 초,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으로써 두 해 동안 꾸준히 내공을 쌓은 결과인 책이 나오게 되었다. 비록 아직은 미숙한 성과물이라고 할지라도 내 이름으로 된 최초의 책이다. 신기했다. 이후 나는 ‘변화’, ‘역사’, ‘영화’, ‘자아실현’, ‘중국’, ‘재테크의 철학’, 그리고 ‘문화의 힘’ 등을 주제로 여러 종의 책을 발간하였으며, 대부분 독자들로부터 아주 좋은 반응을 얻었다.
4)
5)
6)
7)
8) 2013년 그 동안 벌어들인 수익을 바탕으로 문화적 sponsoring을 위한 Cafe와 멀티플렉스 영화관을 겸한 복합문화공간을 운영하게 되었다. 이러한 Cafe와 영화관을 운영하는 것은 나의 오랜 꿈이었다. Open하는 날, 구본형 소장님을 모시고 강연회 및 세미나 등을 성황리에 개최하였으며, 이후 文人들을 초청하여 ‘시집발표회’, ‘작가사인회’등을 열어 문인과 일반독자들간의 교류와 소통을 지원하고, 좋아하는 음악가들을 초청하여 작은 음악회를 개최, 많은 이들과 함께 멋진 연주를 숨죽이며 지켜보는 경험을 나누기도 하였다. 좋은 것, 아름다운 것은 더불어 나눌 때 그 빛을 더한다. 좋아하는 영화를 취사선택하여 간판으로 내 걸었으며, 몇 번이고 공짜로 접할 수 있는 영화 관람을 바탕으로 영화에 관한 책을 발간하였다. 잘 팔렸다. 이로써 나는 일종의 'Knowledge Trader'라는 직함을 명함에 새겨넣을 수 있었다.
9) 2015년 드디어 가칭 ‘문화국가 발전을 위한 연구’를 위한 연구소 설립 기금을 조성하였다. 김구 선생이 말했던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 위한 문화의 힘’이라는 개념이 늘 궁금했다. 선생이 말씀하셨던 문화란 어떤 형태의 것인지, 그러한 문화를 어떻게 갖추어 나갈 수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문화를 어떻게 힘으로 구현해 내고 지속시켜 나갈 수 있는지가 언제나 궁금했던 것이다. 문화(文化)를 ‘진리를 구하고 끊임없이 진보·향상하려는 인간의 정신적 활동, 또는 그에 따른 정신적·물질적인 성과를 이르는 말’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면, 그러한 정신적 활동과 물질적인 성과를 학술적으로, 생활실천적으로 각각의 범주마다 규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피터 드러커는 앞으로의 시대는 제조업이 아닌 문화에서 그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이라고 지적했는데, 그 예견은 지금 시대에 얼추 들어맞고 있는 분위기이다. 문제는 그러한 문화 컨텐츠를 우리 안에 어떻게 생성하고, 끊임없이 발전시켜 나가느냐 하는 데 있을 것이다. 우리의 잠재력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문제를 연구하고 풀어내야 한다. 우리가 상식적· 합리적으로 진리를 구하고 끊임없이 진보·향상하려 한다면, 또 그에 따른 정신적·물질적 성과를 이루어 낸다면, 그 때 우리는 어떠한 내부적 갈등이나 외부적 압력에도 쉽게 무너지지 않을 것이며 인류의 보다 나은 미래와 문화에 기여하는,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를 이룩할 수 있을 것이다. 꿈의 실현이다.
10) 지난 10년은 2005년 1월 ‘내 꿈의 첫 페이지’ 프로그램에 참석하여 내 꿈의 첫 페이지 초안을 마련한 후 그 꿈을 확고히 뿌리내리게 한 멋진 세월이었다. 지금 나는 내 마음에 드는 일을 하고 있으며 세상과 더불어 끊임없이 소통하고 교류한다. 나는 분명 행운아이다. 이제 다시 내부의 힘과 기를 모으고 추슬러 지난 세월 꾸준히 연마해 온 내공을 바탕으로 향후 10년간의 또 다른 미래를 준비할 때이다. 그간 틈틈이 준비해 두었던 계획을 토대로 하여 또 하나의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세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천 가지 방식이 남았고, 또 한번의 주사위를 던질 때가 되었다. 설레는 마음을 어찌 할 수 없다. *^^*
7. 1st steps in 1st year
1주일: 내 꿈의 첫페이지 resume2(미완성본) 작성
15일 :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직 지원을 위한 life story 작성
1개월: ?
3개월: ?
6개월: ?
1년 : '내 꿈의 첫페이지' 완성
댓글
7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52 | 3월의 계획-스스로를 돕자 [3] | 류비셰프 | 2005.03.02 | 3617 |
51 | 노마디즘에 나타난 줄탁동기 [6] | 절차탁마 | 2005.03.01 | 3610 |
50 | 2월의 역사, 그리고 꿈 [3] | 류비셰프 | 2005.02.28 | 3036 |
49 | 청주에서의 두 번째 줄탁동기 [3] | 염구섭 | 2005.02.28 | 3245 |
48 | 내꿈, 10년의 이야기 [6] | 바람의사나이 | 2005.02.24 | 3433 |
47 | 나의 꿈 10년 그림(작성 중) [2] | 흐르는강 | 2005.02.22 | 3525 |
46 | 내 꿈의 첫 페이지 (부제:내 꿈을 찾아서) [5] [1] | 염구섭 | 2005.02.16 | 3575 |
45 | -->[re]어떤 기고 [4] | 알 밖의 줄탁동기 | 2005.02.18 | 3676 |
44 | 3년간 펼쳐질 꿈찾기 여행 [9] | 유주 | 2005.02.14 | 3630 |
43 | -->[re]3년간 펼쳐질 꿈찾기 여행 지도 [1] | 알밖의 줄탁동기 | 2005.02.18 | 3048 |
» | 나비의 꿈 [7] | 절차탁마 | 2005.02.08 | 3494 |
41 | 나의 직업, 나의 미래 | 류비셰프(박노진) | 2005.02.07 | 4991 |
40 | 한가지 더 추가로 해보렵니다 [5] | 더불어 | 2005.02.07 | 3341 |
39 | 영혼이 있는 경제자립투자파트너 [10] | 흐르는강 | 2005.02.07 | 3531 |
38 | 꿈(1) [1] | 생애설계전문가 | 2005.02.05 | 3339 |
37 | 천재의 말이 통하는 미국 [1] | 더불어 | 2005.02.03 | 3615 |
36 | 나만의 방식으로 [2] | 생애설계전문가 | 2005.02.01 | 3413 |
35 | 놀다 왔으여!! | 생애설계전문가 | 2005.01.25 | 3341 |
34 | 포항 회동 후 과제물 [3] | 구본형 | 2005.01.18 | 4154 |
33 | 나이 마흔의 복권 당첨 이야기 [5] | 쓰러짐을 택하자 | 2004.12.30 | 43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