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최우성
  • 조회 수 464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6월 14일 08시 31분 등록

3년을 품으면, 뼈를 소화시켜 내 놓을 수 있다

 

중국 장강의 중류에 동정호가 있다. 이 아름답고 커다란 호수는 수많은 신화와 전설의 무대이기도 하다. 전설적인 성군 요임금의 시대에 이곳에 커다란 구렁이 한 마리가 나타났다. 이 구렁이의 이름은 파사(巴蛇)인데, 어느 날 코끼리 한 마리를 삼켰다. 그리고 3년간을 소화시키고 그 뼈를 내 놓았다. 이 구렁이 파사는 어찌나 컸던지 죽은 후, 뼈만 남게 되자, 그 뼈가 산언덕을 이룰 정도였다. 동정호 근처에 가면 지금도 파릉이라는 지역이 있는데, 이 언덕이 바로 파사의 뼈로 이루어진 언덕이라고 한다.

 

나는 커다란 구렁이 파사의 이야기를 동양 신화 속 최고의 명궁 예(羿)의 영웅담 속에서 찾아내었습니다. 영웅 예가 천하를 돌며 온갖 종류의 괴물을 퇴치하여 백성들의 아픔을 구하는 이야기 속에 이 큰 뱀 파사는 예에 의해 죽게 되는 괴물 구렁이로 등장합니다. 짐작컨대 코끼리를 삼킨 파사뱀은 코끼리를 소화시키는 3년 동안은 백성을 해치지 않았겠지요 ? 이미 가득 뱃속에 먹이를 넣고 소화시키고 있었을 테니까요. 그러면 예에 의해 죽임을 당하지도 않았겠지요. 오히려 영험한 신물이 되어 사람들을 도와주기도 했을 겁니다. 그랬다면 희생자가 아닌 자신의 영웅담 하나를 만들어 낼 수도 있었을 텐데요.

 

자기경영은 오랜동안의 소화입니다. 뱃속에 넣고 품고 앉아 3년을 소화시켜 그 뼈를 뱉어 낼 수 있으면 이미 그 큰 코끼리가 녹아 더 큰 뱀으로 바뀐 것입니다. 자기경영도 그렇습니다. 천직이 될 만한 커다란 코끼리 한 마리를 덥썩 문 다음 천천히 뱃속으로 밀어넣고 소화시켜가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턱뼈가 돌아가고 숨이 턱턱 막힐 지도 모릅니다. 그렇게 전념하여 3년을 소화하여 뼈를 뱉어 낼 때 쯤이면 옛날의 그 뱀은 사라지고 새로운 더 큰 파사뱀이 되는 것입니다. 어린 왕자 속에 나오는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처럼 말입니다.

 

(2010.6.4)

 

[공지]

*  6월 19일(수) “나를 세우는 4가지 기둥” 이라는 주제로,

성장 상담사 정예서 연구원이 진행하는 힐링 토크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성찰과 치유, 성장에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http://www.bhgoo.com/2011/513799#1

 

* 7월까지 구본형 선생님의 금요 앵콜편지를 연장합니다.

  -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

 

 

IP *.30.254.2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47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98
4334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09
4333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11
4332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15
4331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717
4330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26
4329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35
4328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6
4327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36
4326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7
4325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42
4324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42
4323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43
4322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4
4321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5
4320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47
4319 목요편지 - 어린시절 두 장면 운제 2018.10.11 748
4318 가족처방전 – 가족은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가 되었나 [2] 제산 2018.09.10 749
4317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