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tampopo
  • 조회 수 3778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3년 6월 17일 11시 51분 등록

 

칼럼2-3. 신화

--- 끝나지 않은 길

(The Unending Journey )

 

1. 천복 발견-그윽한 행복감 (몇 장의 이미지들)

2. 대극(맞섬)-그곳에서 한판 뜨다(분노의 까르마)

3. 자각(깨다)-깨달음의 생명수를 마시다(경외와 순종)

4. 신화만들기-웅녀의 변신이야기(나의 신화 제의)

  

                            

 

                                                                                                                      서은경 쓰다 (2013.06.17.)

 

 

 

                                                              *      *       *

 

                              깨달음의 생명수를 마시다 

 

 

 

 

 * 

모든 경험은 그것을 그저 바라보는순간, 깨달음을 준다.

경험이 자신에게서 떨어져나가 객관화 되면, 나의 눈앞에는 패턴처럼 반복하는나의 어떤 모습이 영상처럼 흘러간다.

 

특히 낯선 환경, 예측불허의 상황이 펼쳐지는 공간에 나를 가져다 놓으면 더욱 선명하게 내가 보이기도 한다. 짐 보따리를 크게 싸고 오랜 기간 먼 길을 떠나는 여행은 짐을 싼 크기만큼, 자신의 묵은 자아'도 한 짐 떨쳐 버리고 돌아올 수 있는 좋은 기회다.

우리는 끝없는 여행길에서 자신의 내면으로 향하는 길, 다시 사랑하는 누군가에게 돌아가는 길, 이 세상과 눈 맞추는 방법을

터득하는 길을 찾아 나간다.

 

 

 

 **

딸과의 인도 타지마할 여행은 나에게 큰 깨달음을 주었다.

아무런 도움을 받을 수 없는 객지의 낯선 상황 속에서 나의 몸에 붙어있는 묵은 행동 패턴을 발견한 것이다. ‘분노!’ 내가 무엇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없을 때마다 자주 일어나는 내 감정의 패턴이었다. 무언가 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나는 그 상황에 불편함을 느끼며 늘 분노라는 감정이 습관처럼 올라오고 있었던 것이다. 나에게 그 분노라는 감정이 마치 딱 맞는 옷을 입은 듯 너무도 자연스럽게 내 몸에 착 감겨있어서, 그간 나는 분노의 여신이 나를 지배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자각하지 못했다. 나는 그녀에게 휘둘리며 사랑하는 사람과 이 세상과 늘 한바탕 전쟁 치룰 태세로 살아왔던 것이다.

 

나는 사회생활, 결혼생활을 하면서 내 마음을 들여다보지 못하여 산전수전 공중전을 치루며 너무도 애를 쓰고 산 것이다. 내 마음대로 하고 싶어서. 못내 그리워하며 수 십 년을 기다려서 도착한 그 곳, 아름다운 타지마할 앞에서 나는 하마터면 제대로 구경 한번 못하고 돌아서는 어리석음을 저지를 뻔하였다.

 

 

타지마할 문 앞에서 한바탕 아수라장을 만들며 인도인 그들을 이해할 수 없어 하고 있을 때, 딸아이가 내가 말했다.

 

엄마, 그냥 비디오카메라 안 찍으면 되잖아요. 저 사람들이 말에 따르면 되잖아요.”

 

딸아이의 그 말에, 나는  뒤통수를 맞는 듯 나의 상황과 모습이 보였다.

내가 수많은 인도인 앞에서 동물원 원숭이 꼴이 되어 있었다.

내 아이 앞에서 떼를 쓰며 어린애 같은 행동을 하고 있었다.

 

못난 내 모습을 발견하자  그 순간 극도의 쪽팔림이 밀려왔다. 

엄마인 내가 부끄러웠다.

 

 

나는 모두가 바라듯  나를 꺾고 그곳의 법칙을  따라야 하는 순간이었다.

로마에 가면 로마의 법을 따르라는 말이 있듯이, 어떤 상황과 장소에서 우리는 순종할 줄 알아야 한다.

하지만 나는 안 되면 되게 하라는 정신으로 늘 삶을 살아왔기에 그곳에서 억지에 가까운 고집을 부리며

분노 패턴을 반복하고 있었다.

 

 

 

***

나는 늘 차분하고 평화로워 보이는 인도인들에 무장해제(?) 당했다.

그 상황에서 나를 구원해준 내 딸의 자그맣고 보드라운 손을 꼬옥 잡고,  아직도 분노의 여운이 남아 약간은 씩씩거리며

인도인, 그들이 만든 아름다움의 극치, 타지마할 앞으로 한 걸음 두 걸음 다가갔다.

 

 

아 타지마할이여......

점 점 점 점 내게 다가온다.

 

  하얀 타지마할.jpg

 

 

찬란한 순백색의 반짝거림...

 

 벽면 장식(측).jpg       문양,손.jpg

 

 

나는 어느새 '몰아지경'에 빠져 타지마할의 아름다운 자태에 머리를 조아리고 있었다.

거대한 자연 앞에서 경외감을 느끼며 자아가 위축되듯, 인간이 만든 위대한 예술품, 타지마할 앞에서

나는 '내가 없어짐'을 경험하고 있었다.

 

 

언제 내가 길길이 날 뛰며 분노하기라도 했나요?‘

 

 

 

****

나는 타지마할을 볼 때마다 그윽한 행복감을 느낀다.

 

내 안의 예술적 재능을 자극하는 타지마할!

색채와 공간 배치에 대한 나의 욕구는 타지마할을 볼 때마다 이름 모를 자신감으로 차오른다.

 

 

또한 나는 내가 사랑하는 타지마할 앞에서

깨달음의 생명수를 마셨다.

반복하던 분노의 까르마()를 내려놓고 경외하며 순종을 배웠다.

 

 

 타지마할 사건 이후, 나는 내 안에 일어나는 분노의 감정을 바라 볼 수 있었고

인도를 다녀온 뒤,  내 안의 분노의 여신은 점점 힘을 잃어갔다.

 

 

나는 타지마할 사진을 늘 내 가까이에 둔다.

내  창조적  에너지가 소진되거나 분노의 감정이 밀려올 때

사진을  꺼내 본다.

 

 요즘 나는  '환타지적 색채와 신나는 공간미'가  가득한 

생생히 살아있는 ' 집 한채'를 구상 중이다. 

 

아마도 그 집은

벽돌 놓고 외장 칠하며

나의 글로 지어질 것이다.  

 

 

 

 

 

(끝) 

 

 

 

IP *.58.97.136

프로필 이미지
2013.06.17 16:32:49 *.1.160.49

모든 경험은 그것을 그저 바라보는순간, 깨달음을 준다.

 

깊이 공감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6.19 11:48:17 *.58.97.136
^^ 총회때 봐요♥
프로필 이미지
2013.06.17 19:18:18 *.62.164.20
아름다운 공간이 저에게도 느껴지네요.

분노와 친구되는 연습, 저도 하고 있습니다. ^_______^.
프로필 이미지
2013.06.19 11:47:19 *.58.97.136
분노에너지를 잘 다스려서 창조에너지로^^
프로필 이미지
2013.06.19 07:48:02 *.46.178.46

어떤 상황과 장소에서 우리는 '순종'할 줄 알아야 한다....


공감이 가면서도, 공감하기 싫어지는 말.....

예전엔 순종하며 살아온 듯 한데, 이제는 그렇게 하고 싶지 않은....


생각이 깊어집니다. ^^ 

프로필 이미지
2013.06.19 11:45:46 *.58.97.136
내 사전에 순종이 없다가
무릎꿇고 순종을 다짐했지.
이제는 왔다갔다~~ㅋㅋㅋ
대수의 불순종을 환영합니닷!
엣지있게 살아보삼^^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칼럼 #18 스프레이 락카 사건 (정승훈) [4] 정승훈 2017.09.09 1657
5205 마흔, 유혹할 수 없는 나이 [7] 모닝 2017.04.16 1660
5204 [칼럼3] 편지, 그 아련한 기억들(정승훈) [1] 오늘 후회없이 2017.04.29 1713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743
5202 우리의 삶이 길을 걷는 여정과 많이 닮아 있습니다 file 송의섭 2017.12.25 1744
5201 결혼도 계약이다 (이정학) file [2] 모닝 2017.12.25 1776
5200 2. 가장 비우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 아난다 2018.03.05 1776
5199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786
5198 11월 오프수업 후기: 돌아온 뚱냥 외 [1] 보따리아 2017.11.19 1792
5197 (보따리아 칼럼) 나는 존재한다. 그러나 생각은? [4] 보따리아 2017.07.02 1793
5196 12월 오프수업 후기 정승훈 2018.12.17 1795
5195 일상의 아름다움 [4] 불씨 2018.09.02 1802
5194 #10 엄마와 딸 2–출생의 비밀_이수정 [5] 알로하 2017.07.03 1806
5193 [칼럼 #14] 연극과 화해하기 (정승훈) [2] 정승훈 2017.08.05 1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