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313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6월 20일 09시 38분 등록

  

어떤 음식을 만들어 식탁에 올려야 하는 상황이 있을 때 누구 혹은 무엇을 스승으로 삼아 그 음식을 만드시는지요? 스마트 폰이나 인터넷을 검색해서 레시피를 보고 만든다고 답하시는 분이라면 오늘 드리는 이 편지를 조금 유심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나는 강의를 할 때 많은 식물이 왜 그 꼴로 살아가는지를 설명하고 느끼도록 돕습니다. 그것을 통해 내 삶이 왜 이 꼴로 형성되었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 내 삶의 꼴을 더욱 멋지고 당당하게 만들어가야 할지를 고민하는 기회를 주기 위해서입니다. 많은 생명의 사는 꼴이 그 생명의 외부 세계, 심지어 우주와도 무척 깊이 있게 관계를 맺은 결과이고 자신의 결핍과 과잉을 넘어서기 위한 분투요 자기실현을 위한 노력의 결과임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꼭 한 두 개의 과제를 제시해 줍니다. 즉 특정 식물의 꽃 모양을 사진으로 보여주고 그 꽃이 다른 대부분의 꽃들과 달리 왜 아래로 피는지를 묻는 것과 같은 예입니다. 마치 화두를 붙들어 스스로 깨치고 넘어서듯 스스로 질문하고 사유하고 되어보고 느껴보기를 권하는 것입니다.

 

나는 이 방법을 좋아합니다. 삶의 많은 영역에서 그렇습니다. 누군가 제시해 놓은 선례나 해답에 의존하는 것을 넘어서는 것이 중요한 공부 방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레시피에 전적으로 의존한 음식은 한계가 분명한 맛밖에 낼 수 없기 때문입니다. 고래로 음식에는 손맛이라는 변수가 묘미였습니다. 기본적 재료를 똑같이 사용하더라도 음식을 만드는 사람의 손맛에 따라 그 사람만의 차별적인 맛이 형성되었습니다. 손맛은 반복 훈련을 통해서도 확보될 수 있을 것입니다. 누군가 이미 만든 표준을 참조하여 그 상태를 재현하기 위해 반복적인 훈련(트레이닝)을 하다보면 문득 자신만의 손맛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훈련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오히려 자신만의 손맛을 형성하는 경지를 오히려 늦출 수 있다는 것이 나의 견해입니다. 장작패기를 예로 들어 봅니다. 도끼질을 잘 하는 사람이 쪼개는 장작패기의 모습은 가히 호쾌합니다. 때로 그 모습이 예술처럼 느껴지는 때도 있습니다. 그가 이룬 경지는 도끼질이라는 행동의 전체를 단순히 구분 동작으로 반복 훈련해서 이룬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스스로 행하고 실패하고 다시 사유하고 또 행하고, 마침내 몸으로 느껴내는 단계를 상승적으로 축적할 때 가능한 것입니다.

 

장작을 패는 일이 그렇고 음식을 만드는 일도 그렇습니다. 특정한 방법론이나 레시피의 수준을 넘어서는 경험, 즉 깊은 체험이 있어야만 자기만의 특별하고 차별화된 수준에 이를 수 있습니다. 우리 각자가 이루어가는 삶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고 나는 믿습니다. 학습과 훈련에 입각하더라도 그것에 머물지 않고 스스로의 몸으로 직접 새로 쓰는 과정에서 삶은 더 큰 가치, 더 특별한 향기, 더 깊은 맛을 만나게 됩니다. 나는 비록 볼품없더라도 내게 주어진 삶의 시간을 그렇게 살아내고 싶습니다.

 

 

-----------------------------------------------------------------

<안내>

 

*** ‘가족세대통합연구소가족 아카데미강좌

 

크리에이티브 살롱 9’가족세대통합연구소 서로이음가족 아카데미를 진행합니다. 가족학 전문가 4(김성은, 송인주, 장미나, 주지현 박사)이 수십 년간 공부하고 체험한 내용을 담고 있는 강좌입니다. 커리큘럼과 강사, 장소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 주소를 클릭하세요.

http://www.bhgoo.com/2011/514869

   

     

*** 글쓰기 강좌 안내

<나는 쓰는 대로 이루어진다>의 저자 한명석이 운영하는 카페 이름은 "글쓰기를 통한 삶의 혁명"입니다. 단순히 손끝의 재주가 아니라, 나를 온전히 드러내고 만나는 글쓰기를 통해 최고의 삶을 꾸릴 수 있다고 믿는 그녀가 18기 입문강좌를 엽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주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index.php?mid=free&document_srl=517177

 

IP *.207.194.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39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685
4334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688
4333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688
4332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695
4331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01
4330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04
4329 [늦은 월요 편지][내 삶의 단어장] 2호선, 그 가득하고도 텅빈 에움길~ 2023.09.19 714
4328 [수요편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되는 조직문화 불씨 2023.10.11 717
4327 [수요편지] 허상과의 투쟁 [1] 불씨 2022.12.14 719
4326 등 뒤로 문이 닫히면 새로운 문이 열린다 [3] 어니언 2023.12.28 721
4325 [수요편지] 장미꽃의 의미 [1] 불씨 2023.12.05 724
4324 [월요편지-책과 함께] 인간에 대한 환멸 [1] 에움길~ 2023.10.30 726
4323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30
4322 두 번째라는 것 어니언 2023.08.03 733
4321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34
4320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34
4319 충실한 일상이 좋은 생각을 부른다 어니언 2023.11.02 735
4318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36
4317 [수요편지] 미시적 우연과 거시적 필연 [1] 불씨 2023.11.07 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