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나를

5천만의

여러분의

  • 오세나
  • 조회 수 3780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06년 10월 30일 16시 19분 등록
# 직업 선정을 위한 몇 가지

0. Intro


# 실천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론은 그저 책 속에 놓인 글자일 뿐이다. 삶의 질은 나아졌다고 하지만 국내에서도 또 해외에서도 태생적인 한계 때문에 힘들어 하는 사람들은 줄어드는 것 같지 않다. 그 중에서도 기회조차 보장 받지 못하는 아이들이 희망을 품고 기회를 가질 수 돕는 것은 내가 삶에서 기여하고자 하는 부분이다.

# 삶에서 많은 결심과 깨달음이 있었지만 어느 순간부터 돌아 돌아 제자리로 오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 기업에서 경영혁신 관련 업무를 맡고 있었을 때에도 근본적으로 바뀐 것이 없는 내 자신을 발견했다. 이것이 내가 나에 대한 탐구 즉, 변화경영 연구소 연구원을 시작한 계기이다. 나의 경험과 특성을 이제까지의 그리고 새롭게 익힐 지식들과 연결하여, 이것을 삶에서 실천해 보고자 한다. 실천이 없는 깨달음은 이미 죽은 것이기 때문이다.

1. 직업관(나는 ‘일’ 을 어떻게 바라 보는가?
-성취감을 통한 독립성, 휴먼 네트워크


나에게 있어 직업은 크게 두 가지의 의미를 지닌다.
첫 번째는, 내 자신의 성취감을 만족시키고 독립성을 지니는 것이다.
내가 어떠한 가치를 창조해내는 실제적인 일을 한다는 것은 나에게 성취감을 준다. 이런 성취감을 주는 것의 큰 부분이 바로 직업이다. 나에게 직업은 이러한 성취감의 터전이자 내가 만들어낸 가치의 일부를 금전적으로 보상받아 내가 한 개인으로서 사회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두 번째는, 다른 사람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며 존재의 의미를 느끼게 해주는 네트워크이다. 직장을 통한 인간관계는 기본적으로 이해관계가 바탕이 된 관계이긴 하지만 또한 이것을 뛰어넘기도 하는 인간관계이다. 사회에 들어와서 직장인의 일원이 되면서 학교와는 또 다른, 연령 집단을 넘나드는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 할 수 있었다. 다양한 세대와 경험들이 함께 모여 시너지를 이루고 서로에서 win-win 되는 팀플레이는 사회 속에서 배울 수 있었던 큰 가르침 이었다. 함께 공동의 목적을 추구해 나가는 직장에서의 인간관계는 나에게 소속감과 삶의 풍요를 제공해 준다.


2. 직업 선정 기준은 무엇인가?
- 삶의 다양한 측면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직업


1)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재미있는 일이어야 한다.
* 내가 흥미를 느끼는 부분은 ‘사람’에 대한 것과 사람 사이의 교류와 관련된 부분이다.
* 다양한 관심분야의 호기심을 충족 시켜줄 수 있는 시간 여유가 있는 일어야 한다.
: 반복적이고 한 분야만을 전문적으로 하는 일 보다는 다양한 분야의 관심을 활용하여 그것을 총체적 시각에서 구조화하는 일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을 하고자 한다.
* 지식을 습득하고 또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일이어야 한다.
: 일정 수준의 지식을 습득하고 그 것을 능숙화 하는 것 보다는 계속 새로운 지식의 습득이 요구되고 그것을 활용하는 일을 하고자 한다.
* 적성과 맞아서 능력을 발휘 할 수 있는 일이야 한다
: 잘 할 수 있는 일에 더 애착이 가는 것이 사실이다. 기왕이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을 하고자 한다.
* 성과측정이 가능하여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일이어야 한다.
* 자율이 보장되는 일
: 기한이 있는 일을 선호하지만, 누군가가 시켜서 하는 일에 흥미가 적다. 자발적으로 업무를 개발하고 일부 업무시간에서도 자율이 보장되는 업무를 하고자 한다.

2) 사회적으로 인정을 얻을 수 있는 건전한 일이어야 한다.
* 나의 변화와 업무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었으면 한다.
* 내가 원하는 것을 하고 그렇지 않은 것을 안 할 수 있을 정도의 독립성을 지닐 수 있는 소득 수준이어야 한다.

3) 나에게 또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일어야 한다.
* 다른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사회적으로 공헌 할 수 있는 일이어야 한다.
* 가족의 동의와 협조를 얻을 수 있는 일이어야 한다.
: 좋은 아내와 엄마 그리고 가족으로서 떳떳한 일이어야 한다.
* 삶의 다양한 부분을 조화시키는데 기여 할 수 있는 일이어야 한다..

3. 관심직업은 무엇이고 관심 직업들의 특성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 경영컨설턴트, 1인기업가, 카페주인, 미술치료사, 작가겸 강연자, 성인교육 강사, 여행가

4. 내가 가지고 있는 내면적 자산(기질, 재능, 경험)은 무엇인가?

1) 기질 _ 성격검사(MBTI) : ESTJ

외향성 ---------- 힘을 얻는 원천 ---------- 내향성
감 각 --------- 사물을 보는 관점 --------- 직 관
사 고 ---------- 의사결정의 근거 --------- 감 정
판 단 ------------ 삶의 양식 ------------ 인 식
ESTJ는 일반적으로 소매를 걷어 부치고, 열심히 일을 하며, 직접 일을 끝마치고 행동파이다. 그들은 삶을 안내하는 길잡이로써 논리와 분석을 사용한다. 그들은 빨리 결정을 내리며 행동할 계획을 세운다. 그들은 조직적인 방식으로 자원을 배분, 실행하고 그대로 따라간다. 그들은 완결을 좋아한다. 그들은 직접적으로 완성될 일에 초점을 두며 과제를 달성시키기 위해 필요한 단계를 예상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잘못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필요한 예방조처를 취한다. 그들은 사건에 계속해서 주의를 두며,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일에 대한 헌신이 존중되고, 일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들은 어느 정도 구조화된 상황에서, 관념적이기 보다는 활동적인 상황에서, 일의 최종경과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최대의 효과를 거둔다.
논리적, 실용적, 결정적, 조직적, 체계적, 책임성, 객관적, 구조적, 효율적, 양심적 , 지시적

2) 재능_Strengthsfinder : Individualization/개인화, Communication/의사소통, Focus/초점, Activator/행동주의자, Woo/매력

1) Individualization/개인화
당신은 개인화 테마로 인해 한 사람 한 사람의 고유한 속성에 매료됩니다. 당신은 다른 사람의 강점을 너무도 예리하게 관찰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사람들로부터 저마다의 가장 두드러진 강점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개인화 테마는 당신이 생산적인 팀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팀의 완벽한 '구조'나 '진행'을 찾는 사람들이 있지만, 당신은 훌륭한 팀의 비결은 각각의 팀 성원이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을 하도록 배치하는 데 있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2) Communication/의사소통
당신은 설명하기와 묘사하기, 사회 보기, 대중 앞에서 연설하기, 그리고 글쓰기를 좋아합니다. 이것은 당신이 가진 의사소통 테마가 드러나는 방법입니다.

3) Focus/초점
"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라고 당신은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당신은 날마다 이렇게 묻습니다. 이 초점이라는 테마를 가진 당신에게는 분명한 목적지가 필요합니다.

4) Activator/행동주의자
"언제 시작할 수 있습니까?" 이것은 당신의 일생에서 계속 반복되는 질문입니다. 당신은 행동하고 싶어 못 견딥니다. 당신은 때로는 분석이 유용하고 토론과 논의가 가치 있는 통찰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지도 모르지만, 마음 깊은 곳에서는 오직 행동만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행동이야말로 최선의 학습 방법이라고 믿습니다. 당신은 결정하고, 행동하고, 그 결과를 보면서 배웁니다.

5) Woo/매력
매력은 다른 사람들을 자기편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당신은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그들이 당신을 좋아하게 만들기를 무척 좋아합니다

나만의 강점에 대한 관찰과 기술

* Know-where를 아는 능력 _ 사람에 대한 관심
* 말하고 표현하는 기쁨 _ 자기표현을 통한 교류 능력
* 행동을 통한 목표지향적 학습
* 상황판단 센스
*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는 능력
* 아이디어 뱅크
* 구조화된 논리적 사고
* 밝고 긍정적인 태도

3) 경험 _ 가장 커다란 성취 3가지와 가장 가슴 아픈 실패 1가지

성취1] 초등학교 6학년 때 스스로 학습을 통한 성적향상
성취2] 대학교 때 유럽 배낭여행 – 해낼 수 있다는 자신감
성취3] 회사 입사 후 통신컨설팅 영업성공
실패1] 원하는 대학에 가지 못한 것

5. 1,2,3,4를 종합해 볼 때 나의 직업은 무엇인가?
“Social Consultant”
- 사회 특히 공공 분야에 대해 경영적인 솔루션을 제공해주는 컨설턴트


6. 나의 직업에 대한 VISION은? (나의 언어로 기술된 직업)
“Value Creation for the better living peoples’ society”
“ 우리는 더 나는 삶을 사는 사람이 많은 사회를 향한 가치를 창조합니다.”

IP *.116.155.241

프로필 이미지
은호기원
2006.10.30 19:01:34 *.190.172.207
참 멋진 삶을 살아오셨고, 살고있으며 살아갈 것이 보입니다.
세나님을 알고있다는 그 것이 행복합니다.
계획하신데로 원하시는 소중한 꿈 꼭이루시기를 간절이
기원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나누는삶
2006.12.07 09:43:03 *.94.1.38
ㅎㅎ 여기엔 이런 멋진 글을 올리시면서 *^^* OSNF 방에도 좀 올려주세요. 함께 보게~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9 [꿈벗 34기_비상구] Bravo my life! [8] 병곤 2011.07.26 3725
308 [꿈벗26기] 진정 나를 찾아서... [3] IamNess 2010.01.24 3730
307 14기-어디에도 없는 먹는 행복을 드리겠습니다. [5] 이병철 2007.09.18 3731
306 [꾹] 막장 드리마 연출가? 꾹입니다요. 2010.04.01 3731
305 꿈을 향한 첫걸음을 떼다 [5] 신재동 2005.07.25 3732
304 [10년후 풍광 조율]나의 색깔을 찾았다. [10] <몽실이>송창용 2005.12.16 3733
303 아름다운 풍광 하나 소개합니다..^^ file [1] 이기찬 2007.07.07 3736
302 꿈 프로그램 이후 [5] 오옥균 2005.10.20 3741
301 [꿈벗 27기 - 꿈공장] 10대 풍광 ver1.0 [6] 김경미 2010.04.26 3755
300 소중한 질문 [2] 김미혜 2005.06.01 3759
299 Ver2.1을 쓰기전에... [9] 경헌 유현수 2010.10.18 3759
298 [꿈벗27기-꿈공장] 10대 풍광 ver 1.0 [5] 명훈 2010.04.27 3761
297 나의 꿈 첫 페이지 (1) [10] '몽우' 당당한 그녀 2006.07.24 3762
296 나의 10대 풍광 draft ver. 1.0 [6] 구자훈 2008.06.09 3763
295 10대 풍광 ver 1.0 [1] 최문희 2011.01.09 3766
294 (꿈벗 26기) 10대 풍광 - ver. 1.0 [1] 김용빈 2010.01.24 3777
293 ------------------>[re]06년12월에 10대풍광에견줘서 해야할 것 [2] 空기원 2006.12.04 3779
» -->[re]나의 직업은? [2] 오세나 2006.10.30 3780
291 나의 꿈 나의 역사. [11] 無明 2008.03.24 3786
290 나의 직업 나의 미래 version 7.1 [4] 자로 2011.02.02 3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