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356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6월 25일 00시 08분 등록

우리 집 근처에 ‘마노(Mano)’라는 이름을 가진 카페가 있습니다. 이곳은 늘 잔잔한 음악이 흐르고, 탁 트인 내부 공간에 독특한 인테리어와 소품은 카페 주인의 안목을 보여줍니다. 커피 맛도 뛰어나서 나처럼 커피 맛 모르는 사람에게 커피의 신세계를 열어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내가 이곳을 좋아하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습니다. 카페 정문 30m 앞에 산이 있다는 게 그 이유입니다.

 

얼마 전 이곳에서 일을 하다가 잠시 쉬기 위해 커피를 들고 테라스로 나간 적이 있습니다. 의자에 앉으니 공기가 달라졌습니다. 산 속 풀과 나무 향기입니다. 햇빛에 나뭇잎이 반짝입니다. 커피향이 그윽합니다. 바람이 붑니다. 바람과 나무가 만나자 음악이 흘러나옵니다. 눈을 감고 자연의 음악을 들었습니다. 눈을 뜨니 또 새로운 세상입니다. 나뭇가지들이 바람에 맞춰 넘실거리고 잎들은 음악 따라 춤을 춥니다. 눈으로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걸 처음 알았습니다.

 

마음이 열리고 풍경이 내게 말을 겁니다. 마음 속 먼지는 날아가고 뭔가가 반짝입니다. 더할 것도 뺄 것도 없는 순간입니다. 어찌 보면 마음이 텅 빈 듯합니다. 무심(無心)이 이런 건가 싶습니다. 오랫동안 잊지 못할 것 같습니다. 카페 옆을 지나가는 자동차 경적 소리에 풍경과의 대화는 멈췄습니다. 불현 듯 김홍근 선생이 쓴 <마음이 단순해지는 선화>의 한 구절이 떠오릅니다.

 

“풍경이란 인간이 어떤 장소와 만나는 정신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오면 풍경은 움찔 깨어나, 말을 건네온다. 그 체험은 특히 그곳에 있는 특정한 사물과 대화를 나누면서, 깊은 교감으로 승화된다.”

 

카페 테라스에서 풍경이 건네는 말을 어떻게 들을 수 있었던 걸까 생각해봅니다. 그때 나는 별 생각이 없었습니다. 그저 조금 쉬고 싶었을 뿐, 그 이상의 욕심도, 어떤 걱정도 없었습니다. 그런 마음과 한 풍경이 시절인연으로 공명했나 봅니다. 이래서 마음에 여백이 있어야 하나 봅니다.

 

자연만 사람에게 말을 거는 것은 아닙니다. 물건도 우리에게 말을 걸어옵니다. 물건 속에도 마음이 흐릅니다. 일반적으로 물건은 익숙한 것입니다. 물건을 만드는 사람은 먼저 마음속에서 그것을 만들어봅니다. 그리고 재료를 구해 실제로 물건을 만들면서 그 마음을 표현합니다. 만들어진 물건을 처음 보는 사람에게 그것은 낯섭니다. 물건을 이리저리 보고 만져보면서 마음속으로 그 물건에 대해 알아봅니다. 물건을 손에 넣은 사람은 사용하면서 그 물건에 익숙해집니다. 익숙함 속에는 언제나 역사와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김홍근 선생은 말합니다.

 

“사람의 손길이 스친 곳에는 그것을 만들고 쓰는 사람의 마음이 비치고, 나무나 산과 하늘 같은 자연에는 신령의 마음이 비친다. 그 둘이 어우러진 곳에선 자연의 마음과 인간의 마음이 서로 통하는 짜릿함을 맛보기도 한다.”

 

sw20130625.jpg

김홍근 저, 마음이 단순해지는 선화, 마음산책, 2006년 6월

 

* 안내 : ‘글쓰기를 통한 삶의 혁명’ 18기 모집

<나는 쓰는 대로 이루어진다>와 <늦지 않았다>의 저자 한명석 연구원이 글쓰기 강좌인 ‘글쓰기를 통한 삶의 혁명’ 18기를 모집합니다. 자신안의 창조 본능을 깨우고 글쓰기 실력을 키우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프로그램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세요.

 

sw20130625-2.jpg

 

* 안내 : 크리에이티브 살롱 9 ‘인문학 아카데미’ 7월 강좌

변화경영연구소의 오프라인 까페 ‘크리에이티브 살롱 9’에서 ‘인문학 아카데미’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7월 강좌는 ‘숲에게 삶의 길을 묻다’를 주제로 숲철학자 · 숲학교 ‘오래된 미래’ 교장 김용규 선생이 진행합니다. 커리큘럼과 장소 등 자세한 내용은 여기 혹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세요.

 

sw20130618.jpg

 

IP *.34.180.24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6 목요편지 - 5월을 열며 [1] 운제 2019.05.02 778
1115 [금욜편지 86- 한걸음 떨어져 바라본 자본주의] [2] 수희향 2019.05.03 782
1114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영국을 홀린 프랑스 와인 file [4] 알로하 2019.05.05 1188
1113 어린이날 어떻게 보내셨나요? 제산 2019.05.06 770
1112 [화요편지] '최고의 나'를 만나고 싶은 욕망 아난다 2019.05.07 785
1111 [수요편지] 개와 같이 [1] 장재용 2019.05.08 804
1110 목요편지 - 요가수업 [2] 운제 2019.05.09 755
1109 [금욜편지 87- 불공평한 세상을 살아가는 법] [2] 수희향 2019.05.10 831
110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로마네 콩티 살인 사건 1 file 알로하 2019.05.11 933
1107 소녀들을 위한 내 몸 안내서 제산 2019.05.13 885
1106 [화요편지] 나의 기쁨과 세상의 기쁨이 만나는 현장, ‘엄마의 시간통장’ file [1] 아난다 2019.05.14 919
1105 [수요편지] 장대비 내리던 어느 주말 오후 [1] 장재용 2019.05.15 853
1104 목요편지 - 꿈벗 소풍 운제 2019.05.16 768
1103 [금욜편지 88- 나도 멘탈 갑] 수희향 2019.05.17 793
1102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로마네 콩티 살인 사건 2 file [4] 알로하 2019.05.18 1439
1101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4. 다시, 책으로 제산 2019.05.20 800
1100 [화요편지]회복하는 글쓰기 file [4] 아난다 2019.05.21 900
1099 [수요편지] 이것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2] 장재용 2019.05.22 836
1098 목요편지 - 합리성이라는 잣대 운제 2019.05.24 763
1097 [금욜편지 89- 21세기에 프로로 산다는 것은] [4] 수희향 2019.05.24 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