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짱구
- 조회 수 5725
- 댓글 수 10
- 추천 수 0
7월 5일 날씨는 흐렸지만, 제 마음은 어느 때보다 푸르렀습니다.
구본형선생님을 만나는 생각과 꿈을 같이 나눌 벗들을 만날 생각으로....
'나의 꿈을 찾는 여행'을 가기 위해 참으로 시련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저는 더이상 미룰 수 없다는 절박함이 제 망설임을 단번에 두동강 내어 버렸습니다. 더이상의 삶의 두려움도 가지기 싫었습니다.
18기 꿈벗으로 나의 10년 후의 10대 풍광을 부족하게 남아 적을 수 있어서 정말 제 자신이 뿌듯합니다. 비록 미흡하지만 항상 고민하고 한발 나아갈 수 있게 제 풍광을 계속 이루워 나가겠습니다.
구본형선생님 말씀처럼 이것은 시작일 뿐입니다.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다시한번 지도해주신 구본형 선생님과 저의 이야기를 들어주시고 같이 고민해주신 18기 꿈벗님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
ver 2.0 - 2010년 어느 날 ; 풍광을 보면서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는 사실을 느끼며 다시 풍광을 바꿔써야 하나 고민을 했었다. 하지만 그냥 두었다.
------------------------------------------------------------------------------------------------------------------------
ver 3.0 - 2012년 12월초 ; 문득 나의 풍광을 다시금 보고 싶었다. 과연 나는 풍광을 처음 쓸 때 어떤 마음이었을까? 들춰보고 싶은 마음이 문득 들었다. 수정하고 싶은 부분과 추가하고 싶은 부분을 보태면서 처음 풍광을 그리던 시절을 그려본다.
------------------------------------------------------------------------------------------------------------------------
MBTI유형: ISTP 백과사전형
직업군 (ver 3.0)
- 진로교육가 ; 청소년/청년들의 진로방향설정에 도움을 주고 싶다.
- 학습습관교육가 ; 학습습관이 갈수록 중요함을 느낀다.
- 칼럼가 ; 무언가를 알리려는 방법일뿐 글쓰기를 원하지는 않는다.
재능
- 문제해결하려는 다양한 시도와 방법을 모색하길 좋아한다.
- 다양한 정보습득 능력을 통해 타인을 돕고자 한다.
기질
- 여유롭고 긍정적이지만, 자신만의 원칙을 세워서 일을 하고, 나 자신이 동기부여를 하지 못하면 일을 잘 하지 못하는 성격
내가 나를 인정해야만 하는 점. 유비무환, 노력의 효율성 - 느리다. 신중하다. 집중력이 약하다.
단점
- 갈등에 유연히 대처 못하는 감정성향
- 결정을 빨리 내리지 못하고 자기 합리화와 고집이 너무 세다.
- 상황을 조화롭게 만들려다가 갈등만 더 크게 한다.
경험
- 전문가 활동: 외부환경산업디자이너(대학,대학원,직장생활)
- 중간 관리자: 유통사업
- 다양한 교육환경 경험
직업명
- 꿈꾸는 배움공작소 훈장
‘아이들의 꿈과 배움을 Design 합니다.’
<현>꿈나눔재능성장연구소/진로교육센터 대표코치
Biz model
- 꿈의 놀이터‘배움공작소’
아이들의 교육환경 개선
– 결국엔 부모 스스로의 역할을 찾아야 한다. 그것을 찾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 진로교육프로그램/청소년멘토링프로그램
다양한 배움터 프로그램
-‘하고 싶은 배움부터 시작'‘다양한 질문과 호기심을 해소하는 교육’
- 과도한 학습의 부적응 학생에 대한 보충수업, 다양한 놀이기구 제작 및 미술, 음악, 컴퓨터 교육, 게임 등 적절한 자료 활용을 통해 잘하는 분야 파악,
--------------------------------------------------------------현재 진행중...
– 외부강사를 통한 다양한 체험교육,
– 외부 직업 체험 교육,
– 체질을 파악하여 건강한 생활을 유도 (전통 한의학의 도움으로)
--------------------------------------------------------------미 진행중...
10대 풍광 (2018년) (2007.7.6 – ver 0.0)
1. 나는 이제 행복한 가족을 만났다.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갈등 요소도 많았지만, 이제는 이해와 사랑으로 서로의 삶과 꿈에 대해 존중해주게 되었다. 18기 꿈벗이 된 이후로 아버지와의 갈등을 풀고 정신적, 물질적으로 자립하게 되어서 나는 자식으로써 더욱 더 충실해졌다. 그렇게 나는 부모님과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하여 나와 부모님의 인생이 더욱 더 풍요롭고 사랑이 충만하게 되었다.
- 여전히 갈등요소는 분명히 있고 그것을 어떻게 해결해야 될지 아직 모르겠다.
2. 나의 가정은 아직도 혼란의 시기를 걷고 있다. 과연 결혼이란 무엇인가? 부부란 무엇인가?
어찌 살아가야 하는가? 그에 대한 물음에 나는 아직 답하지 못하고 있다.
(3). 함께함-여행이 생활화가 되었다. 가족과 함께 또는 혼자, 친구들과 여행하는 것이 즐겁다. 나에게 여행은 관광이 아닌 체험이고 삶으로써 각인되고 있다. 특히 가족과 함께 하는 여행은 너무나도 행복하다. 여행은 어려운 것이 아닌 것을 깨달았다. 서울탐방기행을 짜서 가족과 일요일에 서울에 살면서 보지 못한 여러 풍경과 소리와 삶, 문화를 느끼면서 가족은 어느새 친구가 되었고, 이것을 계기로 전국 도시기행도 했고, 여러 테마로 하는 여행을 기획했다. 이번엔 가족과 함께 자전거 전국 일주에 도전한다. 성공할 것이다.
- 나는 나를 알아가면서 여행에 대해 그리 큰 욕구가 없음을 깨달았다. 내가 좋아하는 여행은 가벼운 지역으로의 탐방과 산책, 자전거타기 정도 이다.
(4). 오래 시간 같이 지내온 모든 벗들의 커뮤니티를 더욱 활기차게 나아갔다. 나의 변곡점이 되어준 구본형 선생님과 18기 꿈벗들은 물론이고 변경연모임에서 많은 좋은 분들을 만나면서 나는 훨씬 더 마음과 정신, 육체가 풍요롭고 건강해졌다. 나에게 소중한 사람들을 아끼고 사랑하면서 일생을 살 것을 다시 한번 다짐한다.
- 현재 나는 꿈벗들과의 소통보단 혼자 묵묵히 독립적으로 살고있다. 이건 성격에 기인한다.
이제 조금씩 나아지려 노력한다.
(5). 나는 꿈의 놀이터 ‘배움공작소’를 설립하여 깐깐한 훈장으로 살고 있다. 방과 후 다양한 배움거리를 가지고 수업을 하면서 아이들에게 꿈과 배움은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그들의 꿈과 재능을 같이 찾아내는 일을 한다. 과도한 입시로 인한 폐해를 느낀 부모들의 증가로 배움공작소는 계속 성장되고 있었다. 특히 어느새 중고대학생이 되어버린 1기 졸업생은 자신의 꿈을 찾아 가는 모습을 메일로 가끔씩 전해주고 있다. 나는 참으로 뿌듯하고 보람차다. 그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줬다는 것이 새삼 나의 이런 꿈을 찾는데 도와준 모든 분들께 감사한다.
- 시작은 했지만 아직 성과는 없다. 하지만, 나는 내가 옳다는 것을 이뤄낼 것이다.
6. 드디어 책을 출간하게 되었다. 그 동안 해왔던 배움공작소의 경험으로 여러 가지 배움과 체험 교육을 통해 아이들의 재능과 기질을 부모가 직접 찾고 발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부모는 아이들에게 꿈과 배움을’ 이라는 책을 출간하였다. 아이들 교육에 대한 대안적 교육에 대해 많은 의식이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가 생겨 첫 책은 성공적이었다. 그것을 계기로 꿈의 놀이터 배움공작소의 브랜드화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두번째 책을 출간을 임박하고 있다. 제목은 ‘꿈의 놀이터는 가정이다’ 다. 그 동안 연구하고 경험한 여러 교육방법을 가정에 접목하여 가정교육에서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책이다. 나는 계속 글을 쓸 것이다. 그것이 무엇이든 간에 말이다.
- 계속 고민하겠다. 나도 책을 꼭 내고 싶다.
7. 오랫동안 준비해왔던 배움공작소 네트워크를 시작하게 되었다. 기존에 해왔던 꿈의 놀이터 배움공작소를 좀 더 많은 아이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생각을 공유한 젊은 친구들을 제자로 삼아 교육시키고 배출하여 타 지역의 배움 커뮤니티로써의 배움공작소를 만들 생각이다. 아이들은 우리들의 꿈이라는 생각이 이 사업을 더욱 박차를 가하게 만든다.
- 좀 다르지만 자기를 찾아 새로운 활력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과 커뮤니티를 진행하고 있다.
8. 칼럼가: 나는 여전히 끊임없는 정보를 취득하고 제공하고 있다. 나에게 있어서 신기술과 제품,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등 관심 갖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이다. 이러한 정보 탐구는 배움공작소의 자료수집과 더불어 배움 교육 프로그램 선정에 도움이 많이 된다. 아이들 간의 대화 유도 및 흥미 유발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날로 향상됨을 느낀다. 그 외 취미로 객원 리뷰 전문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소비자에게 과소비를 부추기지 않고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조그만 역할을 나는 계속 하고 싶다.
- 정보를 취득하지만 제대로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다. 역시 난 인식형인간이다.
(9). 오랫동안 하지 못했던 직장인 밴드에서 베이스를 치고 있다. 어제는 첫 공연을 마쳤다. 그 기분은 정말 황홀했다. 중학교 때는 통기타를 잠시 배워 친구들과 즐겁게 모여서 노래를 부르면서 놀았고, 대학 때는 전기기타를 시작했지만 제대로 끝내지 못했던 마음에 항상 갈망했던 밴드 내에서의 기타연주는 나의 오랜 소망 이었다. 그 소망을 이루고 계속 해나갈 수 있다는 것이 나 자신에게 주는 선물이다.
- 기타에서 베이스로 바뀌었고 드럼도 치고 싶은 욕구도 생겼다. 점진적인 노력을 통해 적극적인 밴드활동을 시작할 것이다.
(10) 나는 건강한 몸 찾기 운동을 알리기 시작했다. 우연히 시작하여 성과를 낸 건강한 몸의 회귀를 통해 정신의 성숙뿐 아니라 육체의 건강함이 인생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지 실감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념은 배움공작소 어린이들에게도 적용해가고 있다. 어린이들의 체력은 바로 두뇌발달에 직접적 영향이 있다는 사실은 누구나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요즘엔 헬스 트레이너 교육을 배워 좀 더 적극적인 건강한 몸을 실현해 나아가 건강한 몸을 원하는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줄 것을 다짐해본다.
- 조금씩 건강에 대해 소수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나 역시 건강해지려 항상 노력한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52 | 나의 10대 풍광(19기 '변소') [10] | 김진형 | 2008.10.06 | 4973 |
251 | 나의 10대풍광 일부수정 [2] | 이수 | 2008.09.27 | 6671 |
250 | :*:17기:*: 9월의 목표들 [4] | 신자원 | 2008.09.14 | 7582 |
249 | 나의 직업 나의 미래 version 4.4 [5] | 자로 | 2008.09.04 | 8093 |
248 | 나의 직업 나의 미래 version 4.3 [6] | 자로 | 2008.07.15 | 9803 |
247 | 나의 10대 풍광 [5] | 이관로 | 2008.07.11 | 7527 |
246 | [18기] 10대풍광 ver.1.1 [8] | 이병일 | 2008.07.09 | 8101 |
245 | 10대풍광 [8] | 이수 | 2008.07.08 | 6722 |
244 |
꿈벗 18기- 공주 10대 풍광올립니다. ![]() | 세정 윤태희 | 2008.07.08 | 7163 |
243 | 18기 꿈벗모임에 갔다와서 [8] | 이수(구자봉) | 2008.07.08 | 6728 |
» | 18기 꿈벗[구운몽] 나의 10대 풍광(ver. 3.0) [10] | 짱구 | 2008.07.08 | 5725 |
241 | 10대 풍광(ver1.1) by 최석민. [5] | 최석민 | 2008.07.08 | 5478 |
240 | <꿈벗 18기>나의 10대 풍광 [8] | 박상현 | 2008.07.07 | 5771 |
239 | 18기 꿈벗 여행을 되돌아봅니다. [6] | 최석민 | 2008.07.07 | 6045 |
238 |
18기 구운몽 10대풍광 ver1.0 ![]() | 최석민 | 2008.07.07 | 5879 |
237 | 나의 꿈, 나의 삶(ver3.0) [3] | 素田최영훈 | 2008.06.20 | 6317 |
236 | 질문 [2] | 이병선 | 2008.06.19 | 5543 |
235 | 나의 꿈, 나의 미래 [13] | 쉼표와느낌표 | 2008.06.11 | 6971 |
234 | 나의 10대풍광(2008-6-11) [2] | 김선화 | 2008.06.11 | 5165 |
233 | 10 대 풍광 (Version 1 ) [5] | 이문화 | 2008.06.11 | 4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