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연지원
  • 조회 수 436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7월 22일 15시 58분 등록

한아름은 열일곱 살의 '남자아이'입니다. 김애란의 장편소설 『두근두근 내 인생』의 주인공이지요. '남학생'이라고 소개하지 못한 것은 아름이는 희귀한 질병으로 인해 정상적인 학교 생활을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조로증을 앓고 있어, 십대의 나이지만 팔십 세의 몸을 가졌거든요. 아름이는 <이웃에게 희망을>이라는 TV 프로그램에 나가게 되어 방송작가와 대화를 나눴습니다. 나를 한없이 부끄럽게 만든 대화였습니다.

 

"또래 아이들이 가장 부러울 때는 언제야?" 

"많죠. 정말 많은데... 음, 가장 최근에는 티브이에서 무슨 가요 프로그램을 봤을 때예요."

"가요 프로그램이면 아이돌 말이니?"

"아니요. 비슷한 건데, 가수가 될 사람을 뽑는 경연대회 같은 거 였어요."

"그래?"

"네, 근데 그 오디션에 제 또래 애들이 오십만명 넘게 응시했대요. 뭔가 되고 싶어하는 애들이 그렇게 많다는데 좀 놀랐어요."

"부러웠구나. 꿈을 이룬 아이들이."

"아니요. 그 반대예요."

"반대라니?"

"제 눈에 자꾸 걸렸던 건 거기서 떨어진 친구들이었어요. 결과를 알고 시험장 문을 열고 나오는데, 대부분 울음을 터뜨리며 부모 품에 안기더라구요. 진짜 어린애들처럼, 세상의 상처를 다 받은 것 같은 얼굴로요. 근데 그 순간 그애들이 무지무지 부러운 거예요. 그애들의 실패가."

"왜 그런 생각을 했니?"

"그 애들, 앞으로도 그러고 살겠죠? 거절당하고, 실망하고, 수치를 느끼고. 그러면서 또 이것저것을 해 보고."

"아마 그렇겠지?"

" 그 느낌이 정말 궁금했어요. 어, 그러니까... 저는... 뭔가 실패할 기회조차 없었거든요."

"......."

"실패해보고 싶었어요. 실망하고, 그러고, 나도 그렇게 크게 울어보고 싶었어요."

 

아름이의 말 자체가 제게 중요한 메시지였습니다. 제가 무슨 말들을 덧붙이면 사족이 될까 저어되니, 열일곱 아이의 가슴저린 말을 읽고 떠오른 생각들을 적는 것으로 맺으렵니다. 

 

'거절당할까 봐, 결과에 실망할까 봐 혹은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느라 도전을 꺼리며 살았던 날들이 부끄럽구나! 뱃살을 빼려고 노력하는 일보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는 일이 더 중요하지 아닐까? 이리 살다가는 내 인생의 도전 경험은 십대와 이십대에서 그치겠구만.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으로 더욱 준비하느라, 아름이가 그토록 바라던 실패와 울음의 기회를 스스로 차 버린 건 아닐까? 사람은 도전과 실패라는 단어를 멀리하면서 늙어가는 건 아닐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IP *.9.168.7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76 신년 계획을 세우는 법 [1] 구본형 2007.01.05 4377
675 불가능한 꿈을 꾸고 그것을 향해 불타오르는 삶 file [3] 승완 2011.12.27 4377
674 마음으로 스며들 줄 아는 따뜻한 글쟁이 [5] 부지깽이 2008.10.24 4378
673 평화를 위하여 구본형 2007.01.19 4380
672 이는 사라지고 혀는 남는다 [3] 부지깽이 2011.05.20 4382
671 상상의 도서관 [2] 김도윤 2008.09.25 4383
670 친구이자 스승인 사람들, 꿈벗 홍승완 2006.11.20 4384
669 최선의 것이 부패하면 최악이 된다 [3] [1] 부지깽이 2011.04.01 4388
668 ‘소명’의 본질에 대해 생각한다 file [4] 승완 2011.06.07 4388
667 냉정하고 땨뜻한 패러독스 file [4] 구본형 2008.12.12 4392
666 [앵콜편지] 하루를 똑같이 다루는 것처럼 부당한 일은 없다 최우성 2013.07.26 4395
665 부정의 힘(Power of Negativity) 문요한 2007.01.23 4400
664 두려움에 물들지 않는 삶 문요한 2013.07.17 4401
663 나의 진짜 이름은 무엇인가 file [2] 승완 2012.12.25 4404
662 낙관주의와 현실주의를 함께 활용하라 file 승완 2011.05.31 4408
661 행복한 질문 최우성 2013.01.14 4408
660 노 젓는 손을 쉬지 마라 [2] 부지깽이 2009.11.06 4414
659 당신은 이미 시계를 차고 있다 문요한 2011.11.02 4417
658 맹인들의 뜀박질 한명석 2007.01.11 4422
657 [앵콜편지] 아, 내 가슴에 두 영혼이 살아있구나 최우성 2013.08.16 4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