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최우성
  • 조회 수 4397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7월 26일 07시 54분 등록

새벽 4시가 되면 절에서 치는 종소리가 울려 퍼집니다. 천천히 소리가 사라지기를 기다려 다시 칩니다.

다시 종소리가 울려 퍼집니다. 내 하루는 그렇게 시작합니다.

 

겨울을 빼고 그렇게 두 시간 쯤 글을 쓰다보면 동이 터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종종 산 위에 해가 떠오를 무렵의 사진을 찍어 두곤 합니다. 디지털 카메라를 산 다음부터 생긴 최근의 취미입니다. 새벽을 찍어둔다는 생각은 내게 꽤 재미있게 다가 왔습니다.

 

자세히 보면 새벽의 모습은 늘 다릅니다. 구름을 붉게 물들이며 시작하는 새벽도 있고, 푸르스름한 묘한 새벽도 있고, 해가 언제 떠오르는 지도 모를 만큼 아무 소리 없이 슬그머니 시작하는 새벽도 있습니다.

 

모든 새벽은 그 얼굴이 다 다릅니다. 그러므로 모든 하루는 시작부터 다릅니다. 하루를 똑 같이 다루는 것처럼 부당한 일은 없습니다,

 

하루를 다루는 기술에 따라 인생이 달라집니다. 나처럼 새벽에 글을 쓰는 포항에 사는 김 선생이 며칠 전 책을 한 권 써서 보내며 내게 추천사를 부탁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써 보냈습니다.

 

“ 지난 번 책이 나온 후 다시 1년이 지나 또 하나의 책이 세상에 나왔습니다. 그 동안 하루도 거르지 않고 한 번의 새벽도 낭비하지 않은 결과입니다. 좋은 가수가 매일 노래하듯, 좋은 글쟁이는 매일 씁니다. 이 책이 바로 그 책입니다”

 

이제는 고인이 된 피터 드러커가 ‘인생의 진짜 문제는 무엇을 할 지 모르는 것이 아니라 아무 것도 하고 있지 않다는 데 있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하루는 무엇을 하기에도 안성맞춤인 좋은 날입니다. 그리고 모든 새벽은 하루를 길게 만들어 줍니다. 인생에서 하루를 잘 보내고 정리할 수 있는 능력은 다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최고의 능력입니다.

 

오늘에게 우리를 달라지게 하는 권한을 줘보기 바랍니다.

 

(2006.9.22. 앵콜편지)

 

 

■ 앵콜편지 안내

 

구본형 선생님의 앵콜편지는 8월까지 발송예정입니다.

9월부터 금요편지는 새롭게 구성된 변화경영연구소 기념사업팀에서

‘구본형 다시 읽기’라는 주제로 편지를 보낼 것입니다.

 

IP *.30.254.2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6 [화요편지]삶의 기쁨이 깨어나는 시간, 아난다 인요가 file 아난다 2020.12.22 6335
655 같이 오른다는 것에 관하여 (데날리 이야기) [2] 장재용 2020.12.22 1645
654 크리스마스 운제 2020.12.24 1443
653 [용기충전소] 매일 매일이 새로워지는 비법 file [1] 김글리 2020.12.25 2109
652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0] 은퇴 후 나는 무엇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 [1] 습관의 완성 2020.12.27 1773
651 [화요편지]가장 사랑하는 그들이 나를 아프게 할 때 file [2] 아난다 2020.12.29 1858
650 캐나다 록키산맥 Mt. Cascade 등반기 [1] 장재용 2020.12.29 1585
649 마지막 편지 [4] 운제 2020.12.31 1575
648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1] 꿈을 찾아 퇴사부터 하려는 당신에게 [2] 습관의 완성 2021.01.03 1862
647 [화요편지] 책 속에는 답이 없다, 그러나 file [2] 아난다 2021.01.05 2107
646 에트나(Mt. Etna)에 있드나 [1] 장재용 2021.01.05 1944
645 목요편지를 시작하며 [2] 어니언 2021.01.07 1364
644 [용기충전소] 불안을 친구로 만들기 김글리 2021.01.08 1449
64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깨져야만 알게 되는 것들 file 알로하 2021.01.10 2146
642 [월요편지 42] 미래에서 온 아버지의 첫 편지 [1] 습관의 완성 2021.01.10 1651
641 [화요편지]'책 속에는 정말 답이 없는 거냐'고 묻는 당신에게 [2] 아난다 2021.01.12 1601
640 수틀리면 터져버리는 그녀, 에트나처럼 [1] 장재용 2021.01.13 1625
639 [목요편지] 사랑을 위해 죽음을 택하다 [3] 어니언 2021.01.14 1176
638 [용기충전소] 거북이가 이긴 이유 [1] 김글리 2021.01.15 1974
63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아프니까 프로다 [2] 알로하 2021.01.17 1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