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야
  • 조회 수 8352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3년 8월 22일 12시 50분 등록

화분에 옮겨 심은 봉선화와 담장 아래 자란 봉선화

옥상텃밭과 골목화단을 가꾸면서 봉선화 꽃씨를 뿌려 새싹을 키웠다. 봉선화 모종을 화분에 옮겨 심으면서 화분에 옮겨

심은 것과 담장 아래 자라는 봉선화의 환경에 따른 성장모습의 차이를 컸다.

 

봉선화: 인도가 원산지이며 정원에 많이 심는 한해살이식물이다. 봉숭화 라고도 한다. 키는 75cm 정도 까지 자라며, 주기는 두껍고 즙액이 많다. 잎은 피침형이며 옅은 초록색을 띈다. 꽃에는 꽃잎이 다소 불규칙하게 무리 지어 달린다. 봉선화꽃은 원래 분홍색을 띄지만 흰색, 노란색, 주홍색, 짙은 붉은색 등 다양한 색깔을 띄는 변종들이 많이 있다. 봉선화는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정다운 꽃이며, 일제강점기에는 망국의 한을 노래하던 꽃이기도하다. 또한 여름에는 봉선화의 꽃잎으로 손톱에 물을 들이기도 한다

.- 출처 : 웅진학습백과 16권 119P

 

 

       - 봉선화 싹 틔우기 -

 

IMG_0003 (2).JPG20130525_084433.jpg

 

2013. 5. 20

4월초 봉선화꽃 씨앗을 뿌렸다. 담장 아래는 씨앗을 흙에 버무려 뿌려 두었다. 올해는 날씨가 추워 새싹이 늦게 나왔다. 매일 아침 물을 주어 새싹을 키웠다.

-봉선화 화분으로 옮겨심기 -

20130602_085539.jpg 20130604_063025.jpg 

2013. 6. 6

동생과 함께 봉선화를 캐서 화분에 옮겨 심었다. 봉선화의 뿌리가 새싹만큼 길게 뻗어있었다.

옮겨 심은 봉선화가 많이 자랐으며 건강한 상태이다. 옮겨 심었을 때는 쭉 늘어져 힘들어 했으니 물을 주고 몇 시간 지나자 생생해졌다.

 

 

    -봉선화 성장 비교 관찰 -

                                                                 20130630_075935.jpg               

2013. 6. 30

담장 아래 아주 적은 흙속 보도블록 위에서 난 봉선화는 느리게 자랐지만 싱싱하고 풍성한 옆가지를 펼치며 자랐다. 그러나 화분에 담긴 봉선화는 아침에 매일 물을 주었지만 옆가지를 내지 못하고 위로만 자랐으며 잎이 누런색을 띠었다.

마치 병든 것 같았다.

 

 

20130725_135000.jpg   20130725_134920.jpg

 

  2013. 7. 20

장마철이 지나면서 담장 아래 봉선화는 더욱 싱싱하게 자랐다. 옆에 놓은 화분 봉선화를 가릴 정도로 크게 자랐다. 봉선화는 물을 많이 먹는 식물로 수분이 많은 곳에서 잘 큰다.

 

 

    - 봉선화 꽃 관찰 -

    20130810_102618.jpg  20130810_102606.jpg

  

2013. 6. 20

봉선화 꽃은 6월~8월까지 피는 여름꽃이다. 제비꽃을 닮았다. 담장 봉선화는 꽃송이가 크고 꽃잎이 더 두툼했으며 꽃이 더 오래 피어있었다. 그러나 화분의 봉선화는 줄기에 난 꽃의 간격도 넓고 꽃이 빨리 졌다.

 

 

- 봉선화 열매 관찰 -

20130810_102738.jpg  20130810_102425.jpg

       

2013. 8. 8

꽃이 아래쪽에서 피어도 위로 줄기가 더 자라 오랫동안 꽃을 볼 수 있다. 꽃이 지면 타원형의 둥근 씨앗 주머니가 생긴다.

씨앗주머니는 익을수록 노란색이 되고 손으로 건들거나 충격이 가해지면 탄력을 받으며 터져 씨앗을 멀리 날려 보낸다. 손을 대면 갑자기 터져 놀라기도 하며 재미있기도 하다. 씨앗은 잘 익을수록 짙은 갈색이 된다.

 

 

    - 봉선화의 뿌리 관찰 -

20130725_134942.jpg    20130821_074608.jpg

   

담장 아래 봉선화의 줄기는 마치 고목처럼 크고 뿌리가 윗부분까지 올라와 있다.

보도블럭 사이에 단단하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 우리는 화분 봉선화에만 물을 자주 주었지 담장 봉선화는 물을 자주 주지 않았다. 매일 물을 주지 않으면 시드는 화분 봉선화에 비해 담장 아래 봉선화는 시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봉선화 뿌리는 물을 찾아 단단한 보도블럭 사이로 뿌리를 내렸다.

화분의 봉선화는 더 이상 뻗어나갈 곳이 없어 서로 엉켜있다. 이정도면 화분을 갈아 주었어야 하는데 안타깝다. 화분속이 흙보다 뿌리가 더 많다. 

 

식물은 잎으로도 수분을 흡수하지만 대부분은 뿌리를 이용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한다. 화분의 봉선화는 화분 속에서 물과 영양분을 충분히 먹지 못해 일찍 시든 것 같다. 반대로 담장 봉선화는 마음껏 줄기를 뻗어 물을 먹어 오랫동안 꽃을 피우고 성장했다. 따라서 식물은 자라는 환경에 따라서 성장에 큰 영향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화분에 식물을 키울 때는 제때에 화분을 갈아주어야 한다. 우리 가족은 내년에는 화분 갈아주는 시기를  놓치지 않기로 했다. 식물도 자라는 생물이므로 좋은 환경과 알맞게 키우기 위해서 봉선화 등 각각 식물에 대해 공부도 더 많이 해야겠다.

 

 

IP *.12.2.67

프로필 이미지
2013.08.23 14:43:22 *.43.131.14

나옹양이 큰 아이인가 봅니다.

펫병을 잘라서 칠하고 그린 재활용 화분을 봐요. 이뻐요.

어쨎든 가둬 기르는 것보다는 시멘트 사이 조각 흙이라도 땅에 기르는게 더 튼실하군요@@ 

저도 애들과 봉선화 길러볼까봐요.

올해도 심었는데 싹이 안났어요.

그 자리에 방울토마토 모종 사다 심었는데 웃자라기만 하고 안 달리대요.

프로필 이미지
2013.08.23 20:32:41 *.244.220.253

좋네요~ 이렇게 식물을 키우는 분들이, 참 존경스럽습니다.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2 모든 위기는 또 다른 기회다 정승훈 2020.03.06 1142
111 매체를 활용한 통합독서에서 생각을 키우는 독서까지 [8] 정승훈 2020.05.21 1077
110 1주1글챌린지_'아이와 함께 하는 삶'_01 [9] 굿민 2020.05.24 1091
109 혁명으로 가는 길 [5] 불씨 2020.05.24 1045
108 #1 자기소개 - 희동이 [6] 희동이 2020.05.24 1043
107 '지그미 오'를 소개합니다 [8] 지그미 오 2020.05.24 1115
106 내 영혼을 바꾼 불멸의 문장들 [5] 어니언 2020.05.24 1218
105 1주1글 챌린지 - 종종입니다 [4] 종종걸음 2020.05.25 1088
104 소년원 독서 강사를 지원한 이유는 [5] 정승훈 2020.05.29 1260
103 인생을 바꾸는 한마디 [4] 불씨 2020.05.31 1191
102 아무 노래나 일단 틀어 [6] 희동이 2020.05.31 1075
101 오쌤의 수업풍경 프롤로그 [10] 지그미 오 2020.05.31 1091
100 새로운 삶의 방식에 대한 실험(독서시) [6] 어니언 2020.05.31 1170
99 1주1글챌린지_아이와함께하는삶_02 [11] 굿민 2020.05.31 1025
98 갈비탕으로 알아줘요 [7] 종종걸음 2020.05.31 1050
97 슈렉을 통해 다시 생각해보는 아름다움의 기준 file [4] 정승훈 2020.06.05 1186
96 1주1글챌린지_아이와함께하는삶_03 [6] 굿민 2020.06.07 1037
95 나에게 돌아가는 길 [2] 불씨 2020.06.07 1096
94 오쌤의 수업풍경-꼬마 디다가 이긴 이유 [6] 지그미 오 2020.06.07 1118
93 나의 의도대로 사는 삶_월든 file [3] 어니언 2020.06.07 1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