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유형선
  • 조회 수 823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9월 2일 10시 02분 등록

기억 꿈 사상

 

카를 구스타프 융 / A. 아페 편집 / 조성기 옮김

김영사

 

1. 지은이에 대하여

카를 구스타프 융

1875년 스위스 북동부 케스빌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바젤 대학교 의학부를 졸업한 후 취리히대학교 부설 부르크휠츨리 정신병원에서 수많은 환자의 심리분석작업을 통해 자신만의 정신치료법을 확립했다. 그 과정에서 당시 학계에서 외면당하고 있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연구를 이해하고 확증했으며, 1907년 이후에는 공동작업을 하기도 해 프로이트의 후계자로 여겨졌다. 그러나 성격과 견해 차이로 인해 5년 만에 결별했다.

프로이트와 결별한 후 융은 어린 시절부터 경험한 강렬한 꿈과 환상 등 자신의 신비한 경험을 집중적으로 기록하고 연구하면서 신화와 역사, 연금술 등에 심리학적인 의미를 부여했다. 여기에서 집단무의식이론이 나왔는데, 이 개념은 원형이론과 결합되어 종교심리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분석심리학의 기초를 세운 융의 업적은 오늘날 심리학뿐 아니라 종교와 문학 등 인문 전 분야의 연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만년에 융은 역사를 꿰뚫어보는 시사논평으로도 명성을 얻었으며, 1961 85세를 일기로 퀴스나흐트에서 죽었다. 대표적인 저작으로 <리비도의 변환과 상징>, <자아와 무의식의 관계>, <황금꽃의 비밀>, <정신의 에너지에 대하여>, <심리학과 종교>, <심리학과 연금술>, <아이온>, <욥에의 회답>, <인간과 상징> 등이 있다.

 

조성기

1951년 경남 고성에서 태어나 서울법대를 졸업했다. 장로신학대학원 졸업시 카를융의 분석심리학에 기초한 논문 <삼위일체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로 학위를 받았고, 카를 융의 분석심리학을 응용한 <마음의 비밀> 강연회를 학교, 기업, 각종 단체 등에서 수십차례 개최했다.

1971년 소설 <만화경>으로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했으며, 1985 <라하트하헤렙>으로 제9회 ‘오늘의 작가상’을 수상함으로써 창작활동을 재개했다. 1991년 중편 <우리시대의 소설가>로 제15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야훼의 밤> <왕과 개> <통도사 가는 길> <욕망의 오감도><우리시대의 사랑><잃어버린 공간을 찾아서> 등 다수의 소설을 발표했다.

<한경직 평전><유일한 평전>을 저술했으며, 번역서로 <삼국지>(10권 모종각>, <악마를 찾아내는 46가지 방법>(쿠르트 E.코흐), <예수의 일기>(노먼 메일러) 등이 있다. 현대 숭실대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있다.

 

2. 마음을 무찔러 오는 글귀 (첨부참조)

 

3. 내가 저자라면

작년, 144일간의 파업 속에서 미칠 것 같은 정신적 충격을 버터내며 융 해설서를 읽었었다. 조셉 캠벨 덕분이기도 했다. 이번에는 융 자신이 기술한 원저를 읽었다.

 

융음 나에게 나만의 세계를 가진 자의 고독을 사랑하는 법을 알려주었다. 융이 고맙고 고독을 지켜온 내가 고맙다. 융은 나에게 이런 내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알려주었다.

내 자신 속에는 시간이나 인종의 장벽을 훨훨 뛰어넘는 또하나의 내가 존재한다. 또 다른 나는 무한한 소통능력을 가졌기에 일상의 나에게 자꾸만 곤혹스러운 유혹의 손길을 펼친다. 그러나 변화의 시점을 늘 먼저 알려주고 유한한 나를 더 크고 넓은 시각으로 바라보며 새로운 길을 갈 수 있는 길잡이이자 일상의 고단한 나를 도닥여 품어주는 평생의 반려자이기도 하다.

 

나만 그런 것이 아니었다. 누구나 자신안의 또다른 자신을 상대해 왔다. 다만 융처럼 인지하느냐 그렇지 못하느냐의 차이였을 것이다. 융처럼 또 다른 자신의 특성을 파악하고, 좋은 관계로 소통하느냐 파국의 흐름으로만 치닫는가의 문제였다. 종교, 예술, 직업, 가족 등의 현실 속 형태를 통해 자신 속의  또다른 자신과 조율하고 조절하며 생의 에너지를 사용한다.

 

다만, 책을 읽으며 아쉬운 점이 있다. 너무나 철저하게 자신 내부의 세계만을 그리기에 자신에게 영향을 준 사랑이야기가 적다. 자신을 사랑하고 아껴준 연인이나 가족 이야기가 너무 소홀하지 않았나 싶다.

 

2013-09-02

 

IP *.6.57.60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 북리뷰 66 : 타르코프스키는 이렇게 말했다. - 김용규 [2] 범해 좌경숙 2011.01.07 7935
131 마음을 비추는 거울/ 신봉승 박혜홍 2019.02.24 7942
130 #48. 글로벌 소프트웨어를 말하다 - 지혜편 불씨 2019.03.03 7971
129 [북리뷰 010] 이순신 <난중일기> file [4] 김경인 2011.06.05 8021
128 학문의 즐거움 - 히로나카 헤이스케 著 - 허성일 2004.10.12 8026
127 서지문의 뉴스로 책읽기 박혜홍 2019.03.03 8033
126 <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 프리초프 카프라> [1] 김연주 2010.11.29 8067
125 [18] 사람의 성격을 읽는 법/ 폴 D.티저와 바버라 배런- 티저 [11] 써니 2007.07.28 8112
124 오디세이아 (호메로스) file [3] 장재용 2012.05.15 8113
123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_존브래드쇼 [2] 양갱 2012.07.03 8159
» 9월 1주차_융_기억 꿈 사상 (9기 유형선) file 유형선 2013.09.02 8235
121 아직도 가야 할 길-스캇펙(完) [5] [2] 오병곤 2005.10.04 8237
120 [북리뷰 015] 버트런드 러셀 <서양철학사> file 김경인 2011.07.11 8244
119 즐거운 지식 - 니체 file [10] 학이시습 2012.10.22 8275
118 [2-19] 국립자유경제고등학교 세실고 - 양혜석,타파리 file [2] 한정화 2013.11.06 8290
117 파우스트-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정서웅 옮김 file [4] 학이시습 2012.06.18 8325
116 53. 비폭력 대화 – 마셜 B. 로젠버그 file [1] [1] 미나 2012.05.01 8373
115 인연 - 피천득 수필집 [1] 장우석 2004.10.14 8400
114 북리뷰 67 : 주님의 아름다우심을 우러러 - 헨리 나웬 [1] [2] 범해 좌경숙 2011.01.11 8441
113 모리와 함께한 화요일 손원일(plus3h) 2004.10.11 8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