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쭌영
  • 조회 수 2110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3년 9월 9일 01시 26분 등록

가족 구성원 한명이 떠난 자리는 이상하게 티가난다. 특히 집 안에서 그 특유의 묘한 애잔함이 자리잡고 있다. 그러니깐 그 방에 들어가면 아 이방은 지금 주인이 없구나라는 느낌이 든다. 머 간단하다. 소품들 배치가 너무 정돈되어 있다거나, 먼지가 쌓이지 않을 곳에 먼지가 쌓여있다거나 하는 식이다.

그런데 이게 조금 신기하다. 청소를 하고 안하고의 문제가 아니다. 생각해보면 물건, 가구, 쓰던 소품까지 모두 그대로인데 딱 그 방에 들어가면 이상한 기운이 흐르는 것이다. 무채색 느낌의 아련함일까? 온기가 없다는 건 아니라, 그냥 그 공간 안에 있으면 허전함이 느껴진다.

예민해서 그런걸지도 모르지만 주인 없는 방에 가면 어릴적 할머니의 가구가 생각이 난다. 초등학교 시절, 할머니가 몸이 안 좋으셔서 우리집에 같이 살게 되었다. 방이 부족해서 난 할머니와 같은 방을 쓰게 되었다. 안그래도 작은 내방에 할머니를 위한 작은 가구들이 들어오면서 방이 더 좁아지게 되었다. 방이 좁아지는 게 싫지는 않았다. 나전칠기가 박힌 늙은이 취향의 가구들 역시 싫지 않았다. 난 정말로 할머니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할머니에게 상냥하지 않은 모든 이들을 공격했고, 가끔 할머니 먼저 수저를 드는 아버지에게 훈계를 하기도 했다. 할머니는 무조건 내 편이였고, 나 역시 무조건 할머니 편이였다. 용돈을 받으면 할머니를 위한 화과자나 흥부전같은 판소리 태잎을 사오기도 했다. 내 선물들이 할머니의 취향이 아니라는 것은 어렴풋이 알고 있었지만 그래도 뭔가를 해드리고 싶었다. 더운 여름날은 할머니는 밤새도록 부채질을 해주셨는데, 어쩌면 그런 희생에 대한 보답을 해야 한다고 느꼈던 것 같다.

할머니의 병세가 약회되시고 병원에 들어가시게 되었을 때, 내 방에 있는 할머니의 가구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고민이였다. 난 대학 때문에 곧 이 방을 떠날 계획이였고, 할머니는 다시는 이 방에 못 오실 것이라는 예감이 들었기 때문이였다. 이미 그 시점에는 가족들 모두 할머니를 하늘로 보내드릴 각오를 하고 있었다. 어쨌든 난 절대 가구는 버리지는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대학 때문에 서울에 올라왔다. 이곳 낯선 곳의 생활이 재밌었는지 할머니에 대한 생각도, 집에 가는 것도 무심했다. 잘하는 게 없어서 그랬는지 난 하고 싶은 것도, 해야 할 것도 많았다. 나의 게으름과 별도로 끊임없이 불안해 했다. 그리고 어정쩡한 대학생활을 하다가 할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다.

장례식 때문에 오랜만에 돌아온 내 방은 모든 게 그대로였다. 침대, 책상과 책장의 책까지 전부 그대로 있었다. 혹시 아들을 그리워 하는 엄마의 이상한 취미인 건 아닐까 싶었지만 엄마는 그냥 귀찮아서라고만 대답하셨다. 오랜만에 보는 할머니의 가구 역시 그대로였다. 그 특유의 나전칠기 문양 역시 그대로였다. 그날 난 그 안에 있는 할머니의 소품들을 꺼내보면서 할머니를 추억했다. 내가 사다드린 테잎들과 할머니의 싸디싼 조악한 소지품들을 한참을 보았다. 왜 불편한 참빛을 쓰시는 건지, 파스는 왜 잘게 잘라서 사용했는지 생각할수록 마음이 먹먹해졌다.

할머니의 장례식은 슬펐다. 지금까지 어떤 장례식보다 가슴이 아팠다. 엄마가 우는 모습도, 그리고 내가 남들앞에서 울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하지만 그것과는 별개로 할머니의 가구는 곧 버려졌다. 내 방은 내가 떠나고서 몇년동안 보존되었지만 할머니 가구는 장례식을 기점으로 버려졌던 것이다.

엄마가 할머니의 가구를 버린 이유는 나는 모른다. 아마 쓸 이유도 없고 공간도 부족해서 였을 테다. 그리고 당시에 내가 가구를 지키지 않은 이유 역시 기억나지 않는다. 아마 더이상 그 방에서 지낼 이유가 없어서 였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면 후회가 된다. 할머니의 많은 부분을 너무 쉽게 포기한 느낌이 든다.

할머니의 가구는 할머니가 아니다. 내방 역시 그 시절의 내가 아니다. 하지만 그런 이성적인 것과 별개로 주인 없는 방과 주인없는 소품은 가끔 그 존재로 의미가 있기도 하다. 내가 사랑했던 사람, 그리로 그 풋풋한 그 시절의 우리를 기억하게 해준다. 할머니의 가구는 어쩌면 나에게 할머니였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앞으로 내가 꾸려나갈 가족중 누군가 먼저 내 곁을 떠나게 된다면 난 그 방을 그대로 보존하고 싶다. 그건 버려버린 할머니의 가구에 대한 내 마지막 보답이다.

IP *.251.229.239

프로필 이미지
2013.09.09 17:33:16 *.43.131.14

서재에 가보고 오셨군요. 다녀오신 사진 밴드에서 봤습니다.  할머니를 많이 좋아하셨구나 싶어요. 잘 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09.13 22:07:13 *.108.69.102

역시나 담담하면서도 글쓴이가 드러나는 글이 참 좋네요.

할머니의 사랑을 귀찮아 하지 않고 보답하려고 한,  감성적인 아이가  정겨워요.

 

그래서 말인데^^  늙은이 취향은 너무 야박한 표현인듯.  노인 취향 정도?

반면에 '참빗'을 왕창 과대포장해 준 '참빛'은 너무 재미있네. ㅋ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52 #16. 김기덕과 그림자 [4] 땟쑤나무 2013.09.02 1816
1551 '내 속의 나'와 벌이는 숨바꼭질 [4] 유형선 2013.09.02 4517
1550 삶은 세상에 대한 적극적인 해석 [4] 오미경 2013.09.02 2089
1549 [No.5-1] 엄마, 엄마, 엄마? 엄마 아니야...-9기 서은경. file [10] 서은경 2013.09.02 2346
1548 #3_가치투자? 나는 개뿔이라고 생각한다. [2] 서연 2013.09.03 3957
1547 변화는 나의 벗 file [1] 효인 2013.09.05 2116
1546 맞다. 우리 집에는 뒤 안이 있었다. [1] 정야 2013.09.05 2339
1545 방문판매 세일즈 - 1. TAXI 법칙을 기억하라 [1] 書元 2013.09.08 1995
» #17. 구선생님의 서재에서 할머니가 떠올랐다. [2] 쭌영 2013.09.09 2110
1543 #4_고통 바라보기 [1] 서연 2013.09.09 2079
1542 #17. 인생이란 이름의 퍼즐맞추기 [2] 땟쑤나무 2013.09.09 2021
1541 낙타의 노래 [4] 유형선 2013.09.09 2244
1540 [9월 2주차] 과거를 회상하다... [5] 라비나비 2013.09.09 2025
1539 몸이 영혼이다. [4] 오미경 2013.09.09 1922
1538 활력있는 삶 [2] 최재용 2013.09.09 2110
1537 [No.5-2] 엄마 보다 세상- 호기심과 모험심.-9기 서은경. [3] 서은경 2013.09.09 2284
1536 #5_경제기사 읽는 코드 [1] 서연 2013.09.10 2047
1535 모든 아이들은 가정을 가질 권리가 있다 [1] 단경(旦京) 2013.09.11 2433
1534 [날팸] 쓸쓸한 가을밤, 사부를 그리다 [4] 땟쑤나무 2013.09.12 1901
1533 신화적 공간 [2] 효인 2013.09.12 1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