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자유

주제와

2013년 9월 10일 10시 01분 등록

직장인, 책에서 길을 묻다

 

휴가 계절이 끝났다. 휴가 하면 자유, 설렘, 여유가 떠오른다. 모두 긍정적인 이미지다. 그런데 현실은 어떤가. 매해 여름휴가철 이후에 종종 등장하는 신문 기사가 있다. 바로 ‘여름휴가 후유증’이다. ‘쉬고 나니 더 힘드네’라는 식의 제목을 달고 있는 기사들은 많은 직장인이 휴가 후유증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후유증은 무기력, 두통, 소화불량 등 다양하지만, 한 가지 공통점은 심신에 부정적인 것이라는 점이다. 정작 휴가를 다녀온 뒤에는 몸과 마음이 더 무겁다.

 

잘 쉬는 기술을 뜻하는 ‘휴테크(休-tech)’의 본질은 ‘무뎌진 도끼날을 정기적으로 가는 것’이다. 쉬지 않고 나무를 베면 단기적인 성과는 클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부작용을 초래한다. 몇 해 전 슬럼프에 빠진 유명한 여자 프로골프 선수가 아버지에게 “다른 건 다 가르쳐 주고 왜 쉬는 법은 가르쳐주지 않았느냐”고 불평했다고 한다. 그는 “골프에 지쳤다. 이제 골프에서 잠시 빠져 나오고 싶다. 골프 말고 다른 일상생활을 즐기는 게 필요하다”고 했다.

 

휴가의 목적은 휴식과 에너지 충전이다. 하지만 많은 이들의 휴가는 휴식과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큰마음 먹고 떠난 여행은 휴식이 아니라 전투에 가깝다. 바쁘게 차를 타고 신속히 몇 곳을 둘러보며 사진 찍기에 급급하다. 어떤 이들은 충분히 쉬기 위해 집에 머물지만 주로 하는 일은 텔레비전 리모컨 누르기다. 이러면 에너지가 충전되기는커녕 무기력해진다.

 

문화심리학자 김정운 박사는 저서 <노는 만큼 성공한다>에서 휴식의 참뜻을 알려준다. “휴(休)는 사람(人)이 나무(木)에 기대 앉아 있는 모양이다. 식(息)은 자신(自)의 마음(心)을 돌아보는 것이다. 나무에 기대어 앉아 자신의 마음을 돌아보는 것이 휴식이다. 즉, 나무에 기대어 내가 나하고 대화하는 것이다.” 휴식을 통해 우리는 내 안의 슬픔, 걱정, 화를 보살피고 내보낼 수 있으며, 작은 기쁨과 행복을 음미할 수 있다. 악보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음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쉼표도 연주해야 한다. 쉼표 없는 음악은 소음에 가깝다. 삶이라는 악보를 연주하는 데도 일이라는 음표와 함께 휴식이라는 쉼표가 필요하다.

 

각 분야에서 롱런하는 고수들은 나름의 에너지 충전법을 가지고 있다.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 바이올린 연주로 스트레스를 풀었고, 세계적인 자동차 경주 선수 미하엘 슈마허는 아마추어 이상의 실력을 가진 축구 선수로 알려져 있다. 영국의 정치가 윈스턴 처칠은 낮잠으로 에너지를 보충했던 것으로 유명하다. 2차 세계대전 기간에도 매일 낮잠을 즐긴 처칠은 “낮잠은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가야 할 책임을 완수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했다. 이처럼 누구에게나 자신만의 에너지 충전법이 필요하다. 갈지 않은 도끼로는 오랜 시간 나무를 벨 수 없다.

 

홍승완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kmc1976@naver.com

 

1378723934_00482278801_20130910.jpg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이름으로 한겨레 신문에 연재하고 있는 일곱번째 칼럼이 9월 10일자에 실렸습니다.

아래 링크 참고하시고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 드립니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working/602757.html

 

IP *.252.144.139

프로필 이미지
2013.09.10 20:51:19 *.209.210.167

삶이 휴가처럼 언제나 여행이고 놀이가 되는 그 분을 따라하고 싶은날  승완님 좋은글 잘 보았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28 [한겨레신문] 박승오 칼럼 '실용서 편식했다면, 이젠 인문... 재키제동 2013.10.08 2051
2927 유쾌한 실험 100일 창작 전시회 file [7] 한정화 2013.10.05 3247
2926 Love Virus 엽서 전시회를 앞두고.. file [3] 강현 2013.10.05 2423
2925 작은 것의 확대보다 결합이 위대함이다 강현 2013.10.05 1951
2924 <나침반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10/19(토)~20(일) file 옹박 2013.10.04 3362
2923 가입인사 [1] 사무사 2013.10.03 2254
2922 인문학강의 9월 후기&10월 강좌에 대한 설레임^^ file [5] 강현 2013.10.02 2465
2921 우리 숲에 오셔서 산더덕 캐가지고 가세욤 [1] id: 숲기원숲기원 2013.09.30 2559
2920 함성 영남권9월모임 김달국가수의 막춤과 노래욤 id: 숲기원숲기원 2013.09.28 2391
2919 구본형-함성영남권9월모임 강의는 홍순철교육네트워크 시선 대... [3] id: 숲기원숲기원 2013.09.28 3530
2918 영화 '관상'과 책쓰기 한 명석 2013.09.25 2469
2917 달려라 작가야- 매일쓰기 10월 (3차) 참여자 모집 뎀뵤 2013.09.24 2371
2916 [한겨레신문] 유재경 칼럼 '훌륭한 제자 알아본 스승, 다... [2] 재키제동 2013.09.24 2459
2915 구변경연-함성 영남권 9월모임 개봉박두! file [2] 운 전 2013.09.23 2339
2914 살롱9에서 매거진 <B>를 읽을 수 있습니다. file [4] 김영훈 2013.09.21 4754
2913 100일창작 함께할 분 찾습니다. file [2] 한정화 2013.09.17 1826
2912 [부고] 꿈벗13기 정양수님 부친상. [6] 햇빛처럼 2013.09.13 2688
2911 <책쓰기과정모집>글쓰기와 책쓰기를 함께 해결하는 전천후프로... 한 명석 2013.09.13 2669
2910 구변경연-함성 영남권 9월 모임 공지! file [8] 운 전 2013.09.12 2022
2909 이들과 함께라면 저승이라도 코올~!!(2013년 몽골여행 뒷풀이... file [3] 강현 2013.09.11 3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