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구본형

구본형

개인과

/

/

  • 구본형
  • 조회 수 6162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0년 4월 19일 14시 30분 등록

장 자크 루소는 자신을 비하하는 것을 즐겼다. 실제로 그는 윤리적 덕을 갖추지 못한 문제가 많은 사람이기도 했다. 그러나 그것을 숨기려 하지 않았으며 때로는 과장하기도 했다. 그는 감수성에 호소하고, 열정을 믿는 낭만주의의 창시자였으며, 자연 상태의 '고결한 야만인'을 찬미했다. '인간 불평등 기원론'이라는 논문을 써서 당시 최고의 명성을 얻고 있던 볼테르에게 보냈는데, 볼테르는 다음과 같이 조롱으로 가득한 답장을 써 보냈다.

"인류의 진보에 반대하는 새로운 책을 고맙게 받았습니다... 이만한 기지로 우리를 동물로 만들려고 시도한 사람은 귀하를 빼놓고는 없을 겁니다. 책을 읽으니 네 발로 기고 싶어집니다. 그러나 나는 그런 습관을 버린지 60년이나 지났기 때문에 불행하게도 기는 습관을 다시 시작할 수는 없습니다"

루소와 볼테르는 결코 어울릴 수 없는 앙숙이었다. 볼테르에게 루소는 이성을 믿지 않는 백해무익의 감정적 인물이었고, 루소에게 볼테르는 '불경스러운 나팔, 얍삽한 천재, 야비한 영혼' 이었다. 앙숙은 서로 싸웠지만 그러나 둘 사이에는 미묘한 존중이 있었던 것 같다.

 루소는 볼테르에게 보낸 편지 중에 이렇게 썼다. "나는 당신이 싫습니다. 당신이 그렇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당신이 원했다면, 나는 기꺼이 당신을 사랑했을 겁니다"

볼테르 역시 스위스 당국이 루소의 책을 불태어 버리자, 그 처사를 공격하며, 루소에게 따뜻한 편지를 써 보냈다. "나는 당신이 말하는 것에 하나도 동의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말할 수 있는 당신의 권리를 죽을 때 까지 옹호할 것입니다." 그리고 적들로 부터 도망칠 곳이 없다면 자신의 처소로 오라고 초청했다. (두 사람 모두 자신들이 한 주장들로 인해 고달픈 망명의 길에 오르곤 했다.   만일 두 사람이 한 처소에 있었다면 무지 웃기는 해프닝이 많았을 것이다. )

그들은 인간적인 흠집 때문에 후세의 웃음거리가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능과 그 정신의 위대함으로 찬란하다. 시대를 거스르는 사상으로 탄압을 받았지만, 그 용기로 인해 칭송받았다. 위대한 진보가 이루어지려면, 먼저 기득권층의 비난이 폭우처럼 쳐들어오고, 그 비난의 뒤로 더 좋은 것을 바라는 억압된 무리의 칭송이 무지개처럼 뒤따르기 마련이다.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2016.09.04 00:39:33 *.139.108.199

진정 존중한다면 싸움을 피하지 않겠지요.

거짓 미소보다는,

진실된 직언이 더욱 값지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8.10.22 18:06:08 *.212.217.154

루소와 볼테르처럼,

때로는 앙숙으로 때로는 서로의 지지자가 되어주는

그런 건강한 경쟁자가 있다는것은 참으로 축복이지 싶습니다.


빛이 어둠이 없이 존재할 수 없듯이.

모든 새로운것들 또한 음과 양의 충돌에서 탄생합니다.

그 불안정한 조화로움을 그려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3 누가 유능한 사람인가 ? [2] 구본형 2004.07.01 8117
162 초아 서대원 선생 주역의 추천사 [4] 구본형 2008.01.23 8126
161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인간 경영 - 조선일보서평 [2] 구본형 2002.12.25 8165
160 상사의 말 중에서 절대로 곧이곧대로 믿으면 안되는 것들 [4] 구본형 2007.05.16 8186
159 탐험하라, 열린가슴으로 [5] [5] 구본형 2011.07.28 8196
158 일을 잘하려면 초점 경영을 익히세요 [8] [1] 구본형 2005.06.22 8236
157 일상의 지루함에서 벗어나는 법 [2] 구본형 2005.07.11 8242
156 빈공간은 왜 필요한가 ? - 데모크리토스의 생각, 생각탐험 27 [3] 구본형 2011.09.12 8265
155 NO 라고 말하는 법 [4] 구본형 2008.07.19 8266
154 시처럼 산다 -- 빠름과 느림이 만들어 낸 새로운 균형 file [5] [3] 구본형 2009.08.30 8274
153 결혼 file [7] [1] 구본형 2009.01.18 8279
152 부를 이루는 법 [3] 구본형 2004.04.17 8286
151 절정 순간 file [2] 구본형 2009.02.09 8305
150 창조적 부적응자’들을 위하여 [6] 구본형 2005.11.04 8308
149 브랜드 명성을 얻는 법과 잃지 않는 법 [2] 구본형 2005.08.09 8309
148 내가 신문을 읽는 법 [6] 구본형 2007.01.18 8310
147 오래 될수록 좋은 것 [5] 구본형 2011.12.19 8319
146 세상에 그린카드를 띄워라 - 나를 바꾸는 기술 한가지 [2] 구본형 2008.10.06 8322
145 재능은 어떻게 계발되는가 ? [6] 구본형 2010.10.11 8348
144 열 여덟번 째 책의 에필로그 - 일부 [7] 구본형 2011.01.07 8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