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구본형

구본형

개인과

/

/

  • 구본형
  • 조회 수 9186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10년 4월 23일 08시 58분 등록

  나라가 어려울 때, 자식을 내 놓을 수밖에 없는 사람, 그 사람은 비극적이다.  슬픔이 자욱하다. 내가 알고 있는 가장 슬픈 단어 중의 하나가 바로 '프롤레타리아트'라는 말이다.   이 말의 라틴어 어원은  '프롤레스 (proles)라고 한다.  '자식' 이라는 뜻이다.  로마시대 국가가 위기에 직면했을 때, 자식 밖에는 국가를 위해 헌상할 것이 없는 가난한 사람들, 그들이 바로 '프롤레타리우스'란다.  여기서 무산의 노동자 계급을 말하는 '프롤레타리아'라는 독일어가 생겼고,  이 말이 전 유럽에 퍼져 나간 것을 한참 후의 일이다.  

  이 말 속에 자식을 죽음의 장소로 보내야하는 부모의 서글픔이 가득하다.  그들이 없었다면 역사상 어느 나라도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나라를 지키지 못했을 것이다.  부자들이 함선과 가진 재물로 나라의 위기에 기여한다면, 가난한 사람들은 자신과 자식의 피와 생명으로 나라를 구한다.

   한 사회가 가진 슬픔 속에 젊은이들을 먼저 떠나보내는 슬픔만한 것은 많지 않다.  비가 그치고 햇빛이 찬란하다. 비온 다음의 태양이야말로 더욱 빛나기 마련이다. 젊음이 그 자체로 아름다운 그들, 그리고 그들을 떠나 보낸 21세기 한국의 '프롤레타리우스' 들의 슬픔을 위해 오늘은 아주 밝고 맑은 하늘이었으면 좋겠다.

오늘 나는 존 레논의 'imagine'을 생각한다. 2절 가사는 이렇게 시작한다.

Imagine there's no countries
It isn't hard to do
Nothing to kill or die for
And no religion too
Imagine all the people
Living life in peace

나라의 이름으로 사람을 죽이고 죽는 일이 없기를, 종교의 이름으로 자신을 죽이고, 남을 죽이는 일이 없기를... 우리 모두 그것이 '어려운 일이 아니라고' (It's not hard to do) 라고 믿을 수 있기를.
믿음은 바로 믿을 수 없는 것을 믿는 것이니,  이 단순한 일을 우리가 어느 날 갑자기 한꺼번에 믿을 수 있기를. 그렇게 되기를.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경빈
2010.04.23 09:11:49 *.183.177.20
정말 그리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나경
2010.04.23 09:38:51 *.131.41.34
네.....
프로필 이미지
병곤
2010.04.24 23:00:46 *.34.156.47
프롤레타리아가 그런 뜻이 있었군요.
얼마나 많은 사람이 정치와 종교의 이름으로 희생이 되었는지...
가슴이 아픕니다.
자기만 잘났다고 하는 그 오만을 제발 벗어나(벗어나긴 어렵겠지만)
정말 순수한 마음과 관용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한때는 평화적 이상주의자였기에 Imagine 노래를 좋아했습니다.
상상이 부디 현실로 이루어지길...
프로필 이미지
chanel vernis
2010.10.22 11:03:07 *.43.235.219
fsfdsfd
프로필 이미지
2010.12.24 17:54:41 *.210.34.134

The wedding dress style for those who want a full-on fairytale look! No longer disparaged as a "meringue", this Oleg Cassini wedding dress is favoured by celebrity and royal brides.
프로필 이미지
2016.06.03 10:41:36 *.170.174.217

그렇게 만들겠습니다,

지금, 여기서, 당장 조금씩 시작하고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9.01.13 10:28:25 *.212.217.154

자본주의라는 계급시스템.

그것의 호 불호와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한 평가는 차치하고,

우리가 사는 시스템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때,

거기에서 모든 변화는 시작하는 것이겠지요.


영화 올드보이의 유지태 명 대사처럼

틀린 질문에서는 맞는 답을 찾을수 없습니다.

우리들 대부분은 본질적으로 프롤레타리아라는것을 받아들일 때,

우리들이 어디로 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올바른 질문'이 가능할 것입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3 변화의 주술 [22] 구본형 2010.06.29 7881
122 위험한 탐험- 카를 구스타프 융, 생각탐험 23 [4] 구본형 2010.07.04 6151
121 그녀를 다루는 법 - 카를 구스타프 융 2, 생각탐험 24 [3] 구본형 2010.07.05 8767
120 아프리카로 가자, 순수한 인류의 소년시대로 - 카를 구스타프 융, 생각탐험 26 [7] 구본형 2010.07.07 9200
119 올해는 제발 떠나시게, 미루지 말고 [8] 구본형 2010.07.13 7546
118 오늘 우리는 다시 시작할 수 있다. [6] [1] 구본형 2010.07.15 8528
117 놓아두자, 인생이 달려가는 대로 [9] 구본형 2010.07.19 8620
116 두 번 의 여행 [4] 구본형 2010.07.21 6596
115 나의 독서법 - SBS 와 함께하는 독서의 기쁨 캠페인 [12] 구본형 2010.07.22 8919
114 변하는 것과 변화하지 않는 것 [8] 구본형 2010.07.29 7805
113 아침에 비 [8] 구본형 2010.08.02 7088
112 나눔의 경영학 [7] 구본형 2010.08.05 7325
111 델피에서 - 배우려는 자는 무지에 통곡해야한다 [6] 구본형 2010.08.19 7219
110 산토리니 당나귀가 가르쳐준 소통의 원칙 [5] 구본형 2010.08.26 7047
109 매니 이야기- 회심(回心), 메타노이아(metanoia), 위대한 정신적 전환 [4] 구본형 2010.08.30 7499
108 익숙한 것 낯설게 보기 [14] 구본형 2010.08.31 12060
107 젊음, 꿈, 투지 [7] 구본형 2010.09.08 7556
106 과잉 책임감이라는 덫 [2] 구본형 2010.09.13 7303
105 먼저 나를 따르라 [6] 구본형 2010.09.14 6730
104 박노진의 책 추천사 - [4] 구본형 2010.09.15 7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