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구본형

구본형

개인과

/

/

  • 구본형
  • 조회 수 7233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10년 5월 13일 05시 44분 등록

   젊어서 한때 나의 핏 속에는 낭만주의가 80% 이상 섞여 몸 안을 돌아다니고 있었음에 틀림이 없다.   낭만주의자는 이야기를 현실이라고 여긴다.   나는 스토리에 감동하는 사람임에 틀림없다. 지금도 말이다.   그러므로 나의 핏 속에는 여전이 낭만주의 취향이 오월의 모란처럼 진하게 남아 있다.

   낭만주의의 가장 커다란 특징은 한마디로 공리적 기준을 미적 기준으로 대체한 것이다. 지렁이는 유용하지만 아름답지 않고, 호랑이는 유용하지 않지만 아름답다. 낭만과는 거리가 먼 다윈은 지렁이를 보고 감탄했지만, 낭만주의 시인인 윌리엄 블레이크 호랑이를 보고 감탄했다. 아름다움이 곧 가치인 것이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은 전통적 아름다움과 다르다. 낭만주의자들은 오직 장엄한 것, 공포를 자아내는 것, 멀고 먼 곳 속에서만 감탄한다. 그래서 그들은 고딕 건축을 선호하고, 폭포와 같은 급류, 아찔한 절벽, 바다를 뒤집는 폭우에 경도된다. 콜리지는 쿠리라이 칸의 제나두를 그리워하고, 멀고 먼 전인미답의 퇴락한 고성이나, 한때 번성했으나 폐허가 된 오래된 세계를 동경했다. 워즈워즈를 거쳐, 바이런, 셸리, 키츠에 이르러 영국 낭만주의는 빅토리아 시대를 풍미했다. 그들은 이해타산보다 개인의 열정을 옹호하기 때문에 상업주의와 돈 냄새를 경멸하고 멸시했다. 멋진 일이다. 그러나 낭만주의 운동은 무법적인 새로운 자아를 자극하고 선동함으로써 사회적 협력과 조화를 어렵게 했다. 인간은 고립된 고독한 호랑이가 아니다. 그러므로 자아실현이 윤리학의 최고 원리일 수는 없다.

  오늘 나는 생각한다. 지금의 나를 생각해 보니, 나는 낭만주의자라기보다는 이상주의자인 듯하다. 나는 현실을 이야기라고 믿기 보다는 현실을 이야기로 만들려고 한다. 여전히 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내가 나를 좋아하는 이유다. 어쩔 수없이 나는 이상주의자다.    80% 정도는 그렇다. 그러나 바라건데, 부디 미래 위에 미래를 건설하지 않고, 현실 위에 미래를 축조할 수 있기를... 그리하여 현실적 이상주의자라고 스스로 부를 수 있기를 원한다.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양강호
2010.05.13 08:29:54 *.159.97.25
글 잘 읽었습니다. 오늘 아침 지하철 무료 신문 메트로에 실린 "퇴근의 미학"이라는 선생님의 글을 접하고 이 곳까지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인터넷 즐겨찾기에 선생님 홈페이지 주소 등록해 놨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배요한
2010.05.13 09:00:45 *.90.31.75
구본형선생님의 오늘 글을 읽으면서, 우리 사람들은 모두 다르게 생겼고 차별적인 자아를 가지고 있지만, 또한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졌고 공감대적 내면공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의 존재가 신기하고, 반갑고, 아름다운 것이 아닌가 새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저도 한 '이상주의' 하거든요. ^^
아름다운 글 감사드리고, "부디 미래 위에 미래를 건설하지 않고, 현실 위에 미래를 축조할 수 있기를...' 하신 선생님의 희망이 꼭 이루어질 것이라고 축복해드리고 싶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바람처럼~
2010.05.13 10:10:21 *.149.8.82
사부님,
전 아직도 낭만주의자 같습니다. 현실적이고자 하고...이상적이고자 하는 그런 낭만주의자...
언뜻 제가 두렵기도 한 이유입니다. ^^
프로필 이미지
올리스트
2010.05.13 13:53:02 *.131.104.198
글 중 " 자아실현이 윤리학의 최고 원리일 수는 없다. " 라는 글은 동감하기가 힘드네요. 자아실현을 윤리학이란 학문적 원리로 보고 판단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고립된 고독한 호랑이" 란 표현도 고립이 아닌 자유로움이 더 어울린다고 저는 생각됩니다. 자아실현은 깨달음 입니다. 타인의 눈으로 볼때만 고독할 뿐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5.15 19:57:53 *.34.224.87
책을 읽다가 에우리피데스에 대한 윌 듀런트의 설명을 보면서
옮기고 싶었습니다.

(P125) 그는 더할 나위 없이 낭만적이다.
이성은 감정에 밀리고, 불의를 미칠 듯이 미워하고, 더 온전한 세상을 꿈꾼다.
프로필 이미지
2017.02.19 11:24:11 *.212.217.154

현실적 이상주의자!

저 또한 그렇습니다!


어렸을 적에는 스스로를 로멘티스트 라고 생각했더랬죠^^

잠시 그때 그시절을 떠올려 봤습니다.


현실에 발 디딘 이상을 향해,

오늘도 느리게 걸어가봅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7.09.22 12:24:37 *.98.149.92

'이상 위에 이상을 쌓지 말고,

오직 현실 위에 이상을 쌓아 가기를.' - 구본형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 열 여덟번 째 책의 에필로그 - 일부 [7] 구본형 2011.01.07 8380
142 떠나지 않고는 찾을 수 없다- 프리드리히 니체, 생각탐험 18 [7] 구본형 2010.06.03 8424
141 매너리즘으로부터 벗어나 다시 시작하는 법 [5] 구본형 2005.03.20 8431
140 상사와 잘 지내는 법 [7] 구본형 2005.04.20 8458
139 매일 해라, 매일 - 터닝 포인트 12번째 이야기 [8] 구본형 2010.04.21 8484
138 테세우스, 영광과 실수- 나의 그리스 신화 독법 5 file [2] [2] 구본형 2011.09.26 8497
137 오늘 우리는 다시 시작할 수 있다. [6] [1] 구본형 2010.07.15 8499
136 터닝 포인트 2 - 우주는 우연의 모습으로 다가온다 [10] 구본형 2009.02.26 8512
135 한번도 만난 적이 없는 그 사내를 위하여 file [4] [1] 구본형 2009.09.15 8519
134 우울한 낙천과 유쾌한 비관 - 생각탐험 9 [3] 구본형 2010.05.05 8522
133 마음이 미리 본 것을 포기하지 마라 - 터닝 포인트 열 한번 째 이야기 file [11] 구본형 2010.03.03 8541
132 젊음은 미리 늙어버리지 않는 것이니 file [18] 구본형 2010.03.19 8565
131 퇴직은 두려움인가 ? [8] 구본형 2011.01.27 8570
130 좋은 사람들을 얻을 수 있는 세 가지 이야기 [9] 구본형 2007.11.02 8585
129 놓아두자, 인생이 달려가는 대로 [9] 구본형 2010.07.19 8592
128 피이드백 장치 절실하다-국민일보 [4] [1] 구본형 2002.12.24 8621
127 하고 싶은 일을 잃은 어느 젊은이에게 [3] 구본형 2007.07.21 8626
126 일을 놀이처럼 인생을 축제처럼 [3] [2] 구본형 2011.07.25 8632
125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을 버리지 마라 -터닝포인트 일곱번째 이야기 file [7] 구본형 2009.08.15 8659
124 떠나고 싶으면 준비해라 [3] [1] 구본형 2008.05.12 8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