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연구원

연구원

  • 홍승완
  • 조회 수 326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05년 11월 16일 12시 49분 등록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제1기 연구진 9차 모임


▣ 날짜: 2005년 11월 12일 (토) - 13일 (일)

▣ 장소: 푸른언덕 별장(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정배리 415번지)

▣ 참석자(내 · 외부)
- 11명(강미영 님, 오옥균 님, 손수일 님 불참 / 유현수 님 포함)

▣ 프로그램 순서

1. 한국성(Koreanity) 조사 설문 협의(오후 4시-6시)

2. 각 연구원 별 강연(12일 오후 7시- 오후 12시)


▣ 프로그램 진행 내용

1. 한국성(Koreanity) 조사 설문 협의
- 오세나 님이 정리하여 공유


2. 각 연구원 별 강연

* 이번에 강연을 준비하지 못했거나 충실히 하지 못한 연구원은 12월에 다시 한다.

2.1. 오세나: 주제- 공익경영

* 모델이 되려면 원칙의 나열이 되어서는 안 된다. 체계적으로 접근이 가능한 모델이 필요하다. 단계별 접근법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원칙 간의 관계도 보여줘야 한다.

* 첫 책은 다양한 공익 기관들(정부 및 준정부 기관, 학교, 병원)이 공통적으로 활용(적용)할 수 있는 모델(메시지)을 담는 것이 좋겠다. 두 번째 책에서는 특정 분야의 공익기관(예를 들면, 준정부기관)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을 담을 수 있을 것이다.

* 핵심 메시지가 명확한 것 같다. 강연의 측면에서 보면, 세나 님은 상황대처 능력(임기응변)이 뛰어난 것 같다.

* 오늘 강연한 내용은 대부분 미국의 사례가 많은데, 한국의 사례가 추가되면 좋겠다. 물론, 국내 사례도 객관적이고 전달하고자하는 메시지가 분명해야 할 것이다.


2.2 문요한: 주제- 게으름의 심리학

* ‘병적 게으름’이라는 용어가 가슴에 와 닿지 않는다. ‘병적 게으름’이란 용어를 들으면, 게으름에 대해 부정적인 느낌이 강하게 든다.

*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례를 넣어주면 좋겠다. 주변 인물이나 연구원들 중에서 적절한 인물을 사례로 만들 수도 있을 것 같다.

* 목차의 앞부분과 뒷부분 간에 갭이 크다. 메시지의 일관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책의 논리적 구성을 다듬어야 한다. 처음 부분은 게으름에 대해 가치중립적 시선을 보이다가, 후반부에는 게으름이 부정적인 것이 되어 극복의 대상이 된다.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는다.

* 게으름의 부정적인 면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면(긍정적인 게으름)도 함께 담아 균형을 잡아줄 필요가 있다.

* 독자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보라.


1.3 오병곤: 주제-당신은 대한민국 IT 전문가

* 전반적으로 이미지와 상징을 잘 활용했다. 재밌고 명쾌하다. 예를 들면, 바위 옮기기, 5개월 만에 출산?, 월화수목금금금, 그림형제 같은 것들.

* 관계 지향(프로그래밍)을 강조했는데, 그 부분(관계 지향 챕터)에 고객과의 관계 지향(고객 배려 등)에 대한 부분이 추가되면 좋겠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차원에서 일상의 언어(고객의 언어)로 고객에게 설명하고 실용적인 대안을 제시해주는 프로그래머(전문가)의 모습을 보고 싶다.

* ‘개발자’라는 용어 말고 다른 용어로 대체할 수 있을까?

* 목차에서 ‘초보’, ‘숙련’ 부분은 간결하게 간추리고, ‘전문’ → ‘장인’ → ‘명인’ 부분을 보강하면 좋겠다. 전문에서 장인으로, 장인에서 명인으로 성장하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보여주면 좋지 않을까. 단계별 전환 과정과 각 전환에서 확보해야 할 것을 보여준다.

* 시각화가 잘 되어 있다. 대중적인 표현과 시각화의 절묘한 배합을 찾아보라. 글쓰는 과정에도 시각화를 적극 활용해 볼 것. 블러그, 우리 홈페이지 등에 올려 볼 것.


1.4 홍승완: 주제- 체인지 인사이트 + 고백

“나는 제대로 준비하지 못했다. 오만했고 안일했다. 그래서 지금 창피하다. 지금 피드백을 받지 않겠다. 12월에 제대로 하겠다.”


1.5 김미영: 주제- 미정

* 내가(홍승완) 보기에는 지금은 글쓰기를 통해 자신을 치료하고 있는 과정이다. 처음에는 혼자만의 이야기책이 되겠지만, 시간이 흐르면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책이 되지 않을까.

* 글을 담아내는 형식에서, 김형경 씨를 참고할 수 있을 것 같다.

* ‘나: 구본형의 변화 이야기’를 쓸 때, 나 자신에 대해 솔직하게 쓴다는 것이 어려웠다. 하지만 써야 했다. ‘10년간의 이야기를 쓰지 않는다면, 내가 설 땅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 사실을 기록하는 것이 어려웠다. 그래서 나는 소설의 장점을 활용했다. ‘사실적 허구, 허구적 사실’의 형태를 취했다. 이를 통해 압박으로부터 조금은 자유로울 수 있었다. 이것은 비유하자면 ‘희미한 연막’이었다. 연막 안에서 좀 더 자유로울 수 있었다. 그 속에서 나에 대해 자유롭게 그리고 잘 표현할 수 있었다.


1.6 정경빈: 주제- 미정(인적자원관리 부분)

* ‘책을 쓴다’는 것에 대한 정의는 뭘까? ‘알아서 쓴다?’, 아니다. 관심 있는 주제를 갖고 열심히 연구하고 토론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 배우고 느낀 것을 쓰는 것이다.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젊은 피’로써 새로운 시선을 갖고 써볼 수 있다.

* 절대로 처음부터 홈런을 칠 수 없다. 그리고 처음부터 홈런을 치려는 것도 가당찮은 짓이다. 책을 왜 써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지 말고, 책을 어떻게 쓸 것인지 고민하라.


1.8 신재동: 주제- 미정

* 책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항해일지’라고 생각해보자. 내 생애 중에서 한 때 열정을 갖었고 힘을 쏟았던 일에 대한 기록을 남기는 것이다. 정리해보자. ‘일단, 기록해둔다’고 생각하자. 연구원 과정을 졸업하지 않으면 나중에 마음의 짐이 될 것이다. 졸업해라.

* 얼마 전에 한 신생 출판사에서 연락이 왔다. 거기서는 시와 경영을 연결시키고 싶어 했다. 시 중에서 경영과 자기계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를 추려내고, 이런 시들에 경영적 해석을 해주는 식이다. 경영과 자기계발의 진부한 메시지가 시를 통해 비수처럼 명쾌하게 전달될 수 있다면 가치가 있을 것이다. 컨셉은 ‘경영에 대한 시적 표현’, ‘비즈니스맨 을 위한 시집’ 정도가 아닐까.


1.9 박노진: 주제- 코리아니티 인재경영 모델

* 주제의 방향전환(기업 → 인물)이 잘 된 것 같다. 특히, 인물로 잡은 것이 좋아 보인다.

* 예로 든 박현주나 박진영 처럼 유명한 사람들 이야기를 반복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가 재밌기는 하겠지만, 독자들은 ‘좋은 이야기이긴 하지만 나는 이 사람들처럼 할 수 없다. 이 사람들은 너무 잘났다.’ 식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 그 사람들과 독자들의 거리가 너무 먼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주변의 사람들 이야기를 써보면 어떨까 싶다. ‘아직 성공하지 못했지만 잠재력을 보여주고(개발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잡으면 어떨까.

* 책 ‘열정과 결핍’을 예로 들었는데, 나는(오병곤) ‘결핍’의 측면이 더 궁금하고 그 부분을 보고 싶다.

* 글쓰기의 소재를 떠올리기가 쉽지 않은데, 방법은 관찰하고 대화하는 것이다. 관찰과 대화에서 종종 소재를 발견한다.



▣ 치기 모임 과제
* 곧 구본형 사부께서 내주실 것임.
* 12월 중에 강연 기회를 다시 한 번 갖게 될 것임.
* 한국성 조사 설문에 대해 논의를 진행시켜야 함.


▣ 차기 일정
* 전체 모임과는 별도로 송년회를 갖자는 의견이 있었음. 의견주기 바람.
IP *.120.97.4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8 8기 연구원 2월 off 수업및 수료여행 [5] 부지깽이 2013.01.29 2356
107 9기 연구원 4-5월 수업안내 [4] 문요한 2013.04.22 2128
106 9기 연구원 전체 커리큘럼 file 문요한 2013.05.01 2141
105 9기 연구원 5월 과제 및 오프수업 안내 문요한 2013.05.01 1704
104 9기 연구원 6월 수업 안내 [1] 한정화 2013.06.02 1577
103 9기 2차 수업 정리 (2013년 5월 25일) file 유형선 2013.06.11 1694
102 9기 연구원 7월 수업안내 미옥 2013.06.25 1691
101 9기 연구원 8월 수업안내 [3] 미옥 2013.07.09 1777
100 9기 3차수업- '나만의 신화' 정리1(2013.6.22) file 서은경 2013.07.29 2635
99 9기 3차수업- '나만의 신화' 정리2 (2013.6.22) file 서은경 2013.07.30 2320
98 9기 3차수업- '나만의 신화' 정리3 (2013.6.22) file 서은경 2013.07.30 3067
97 9기 연구원 9월 수업 안내 연지원 2013.09.02 1738
96 9기 연구원 10월 수업 안내 박미옥 2013.10.04 1633
95 9기 연구원 11월 수업 안내 [18] 정재엽 2013.10.18 1755
94 9기 9월오프수업기록 (2013.09.28) 1박 2일- 그들이 스스로... file [11] Oh! 미경 2013.10.21 2878
93 9기 10월오프수업기록(2013.10.26)-내 안의 영웅 file [5] Oh! 미경 2013.11.06 2448
92 9기 11월오프수업기록(2013.11.22)-미래와 경영(1박2일) file [4] Oh! 미경 2013.12.02 2675
91 9기 연구원 12월 수업 안내 [3] 차칸양 2013.12.11 1686
90 글쓰기 책 추천 [2] 한 명석 2014.01.03 3731
89 9기 12월오프수업기록(2013.12.28)-경영 [1] 쭌영 2014.01.05 1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