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885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3년 10월 17일 23시 29분 등록

 삶이 비실비실 시들어가고 있다는 느낌이 들 때 우리는 종종 생각합니다. 나는 언제 꽃을 피울 수 있을까? 아니 내 삶에 도대체 꽃이 피기는 할까? 나 역시 그렇게 답답해하고 때로 초조하고 심하면 절망감까지 들었던 날이 있습니다. 마흔을 앞둔 나이가 되자 그 위기감은 더욱 커졌습니다. 주말마다 등산을 시작하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 모든 생명에게 꽃이 있구나. 아 그 꽃들은 모두 저만의 때를 기다렸다가 거침없이 피어나는구나. 아 꽃의 색도 모양도 빛깔도 향기도 제 각각으로 피는구나.

 

나는 희망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내게도 그런 꽃이 필 날 있으리라는. 세상이 끝없이 꽃 중에는 장미가 가장 눈부신 꽃이니 너도 그 꽃을 피워야 한다고 세뇌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가장 눈부신 오월에 꽃을 피워야 하는 것이라는 통념도 교묘한 세뇌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여러 겹을 겹쳐 탐스럽고 진한 빛깔로 피어나야 아름다운 꽃이라는 기준이 내 삶을 시들게 했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장미가 온실이나 정원 울타리 근처에서 피어날 때 미나리는 하수구에서 제 꽃 피는 것이고, 사쿠라가 도로변을 점령하고 화들짝 피어나서 쓸 데 없이 벌보다 더 많은 인간을 불러 모을 때, 요즘처럼 서릿발 내리기 시작할 즈음 피어나는 꽃, 산국도 있고 배초향도 있고 가막사린지 뭔지 하는 꽃도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 모든 꽃들은 저마다의 빛깔 저마다의 시간, 저마다의 겨냥 속에서 피어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꽃은 그렇게 피어난다는 진리보다 더 깊이 있는 진실 하나도 깨치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열매에 관한 것입니다. 각자 제 꼴로 꽃 피워내는 그 눈물겨운 과정은 모두 열매, 씨앗을 품고 익혀내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 말입니다. 나무의 진짜 꿈은 꽃이 아니라 열매요 그 속에 간직하는 씨앗이라는 사실! 내가 키워내는 씨앗이 새로운 땅을 만나 그곳의 주인으로 살아가게 하고 싶다는 것, 그것이 모든 생명들의 본능적 지향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그러기 위해서 반드시 시작해야 하는 지점이 있으니, 그것이 참으로 중요한 지점이라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처음은 바로 눈(bud)을 품고 키워내야 한다. 즉 피울 꽃을 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른 봄날 정원 한 켠에서 확 피어나는 목련도 바로 이미 지난 여름날에 미리 만들어 품어두고 겨울의 추위를 건너야 한다는 점 말입니다. 눈을 품지 않는 자, 열매는 고사하고 꽃조차 피울 수 없는 자라는 사실 말입니다.

 

나는 또한 이 모든 것보다 더 귀하고 더 포괄적인 진실이 하나 더 있음을 알고 있습니다. 그것은 모든 나무와 풀과 생명들이 매 순간순간에 온 힘을 모아 살아가고 있다는 점입니다. 땅을 뚫고 싹을 틔워 올리는 순간에도, 잎눈을 틔우고 가지와 잎을 키워내는 순간에도, 드디어 첫 꽃을 피우고 비바람과 그늘과 뜻하지 않은 벌레들을 만나는 순간에도, 열매를 맺고 그것이 폭우와 폭풍을 만나는 순간에도 모두는 오직 온 힘을 그 순간순간에 모으며 살고 있다는 점 말입니다.

 

오두막 뒤 풀로 가득한 나의 밭에는 지금 지난 겨울 영하 28도의 추위를 견뎌내고 살아남은 5년생 감나무 한 그루가 딱 하나의 감을 달아두고 있습니다. 지난 해에도 그랬듯 나는 저 감을 따지 않을 작정입니다. 그의 위대함을 기리기 위하여.

IP *.20.202.74

프로필 이미지
2013.10.21 10:22:19 *.97.72.106

그 위대함으로 까치밥으로 나누기까지 하는 거! 아, 감나무 만도 못한 나의 초라함이여~ㅠㅠ  ^-^*

프로필 이미지
2013.10.23 10:35:32 *.209.210.64

이미 우리 변경연의 태양이고 꽃이기에 충분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10.23 10:35:48 *.209.210.64

모든 꽃들은 저마다의 빛깔 저마다의 시간저마다의 겨냥 속에서 피어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멘_()_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76 어기적거리며 걷고 있다면 연지원 2016.10.24 1019
1775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마지막편) 차칸양(양재우) 2016.10.25 1252
1774 학자나 문인이 아닌, 일반인이 쓴 책중 베스트 한 명석 2016.10.26 1319
1773 정의…2 정의는 어디에서 싹트는가? 김용규 2016.10.27 948
1772 일흔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덜어내기 재키제동 2016.10.28 961
1771 다시 걷습니다 書元 2016.10.29 987
1770 심장의 두근거림을 듣는 독서 연지원 2016.10.31 1142
1769 인공지능의 시대, 경제는 어떻게 변하게 될까? 차칸양(양재우) 2016.11.01 1408
1768 정의…3 사회적 정의는 어디에서 싹트는가? 김용규 2016.11.03 1018
1767 일흔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운동 코칭 재키제동 2016.11.04 1350
1766 아뿔싸! 또 글이라니! 연지원 2016.11.07 998
1765 노래 한곡이 내 맘으로 무찔러 들어왔다 [1] 차칸양(양재우) 2016.11.08 1313
1764 선수들 - 최인아책방에 다녀와서 file 한 명석 2016.11.09 1281
1763 정의4-일어서야 할 시간 김용규 2016.11.10 5526
1762 일흔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시 한 편 file 재키제동 2016.11.11 1123
1761 가을 뒤안길 書元 2016.11.12 1013
1760 비전과 목표가 중요한가 연지원 2016.11.14 1167
1759 트럼피즘(Trumpism), 불확실성을 대표하는 키워드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1.15 990
1758 이별은 불시에 찾아온다 file 한 명석 2016.11.16 1215
1757 화장실에서 겪은 자비 김용규 2016.11.17 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