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운 이희석
- 조회 수 3741
- 댓글 수 8
- 추천 수 0

(첨부파일 : 북리뷰팀 첫번째 모임 기념사진, 근데 저는 울고 있네요. ^^)
안녕하세요? 현운 이희석입니다.
북리뷰팀의 첫번째 모임일지를 올립니다. ^^
부담없이 진행되었는데도 몇 가지 알맹이를 건진 무척 즐거운 미팅이었답니다.
■ 모임 개요
- 일시 : 2007년 5월 14일 (월) 오후 7시~10시
- 장소 : 토즈 강남대로점 (강남 교보타워 옆건물)
- 참석 : 북리뷰팀 4명 전원 (신종윤, 김도윤, 이희석, 오윤)
이 날엔 로즈데이였죠. 오윤이랑 함께 토즈로 향하는데,
어느 커플의 대화로 오윤도 저도 하하하, 하고 웃었던 얘기 잠깐 합니다.
여 : (5월 14일 로즈데이를 의식하며 남자에게) 와.. 오늘 다들 장미 꽃 들고 다니더라.
남 : 그래 내일이 스승의 날이잖아. 바보야.
끝!
하하하... 썰렁하군요. 이제 농담 없이 갑니다~ ^^
저희는 만나서 미팅의 목적에 대한 아이디어를 모두 모아서 하나 하나 이야기를 풀어나갔습니다. 도윤 형이 미리 고민해 온 흔적이 있어서 조금 더 수월하게 진행되었던 것 같기도 하네요. 종윤형의 아이디어와 분위기메이커 오윤의 역할까지 생각나네요. 저는 뭘 했냐구요? 암것도 안해서 이렇게 일지를 올리고 있지요. 첫번째 모임내용을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
■ 1년 동안의 Agenda
저의 팀의 아젠다라..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저희 팀 의논사항에 정리하였으니 간단하게 요약할께요.
저희 팀의 사명은 3기 연구원들의 과제를 종합하여 그 것이 일반 독자들이 읽을 만한 가치있는 결과물로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안건을 계속 토론,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 매월 모임을 통하여 연구원 테마로 인해 성장한 우리들의 모습 정리
- 한 권의 책을 쓰기 위한 독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과제에 집중, 교육 참여
■ 타 팀에게 공지/Feedback할 내용 정리
저희 북리뷰 팀의 소스는 바로 여러분들이 매주 작성하시는 과제물입니다.
유익한 책으로 만들 수 있도록 애쓸 터이니 멋진 과제 올려주셔요. ^^
아직은 여러분들에게 구체적으로 부탁드릴 내용은 없습니다만,
한 가지만 미리 말씀드리면, 저희는 매월 초 연구원 수업 후에 지난 달의 테마가 우리에게 어떤 유익과 깨달음, 감동을 주었는지에 대하여 토론하게 됩니다. 그 때, 그 테마에 대하여 일가견이 있는 팀원이 발견되면 저희 북리뷰팀 모임 때 초청장을 드릴 수도 있음을 미리 살짝 알려드립니다. ^^
■ 팀 모임 의논사항 정리
1. 미팅의 목적
① 독자대상 선정
② 각자 할 일 분담
③ 책의 성격 논의
2. 작업시기
① 연구원 기간 1년 중
- 책을 쓰기 위한 물밑 작업 진행
- '옅은 책임감'을 갖고 각자가 맡은 테마로 북리뷰팀 모임 준비
- 연구원 수업이 있는 다음 주에 정기 모임 예정
② 연구원 이후 2~3개월
- 집중 집필 기간
- 1년 동안의 연구원의 과제를 종합하여 정리해 나감
3. 책의 성격
① 서문을 통하여 독서에 대한 동기부여 (독서의 유익, 이유 등)
② 스토리가 있는 서평집
- 스토리는 우리의 자연스러운 이야기
- 이를 테면, 역사를 배우며 느낀 점 혹은 역사의 의미와 유용성 등을 우리의 공부 과정에서 끌어냄
③ 구하기 힘든 책들은 책을 안 읽어도 되는 형식도 모색해 볼 것.
4. 팀원 테마
① 종윤 : 역사, 삶을 비추는 빛
② 도윤 : 경영, 삶을 비추는 빛
③ 희석 : 미래, 위인
④ 오윤 : 자아발견, 문화
5. 앞으로의 모임 진행 계획
① 테마 담당자가 질문을 준비하여 자유로운 이야기로 진행
② 대담이 될 수도 있고, 그 테마에 대한 유익, 필요성 등에 대한 자연스러운 이야기가 될 수도 있음
③ 모임 내용은 녹취/ 정리하여 1년 후 집필 기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잘 정리할 것
④ 모임은 매월 연구원 수업 이후의 월요일 저녁 (예정)
6. 향후 과제
① 기존의 경쟁서와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가?
- 고민 : "우리는 네임 밸류도 없고, 또 전문성도 부족하지. 공병호, 장정일 등 많은 사람들이 이런 북 리뷰 책을 내었고, 그런 책들과 차별성을 갖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희석 기존 서평, 혹은 책을 주제로 한 책들에 대한 시장 조사 할 것!
② 독자 대상 선정
- 고민 : "이 책의 독자들은 이 책을 읽음으로써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어떤 사람들이 우리의 책을 읽고 하나라도 얻어갈까? 우선 이런 것들을 고민해봐야겠네……"
7. 책의 구성
① 서문
② 프리뷰
- 테마에 대한 유익과 필요성 등 설명
③ 리뷰
- 각 테마마다 핵심 도서 선정하여 연구원들의 리뷰 종합
책의 구성을 도형화하면 다음과 같은 모습이 되겠죠~

또는 다음과 같이 구체화할 수도 있을 것 같군요.

8. 기타
- 팀장 선정 : 오윤
9. 북리뷰팀 외부(선배님)의 조언 정리
1. 일단 북리뷰는 목적이 분명해야 한다.
- 일차적으로 우리 3기 연구원들의 결과물을 기록으로 남긴다는 것, 이것이 가장 중요.
- 추후에 기존에 정리해 놓은 것을 수정하여 일반인들에게 읽힐 수 있도록 작업해도 늦지 않음.
2. 북리뷰 선정에 있어 어떤 기준을 중요시할 것인가?
- 형평성 vs. 퀄리티 , 고민해 볼 사항.
- 어떤 방식으로 샘플을 선정할 것인가?
3. 북리뷰의 주된 흐름을 어떻게 잡고 갈 것인가?
- 선정된 책을 통해 무엇을 깨닫고 배웠으며, 이 책은 무엇이 부족하고, 어떤 점이 보완되어야 된다 등.
- 책을 소위 해부해 본다는 생각으로 기존의 것을 정리. 정리의 개념이 중요.
※ 이 모임 일지는 저희 4명이 정리한 것을 종합한 것입니다.
모두들 하나같이 참여하여 따로 또 같이 작성하였답니다.
우리 북리뷰팀, 뭔가 일을 저지를 것 같은 분위기네요. ^^
이상 막강한 윤 트리오 사이에서도 살아남은 현운이었습니다. ^^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끝까지 잘 살아남을 거라고 하네요.
댓글
8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뱅곤
이 팀은 생존이 목적이군. ㅋㅋ
순전히 개인적인 생각은 책을 낸다는 생각보다는 일단 연구원 활동의 결과물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
책 발간은 연구원 활동 이후에 집중적으로 고민하고 정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좋다. 지금은 북리뷰, 칼럼, 개인 관심사에 더 집중을 하는게 우선순위가 높다. 한달에 한번씩 지난 달 읽은 책 피드백 시간을 갖는 것, good~
아직 컨셉과 목차가 불분명해보인다. 책을 내지는 않더라도 가상독자를 선정하고 왜 북 리뷰 정리를 하게 되었는지는 확실히 하는 것이 좋다. 목적이 분명해야 한다. 연구원 참고서냐? 변화경영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위한 책 가이드냐? 책 출간 준비자를 위한 책읽기냐? 가급적이면 초기에 확정을 해야 나중에 재작업을 방지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고민과 전략이 필요하다. 그런 후에 어떤 내용으로 정리할 것인지는 목차를 더 세분화해라. 현재 북리뷰 형식으로 정리할 것인지, 여기에 더 추가를 할 것인지 등등...
책을 쓰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컨셉(why)과 목차(what)다. 고민과 관심없이는 명확하게 도출하기 어렵다.
순전히 개인적인 생각은 책을 낸다는 생각보다는 일단 연구원 활동의 결과물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
책 발간은 연구원 활동 이후에 집중적으로 고민하고 정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좋다. 지금은 북리뷰, 칼럼, 개인 관심사에 더 집중을 하는게 우선순위가 높다. 한달에 한번씩 지난 달 읽은 책 피드백 시간을 갖는 것, good~
아직 컨셉과 목차가 불분명해보인다. 책을 내지는 않더라도 가상독자를 선정하고 왜 북 리뷰 정리를 하게 되었는지는 확실히 하는 것이 좋다. 목적이 분명해야 한다. 연구원 참고서냐? 변화경영에 관심있는 사람들을 위한 책 가이드냐? 책 출간 준비자를 위한 책읽기냐? 가급적이면 초기에 확정을 해야 나중에 재작업을 방지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고민과 전략이 필요하다. 그런 후에 어떤 내용으로 정리할 것인지는 목차를 더 세분화해라. 현재 북리뷰 형식으로 정리할 것인지, 여기에 더 추가를 할 것인지 등등...
책을 쓰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컨셉(why)과 목차(what)다. 고민과 관심없이는 명확하게 도출하기 어렵다.

부지깽이
이미 편집에서 몇가지가 차별적 요소가 강하다.
* 저자에 대한 집중 탐구 - 가벼운 평전이 되게 구성하면 어떻게 될까 ?
* 풍부한 '책 속으로' 인용 - 가슴을 무찔러 드는 강력한 인용을 횔용하라. 시시하고 진부한 해설은 쫓아 버려라. 그대신 절묘한 표현만 살려 낼 수 있도록 양을 줄이면 어떨까 ? 저작권 관련은 츨판사 양해 확인할 것.
* '내가 저자라면' 에서 강하게 저자를 똥침시켜라.
참고하라. '50 self-help classics' ( 50 Inspirational Books to Transform Your Life ), Tom, Butler-Bowdon, 2003 이 책 보다 훨씬 풍부한 책이 될 수 있다.
* 저자에 대한 집중 탐구 - 가벼운 평전이 되게 구성하면 어떻게 될까 ?
* 풍부한 '책 속으로' 인용 - 가슴을 무찔러 드는 강력한 인용을 횔용하라. 시시하고 진부한 해설은 쫓아 버려라. 그대신 절묘한 표현만 살려 낼 수 있도록 양을 줄이면 어떨까 ? 저작권 관련은 츨판사 양해 확인할 것.
* '내가 저자라면' 에서 강하게 저자를 똥침시켜라.
참고하라. '50 self-help classics' ( 50 Inspirational Books to Transform Your Life ), Tom, Butler-Bowdon, 2003 이 책 보다 훨씬 풍부한 책이 될 수 있다.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88 | 연구원 가족 휴가 [30] | 구본형 | 2007.07.02 | 3427 |
87 | 7월 모임 놀거리 - 그들과 자신을 함께 인터뷰하라 [3] | 구본형 | 2007.06.09 | 3438 |
86 | -->[re]7월 모임 놀거리 - 도우미 [9] | 구본형 | 2007.06.15 | 3168 |
85 | 연구원 3차 모임 일지 & 동영상 [6] | 박승오 | 2007.06.08 | 4128 |
84 |
6/2 연구원 3차 모임 공지 ![]() | 박승오 | 2007.05.30 | 3316 |
83 | -->[re]숙제하는 법 [5] | 구본형 | 2007.06.01 | 3165 |
82 |
사부(師父), 구본형 - 동영상 ![]() | 박승오 | 2007.05.20 | 3483 |
81 | -->[re]행사당일 사진 모음 [6] | 신재동 | 2007.05.20 | 2896 |
80 |
Activity 팀 운영 계획 ![]() | 박승오 | 2007.05.18 | 7504 |
79 | 글쓰기 팀 첫 모임 일지 [5] | 여해 송창용 | 2007.05.16 | 3087 |
78 | 5월 21 오전에는 [8] | 구본형 | 2007.05.15 | 2947 |
» |
북리뷰팀 첫번째 모임 일지 ![]() | 현운 이희석 | 2007.05.15 | 3741 |
76 | 6월 도서 [2] | 구본형 | 2007.05.12 | 3406 |
75 | 연구원 2차 전체모임 일지 [8] | 박승오 | 2007.05.02 | 3137 |
74 | 4월 28일 수업 연장 [16] | 구본형 | 2007.04.29 | 3672 |
73 | -->[re]5월 필독서 다시 일부 수정 - 다시 볼 것 [5] | 구본형 | 2007.04.30 | 3460 |
72 | ---->[re]5 월 모임 숙제 - 6 월 2일 [8] | 구본형 | 2007.04.30 | 2881 |
71 |
4/28 수업 - 강의장 약도 및 첨언 ![]() | 옹박 | 2007.04.25 | 3345 |
70 | 연구원 1차 모임 일지 & 동영상 [18] | 옹박 | 2007.04.13 | 4129 |
69 | 연구원 팀 프로젝트 안에 관하여 의견 주세요 [28] | 옹박 | 2007.04.10 | 33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