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승오
- 조회 수 7503
- 댓글 수 2
- 추천 수 0

1. 컨셉
“한결, 우리는 이렇게 서로 배웠다”
-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대안 학습 방법 : 읽기와 쓰기, 그리고 다양한 활동들
목적 : 책이 줄 수 있는 유익
1) 일반인들의 ‘개인 대학’을 위한 따라해볼 수 있는 커리큘럼 제공
2)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교육 대안 – 분별지에서 통합지로, 새로운 사례
3) 읽기와 쓰기를 통한 지성(知性)의 성장, 자기 치유 구체적 방법론 제시
4) 편협한 독서/학습 탈피 – ‘열려 있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5) 개인 브랜드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을 위한 책쓰기 : 1인 기업의 초석
6) ‘친구이자 스승’으로 상호간의 배우는 것의 중요성 인식
독자들이 생각하게 될 것
; 결국 ‘나도 1년간 따라해보자’는 결심과 실행, 상세한 로드맵
1) ‘아하! 이렇게 배울 수 있는 방법도 있구나! 나도 한번 해볼까?’
2) ‘학교에서의 분별 지식보다는, 이렇게 통합된 지식을 얻는 것이 더 큰 성장이 있겠다. 나도 책을 읽고 컬럼을 하나씩 써 볼까?’
3) ‘아, 개인대학에는 이런이런 방법론들이 있구나, 그리고 어려운 점과 유의할 점은 이런 것들이 있구나’
4) ‘나는 너무나 성공에 질식해 있었구나. 이젠 모든 것에 마음을 열고, 폵넓게 배워야겠다’
5) ‘나도 이렇게 1년을 따라하면, 바쁜 직장 생활 속에서도 책을 낼 수 있겠다. 그러면 미래에 나도 나의 브랜드를 가지겠구나! 한번 해보자!’
6) ‘친구이자 스승’으로 배우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구나, 나도 한번 친구들을 모아볼까?’
2. Activity팀 활동 계획
되도록 별도의 노력 없이 결과물이 나오는 형태로 진행.
주요 원천은 월1회의 오프라인 모임에서 연구원들의 발표 내용.
수업 당일
구본형 선생님이 ‘다음 달의 컨셉’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 및 과제를 Activity 팀에게 전달, 액티비티 팀에서 회의를 거쳐 “쉽게 가공될 수 있는 자료의 형태”로 과제를 공지한다.
1주차
액티비티 팀 정기모임 (매월 연구원 수업 후 9일 지난 월요일)
1) 수업 일지 & 발표 정리 : Best 사례 뽑기(또는 취합)
2) 이번 달의 수업 내용 기획 : 어떻게 과제를 공지하여 쉽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3) (Optional) 특별 활동 기획 & 지난달 활동내역 정리
3. 책의 구성 및 커리큘럼
기본적으로 월1회의 오프라인 모임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책을 구성한다. 중 Best Practice를 모아 출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1) 핵심 주제에 대한 중요성 설명 : ‘왜 이 주제를 공부하는 것이 중요한가?’
2) 활동 내용 : 우리는 실제로 어떻게 수업을 진행했나?
연구원들이 함께 고민한 문제들 : 실제로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들, 고민하는 데 어떤 어려움이 있었나?
3) 수업에서의 Best Practice : 수업 당일 날 우수 발표자 2~3명 선정. 자료 취합
4) 교훈 : 우리가 수업하고 느낀 소감, 배운 점 정리하여 챕터 마지막에 1page로 정리
5) 구본형 선생님 총평 : 선생님이 강조한 포인트, 일반적으로 정리
6) 방법론을 ‘적용해보기’ 등으로 깔끔하게 질문 형태 또는 프로세스 형태로 정리
* 연간 커리큘럼 : 책 본문의 목차가 될 것임
4 월 – 미래 : 무엇이 앞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가 ?
5 월 - 역사 : 지나간 것의 의미 : 묶어 매는가 ? 아니면 찾게 해 주는가 ?
6 월 – 인물들 : 그들은 누구일까 ?
7 월 – 나의 강점과 기질 : 나는 누구일까 ?
8 월 - 우리시대 CEO : 경영자를 만나다
9 월 – 경영학 : 경영학의 세계
10 월 – 철학&사고 : 삶을 비추는 빛 1
11 월 – 철학&사고 : 삶을 비추는 빛 2
12 월 – 문화 : 문화를 찾아서
(나머지 한 주 ; 내가 생각하는 Coreanity 10 가지와 이를 증명하는 사례)
1월 – 책의 컨셉 : 나는 무슨 책을 쓸 것인가 ? (1)
(Off-line 과제물 ‘나의 관심사, 책의 주제’ , 주제들과 관련된 3개의 꼭지글)
2월 – 책의 서문 및 목차 : 나는 무슨 책을 쓸 것인가 ? (2)
(Off-line 과제물 ‘나의 책 서문과 목차, 그리고 4 개의 꼭지글)
3월- 서문, 목차 수정 : 나는 무슨 책을 쓸 것인가 ? (3)
(Off-line 과제물 ‘ 나의 책 서문 수정, 목차 수정, 그리고 다시 4개의 꼭지글)
4. Activity 팀 역할
* 오프라인 전체 모임 일지 정리 : 박승오
* Chapter별 1)필요성 2)활동내용 6)방법론 정리 : 월별로 돌아가며 1인이 정리
- 다음 모임에서 월별 정리자 결정하겠음
* 3) Best Practice 선정, 4)교훈 1) 필요성의 정리는 월간 팀 모임에서 결정
* 특별활동은 활동때마다 책임자(장소예약, 프로그램 구상)를 선정하여 주도적으로 실행.
댓글
2 건
댓글 닫기
댓글 보기
VR Left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88 | 연구원 가족 휴가 [30] | 구본형 | 2007.07.02 | 3427 |
87 | 7월 모임 놀거리 - 그들과 자신을 함께 인터뷰하라 [3] | 구본형 | 2007.06.09 | 3438 |
86 | -->[re]7월 모임 놀거리 - 도우미 [9] | 구본형 | 2007.06.15 | 3168 |
85 | 연구원 3차 모임 일지 & 동영상 [6] | 박승오 | 2007.06.08 | 4128 |
84 |
6/2 연구원 3차 모임 공지 ![]() | 박승오 | 2007.05.30 | 3315 |
83 | -->[re]숙제하는 법 [5] | 구본형 | 2007.06.01 | 3164 |
82 |
사부(師父), 구본형 - 동영상 ![]() | 박승오 | 2007.05.20 | 3482 |
81 | -->[re]행사당일 사진 모음 [6] | 신재동 | 2007.05.20 | 2895 |
» |
Activity 팀 운영 계획 ![]() | 박승오 | 2007.05.18 | 7503 |
79 | 글쓰기 팀 첫 모임 일지 [5] | 여해 송창용 | 2007.05.16 | 3087 |
78 | 5월 21 오전에는 [8] | 구본형 | 2007.05.15 | 2947 |
77 |
북리뷰팀 첫번째 모임 일지 ![]() | 현운 이희석 | 2007.05.15 | 3741 |
76 | 6월 도서 [2] | 구본형 | 2007.05.12 | 3405 |
75 | 연구원 2차 전체모임 일지 [8] | 박승오 | 2007.05.02 | 3136 |
74 | 4월 28일 수업 연장 [16] | 구본형 | 2007.04.29 | 3671 |
73 | -->[re]5월 필독서 다시 일부 수정 - 다시 볼 것 [5] | 구본형 | 2007.04.30 | 3460 |
72 | ---->[re]5 월 모임 숙제 - 6 월 2일 [8] | 구본형 | 2007.04.30 | 2881 |
71 |
4/28 수업 - 강의장 약도 및 첨언 ![]() | 옹박 | 2007.04.25 | 3345 |
70 | 연구원 1차 모임 일지 & 동영상 [18] | 옹박 | 2007.04.13 | 4129 |
69 | 연구원 팀 프로젝트 안에 관하여 의견 주세요 [28] | 옹박 | 2007.04.10 | 33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