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콩두
  • 조회 수 247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10월 28일 07시 07분 등록

18 주식과 부동산에 대한 투자는 반 토막이 날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재능에 대한 투자는 결코 밑지는 법이 없다.

 

19 “좋아하는 일을 하다가 죽을 것이고 죽음이 곧 퇴직인 삶을 살 것이다” 이것이 내가 추구하는 직업관이다.

 

20 그 일 속에서 살아 있음을 느낀다면 그 일이 곧 자신의 천직임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아직 그런 떨림을 얻지 못했다면 지금 주어진 일을 아주 잘 해낼 수 있는 즐거운 방식을 찾아야 한다.

 

21 필살기는 특별히 나만이 가장 잘해낼 수 있는 ‘차별적 전문성’이다. 따라서 다른 사람과 비슷하면 가치가 떨어진다. 누구도 복제 불가능한 것일 때 빛난다. 

 

22 차원이 다른 통달의 경지에 이르려면 나는 이 일로 유명해질 것이다라는 뜻을 먼저 세워야 한다. 뜻을 세우고 나면 방법은 따라온다. 승부를 걸만한 전략적 태스크를 찾아내 그 일로 유명해질 것이라 뜻을 세우고 어느 누구도 너처럼 그렇게 잘할 수는 없다는 평을 들을 때까지 탁월함으로 치솟아 올라야 한다.

 

22 직장 내에서 필살기를 수련할 때는 현재의 업무를 멀리 떠나서는 안된다. 현재의 업무를 잘 활용하지 않고서는 매일 연습하고 수련할 공간도 과제도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46 적성과 함께 중요한 또 하나의 기준, 시장의 수요가 많은 일은 직장인에게 무엇을 의미할까? 그것은 바로 내가 맡은 일 중에서 상대적으로 중요한 태스크들이다. 직장인에게 고객과 회사는 모두 중요한 시장이기 때문에 회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고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그것이 바로 시장의 수요인 것이다. 중요한 일들을 내가 잘 해낼 수 있으면 회사와 고객은 나를 다시 찾게 된다. 나는 번창하는 비즈니스를 가지게 된다.

 

48 성공은 재능을 많이 얼마나 많이 가지고 태어났느냐에 달려 있지 않다. 재능은 주어진 대로 받을 수 밖에 없다. 그것은 신의 영역이다. 그러나 받은 재능을 다 쓰고 가야 하는 것은 인간의 책임이다. 그리고 성공이란, 재능의 크기가 얼마나 되었든 받은 만큼은 다 쓰고 갈 때 찾아온다.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루즈벨트는 이것을 아주 멋지게 표현했다. “성공한 보통사람은 천재가 아니다. 평범한 자질을 가지고 있었을 뿐이다. 그러나 그 평범함을 비범하게 발전시킨 사람이다.” 평범함이란 없다. 그것은 아직 안에 있는 것이 진화하지 않았다는 것을 지칭하는 말이다. 그것이 터져나올 때 누구나 비범함에 다다를 수 있다.

 

49 재능이 있는 곳에 성과도 있다. 일과 재능을 연결하라. 가진 재능 중 집중 투자할 수 있는 투자처로서 적합한 일을 찾아라. 그리고 중요하고 잘할 수 있는 일을 집중육성하라. 이것이 필살기의 가장 중요한 방향성이다.  

 

 

64 업무의 중요도는 누구의 기준일까? 나의 기준일까? 아니면 회사의 대리인이며 업무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될 상사의 입장일까? 중요도 기중은 상사의 기준을 따른다. 왜냐고? 바로 상사가 가장 분명하고 중요한 시장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삶에 직접 참여하는 자만이 살아있는 것이다. 살아있는 자는 삶으로 천 개의 이야기를 만들고 다 산 자는 지난 이야기 속에서 삶을 회상한다.

 

79 평생학습의 새로운 습관을 습득해야 한다. 매일 같은 시간대에 같은 양의 시간을 투자하는 시간 사용법을 터득하게 되면 자신의 재능에 1만 시간을 집중 투자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89 우린 P영역의 태스크들에 집중 투자하자. 그리고 S영역의 태스크들은 관리하자. S는 다른 사람이 하는 만큼, 평균 수준을 유지하자. P에 집중하고 S를 관리하는 전략적 방향을 잡아도 회사의 승진사다리나 경제적 보상에서 소외되지 않을 것이다.

 

90 늘 기억해야 하는 화두인 재능과 적성이 앞장 서게 한다는 원칙에 맞는 일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P H 영역을 주목해야 한다.

 

96 한 기업이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가장 잘 할 수 있는 것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듯, 개인 역시 고객에게 시장 최고의 공헌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가장 잘할 수 있는 것에 모든 역량을 총집중해야 한다. 그것이 무엇일까? 그것을 찾아내는 작업을 나는 사자가 되는 법이라고 부른다. 우리는 낙타의 시절에 사자가 되는 법을 터득해야만 한다.

 

99 어디서 무엇을 하든 공헌할 수 있는 특화된 힘을 만들어 두고 늘 훈련하자. 재능과 기질이라는 개별화된 특성 위에 죽여주는 기술하나를 익혀두자. 그리고 그 기술을 필살기라고 부르고, 우리의 좋은 관계를 위해 활용하자. 나의 출현이 사람들의 기쁨이 되게, 내가 그곳에 존재한다는 것이 가장 멋진 선물이 되게 하자.

 

99 필살기는 현재의 업무에서 시작되지만 미래의 블루오션을 겨냥해야 한다.

 

126 나의 직업적 유토피아를 설정할 때 세 가지 결정적인 요소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첫째는 능력, 둘째는 열정이다.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 이 질문은 꿈에 대한 질문이다. 취향, 선호, 그리고 욕망에 대한 질문이다. 잘 할 수 있는 것과 하고 싶은 것은 대부분 함께 가는 속성이 있다. 마지막 또 하나의 결정적인 고려 사항은 세상의 트랜드라는 요소이다.

 

129 다중지능 이론의 대가인 하워드 가드너는 좋은 직업인이 되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진 핵심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영역을 넓히고 심도를 강화할 것을 조언한다. 이것은 핵심역량이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경험을 체험해보라는 뜻이다.

 

136 큰 메가트랜드 몇 개는 기억해둘 필요가 있다. 메가트렌드는 보통 30~50년 정도의 반감기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널리 퍼져 있어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리고 메가트렌드는 글러벌하다.

137 첫번째 고령화 메가트렌드는 이미 모든 선진국에서 감지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 2026년이면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137 두번째 메가트렌드는 새로운 노동의 등장이다.

140 세번째 중요한 트렌드는 여성이다.

142 네번째 중요한 메가트랜드는 로하스다.

 

150 터닝포인트 스토리

151 첫번째, 나에게 선물하고 싶은 가장 아름다운 내 삶의 풍광 하나를 그려내라

둘째, 나의 터닝포인트 이야기를 들어줄 상대와 장소를 미리 설정해라.

그들에게 들려줄 생생한 이야기는 무엇인가? 그 이야기가 바로 터닝포인트 스토리다. 그러면 우리는 이미 터닝포인트 이야기를 세상에 전하는 이벤트 하나를 마음에 꿈꾸기 시작한 것이다.

셋째, 이 매혹적인 터닝포인트 이야기가 이미 이루어졌다고 가정하라.

162 터닝포인트 스토리는 과거시제로 써라.

 

168 이 단계의 핵심은 매일 똑 같은 시간대에 똑 같은 시간의 양을 확보하여 똑 같은 일에 집중 토자함으로써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실천은 늘 간단하고 명료하다. Just do it 이게 전부다.

 

168 실천은 간단하다. 내일 죽을 것처럼 오늘을 사는 것이다.

 

170 매일 그리지 않는 화가는 화가가 아니다. 매일 연습하지 않는 연주가는 연주가가 아니다. 매일 쓰지 않는 작가는 작가가 아니다. 연습을 거른 그날 그들은 화가도 연주가도 작가도 아닌 것이다.

 

171 필살기 3단계를 통해 확보된 기존 업무에서 추출된 전략적 태스크들에 일과 시간의 60%내외의 시간을 쏟아 넣고, 그 품질의 탁월성을 추구하자. 전략적 태스크들의 대부분은 회사 업무에서 추출한 것이기 때문에 제거하고 줄이고 강화하는 방식으로시간을 쓰다 보면 자연스럽게 매일 수련이 가능하다.

 

172 필살기 4단계의 태스크들은 별도의 수련 시간을 필요로 한다.

 

175 직장인들의 경우 하루 두 시간 정도는 매일 빼낼 수가 있다. 세 가지 써볼 만한 방법이 있다. 첫째는 필살기 4단계에서 썼던 생각의 도구 EREC를 활용하여 먼저 생활 속에서 불필요하고 낭비적인 습관과 반복적인 일과가 무엇인지 알아내 제거하고 줄이는 것이다. 둘째는 이 과정에서 결정적으로 필요한 습관 하나를 새로 만들어 내는 것이다. ‘정해진 시간, 정해진 분량의 시간이 정해진 과제에 매일 자동 투입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다. 셋째는 가시적 성과를 적절한 기간 안에 만들어냄으로써 지속가능한 자신감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작은 승리를 만들어내야 마음이 새로운 개혁을 믿고 따르게 된다.

 

191 심리학자인 하워드 가드너는 성공적으로 미래에 대처하기 위해서 바느시 갖추어야 할 것들 중에서 훈련된 마음을 첫번째로 꼽고 있다. 그는 이 마음이 현대 사회에도 특별한 의미를 갖는 자산이지만 미래에는 더욱 가치있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훈련된 마음은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 적어도 하나의 특정 분야의 특징을 이루는 독특한 인지 양식에 통달한 것이다. 이 뜻은 훈련을 통해 심리학자가 심리학자처럼 인식하고, 생각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경영자가 모든 것을 경영으로 인식하듯, 변화경영 전문가는 늘 변화라는 주제를 맴돌고, 일상에서 만나는 모든 사물을 변화라는 창을 통해 인식하고 해석하는 것을 뜻한다.

둘째는 계획하고 실천하고 비판하고 가르치면서 끊임없는 기술적 향상을 연습하고 훈련한다는 뜻이다.

 

193 가장 중요한 서비스 선택 기준은 차별성, 고객관계, 전문성, 브랜드 이미지라 할 수 있다.

1)     차별성 : 콘텐츠가 가지는 차별성, 나만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특별함.

2)     고객관계 : 내 서비스를 좋아하는 팬과 마니아

3)     전문성 : 내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깊이를 의미한다. 차별성이 특별함을 의미한다면 전문성은 서비스 품질의 안전성을 의미한다.  

4)     브랜드 이미지 : 자신의 몸값을 주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브랜드 파워는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한다. ‘내 이름이 곧 시장에서 불리는 브랜드

195 창조 단계를 거쳐 상위 10%에 속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삼는다.

둘째 수련 내용은 분명하고 간단해야 한다.

실천에 대해 잭 웰치가 믿고 있는 것이 한 가지 있는데 단순하고 명확하지 않은 것은 실행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이것이 실천의 진실이라고 강조한다.

셋째, 수련항목은 구체적이어서 가시적인 성과(경유지)가 보이도록 짜는게 중요하다. 수련내용은 쉽게 아웃풋이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적어도 일주일 단위로 시간을 투여한 흔적이 남도록 운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00 개인 브랜드 이미지 창조를 위해 책을 출간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210 잘하기 위해서는 매일 해야 한다. 매일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그 일이 근육에 쌓이고 뼈에 박히게 된다. 골수에 새겨지는 것이다.

 

 

IP *.153.23.1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52 10월 2주차 당신의 파라슈트는 어떤 색깔입니까? file 유형선 2013.10.07 1945
1151 [10월 2주차] 파라슈트(What Color Is Your Parachute?) file 라비나비 2013.10.07 2416
1150 #19 (북리뷰)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 (윌리엄브리지스, 이끌리오) 땟쑤나무 2013.10.13 2339
1149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 윌리암 브리지스 file 최재용 2013.10.13 2220
1148 #22.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 / 윌리엄 브리지스 file 쭌영 2013.10.14 2660
1147 [10월 3주차]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_윌리엄 브리지스 file 라비나비 2013.10.14 2297
1146 (No.22) 윌리엄 브리지스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 이끌리오 - 서은경 file 서은경 2013.10.14 2344
1145 How to live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 file 오미경 2013.10.14 1699
1144 10월 3주차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 file 유형선 2013.10.14 2155
1143 [10월 4주] 율리시즈_제임스 조이스 file 라비나비 2013.10.21 2794
1142 제목은 간략하고 명확하게 적어주세요 file 최재용 2013.10.21 2176
1141 #20. 북리뷰 - 율리시즈 (제임스 조이스, 범우사) 땟쑤나무 2013.10.21 4419
1140 (No.23) 제임스조이스 [율리시스] 동서문화사 - 서은경 file 서은경 2013.10.21 3149
1139 No25.율리시스Ulysses-제임스조이스 file 오미경 2013.10.21 9518
1138 10월 4주차_율리시스 유형선 2013.10.21 2166
1137 [구본형 다시읽기] 유인창님의 잠언 file [5] 해언 2013.10.23 1955
1136 [구본형 다시읽기] 칼럼/마음편지 정리 file [6] 박미옥 2013.10.23 1818
1135 [2-15] 구본형의 필살기 콩두 2013.10.28 2491
» [구본형 다시 읽기] 필살기 콩두 2013.10.28 2471
1133 [2-18] 알레프 - 보르헤스 한정화 2013.10.28 3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