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연지원
  • 조회 수 348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11월 11일 11시 15분 등록

자기경영은 삶의 예술가가 되어 아름다운 인생을 창조하는 행위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행위를 해야 자기경영이 진행되는 걸까요? 무엇보다 자기 삶을 비평할 줄 알아야 합니다. 빅토리아 시대의 지성 매뉴 아놀드는 "시는 삶의 비평 (a criticism of life)"이라고 했습니다. 시와 같은 예술이 우리의 삶을 들여다보게 만든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예술과 자기경영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삶의 비평'이라는 공통분모를 갖고 있으니 같은 걸까요?

 

건강은 자기경영의 중요한 영역입니다. 여러분께 묻습니다. 일주일에 3~4회 정도 규칙적으로 운동을 지속하는 것은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마음 속으로 '그렇다, 아니다'를 말씀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제 핵심 질문을 드립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최근 6개월 동안 일주일에 3~4회씩 운동을 꾸준히 지속해 오셨습니까?

 

자기경영에 관한 강연을 할 때, 제가 곧잘 묻는 질문입니다. 첫째 질문에는 모두가 손을 드십니다. 반면 둘째 질문에 손을 드는 분들은 20~30%에 불과합니다. 누가 자기경영을 하고 계신 걸까요? 후자의 질문에 그렇다라고 대답한 분들이 자기경영을 해냈습니다. 자기경영의 성과는 앎이 아닌 삶이어야 하니까요.

 

자기경영은 이론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삶의 비평을 하지만, 그것은 이론의 정립이 아닌 삶의 변화를 위한 것입니다. 

 

경영은 실천학문입니다. 수학, 물리학은 이론학문이라 어떤 명제의 참과 거짓을 이론으로 증명해 냅니다. 반면 실천학문에서의 명제는 이론으로써 검증하지 않습니다. 실제 현장에서 그것이 유효하게 작동하는가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자기'경영' 또한 마찬가지여야 합니다. 아는 것보다 행한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자기경영의 측정도구는 앎이 아닌 삶입니다. 자신의 자기경영 수준을 측정하고 싶다면 A4 용지 하나를 가져와 세로로 한 번을 접은 후, 각각의 칸에다 ‘앎’과 ‘삶’이라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서 자신이 알고 있는 자기경영의 명제를 해당하는 칸에다 적어 보세요. 알고 있는 것인지, 삶으로 실천해 온 것인지를 가려보는 겁니다.

 

앎을 삶과 동일시하는 사람들은 자기경영과는 멀어집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공허한 조언을 합니다. 이론만으로 세상을 살아왔기에 실천이 얼마나 어려운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다른 사람들의 현실적인 조언을 받아들이지도 않습니다. 사람들은 삶을 보고 조언을 던지지만, 그들은 자신의 앎을 보며 불필요한 조언이라고 치부해 버립니다. 

 

탁월한 자기경영자는 앎을 삶으로 착각하지 않습니다. 삶의 비평을 통해 자기 인생의 만족스런 영역과 아쉬운 영역을 가려내며 자기 삶을 업그레이드할 '앎'을 키워가지만, 앎 만으로는 삶의 변화가 요원함을 명심합니다. 그리고 아는 것들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자기경영의 출발은 삶의 비평이지만, 그 완성은 실천에 있으니까요.

IP *.9.168.7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96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연지원 2016.09.26 1337
1795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6편) file 차칸양(양재우) 2016.09.27 1430
1794 페북 간 보기 한 명석 2016.09.28 1257
1793 일흔두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일곱번째 토크쇼 재키제동 2016.09.30 1076
1792 마흔아홉, 세상 가장 아름다운 부부 書元 2016.10.01 1120
1791 나이만 먹은 어른들 연지원 2016.10.03 1396
1790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7편)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0.04 1268
1789 할 수 있었다는 말보다 더 가슴아픈 말은 없다 file 한 명석 2016.10.05 1140
1788 어쩌다 그것이 된 우리는 김용규 2016.10.07 1037
1787 일흔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글 잘 쓰는 법 재키제동 2016.10.07 1855
1786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8편) 차칸양(양재우) 2016.10.11 1316
1785 내게 남은 시간이 1년뿐이라면 책을 쓸 것이다 한 명석 2016.10.12 1162
1784 다가가는 것들, 다가오는 것들 김용규 2016.10.13 1104
1783 모든 게 영업입니다 [1] 書元 2016.10.14 1049
1782 일흔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졸업여행 재키제동 2016.10.14 1022
1781 새로운 여행이 시작되었다 연지원 2016.10.17 1031
1780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9편) - 메타포의 세계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0.18 1633
1779 자기 인생을 통째로 장악한 사람 한 명석 2016.10.19 1012
1778 정의 따위에는 관심이 없다는 당신에게1 김용규 2016.10.21 1049
1777 일흔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여덟번째 토크쇼 재키제동 2016.10.21 1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