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미영
- 조회 수 334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이제 나한테 새로 일어날 수 있는 유일한 사건이야. 내가 아직 본 적도 없고 경험한 적도 없는 일이니까. 다른 사람들이 그런 일을 겪는 걸 봤을 뿐이지. 어쩌면 그건 아무 일도 아니야. 어쩌면 그냥 밤에 잠이 드는 것과 같은 일이겠지. 따지고 보면 우리는 매일 밤 죽는 거나 마찬가지잖니? '제 몸뚱어리와 이름을 자기 자신이라 생각하고, 욕망을 느끼고, 전화를 걸고, 점심 초대를 받고' 그랬던 의식이, 잠드는 순간에 '휙!' 사라지는 거니까. 물론 잠잘 때도 의식이 아직 조금은 남아 있겠지. 그러니까 꿈도 꿀 테고.
하지만 꿈을 꾸는 게 누구냐?
그 꿈에 대해 증언해 줄 사람은 누구지?
아마 사람이 죽는다는 것도 잠자는 것과 비슷할 게다. 어쩌면 아무 일도 안 일어날지 모르지. 그런데 우리는 왜 그렇게 죽음을 두려워할까? 다들 죽었는데! 천만 억만 명의 사람들이, 바빌로니아인이고, 호텐토트족(아프리카 남부 원시 부족)이고 할 것 없이 모두 죽었는데…. 하지만 막상 우리 자신에게 그 순간이 닥치면, '아!' 완전히 넋이 나가는 거야. 왜 그럴까? 다들 죽기 마련인데!
곰곰이 생각해 보면 좋은 화두가 될 거야. 물론 이미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해 봤지만 말이다. 따지고 보면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은 거대한 공동묘지란다. 존재했던 모든 것이 묻힌 그야말로 무지무지하게 거대한 공동묘지…. 땅을 파 보면-썩어서 티끌로 돌아간 육체 대신 남은-뼈들이 나와. 모두 생명의 찌꺼기지. 이 지상에서 얼마나 많은 생명체가 죽었는지 상상할 수 있겠니? 그것들이 다 저기 있는 거란다!
우리는 한없이 거대한 공동묘지 위를 그저 계속 달리고 있는 거야. 하지만 묘지라고 하면 우리는 항상 슬픔의 장소, 고뇌와 눈물의 장소를 생각하니, 참 이상한 일이지? 사실 지구라고 하는 이 거대한 공동묘지는 정말 아름다워. 땅 위에서 자라나는 꽃들이며, 그 위를 바삐 오가는 개미나 코끼리들을 생각해 봐라. 그 묘지는 바로 자연이란다!
신기하지 않니? 자연은 그냥 제 길을 가. 네가 죽는다고 자연이 신경이라도 쓸까? 네가 병들어 고통스러워한다고? 아니야, 그냥 흘러갈 뿐이야. 모든 게 흘러가. 병도 고통도. 그게 바로 자연이 주는 아주 위대한 교훈이야. 한 순간이라도 멈춰 서서 부드럽고 은밀하게 바람에 나부끼는 자작나무 이파리들을 관찰해 봐라. 그럼 내 육신이라는 것도 아주 하찮다는 걸 이해하게 돼.
자연은 눈부실 만큼 무심해. 자연을 흔들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지. 왜 우리는 자연을 통해 배우지 못하는 걸까? 흥분하지도 않고 울음을 터뜨리지도 않는 법을 말이야. 그러면 호들갑 떨지 않고 모든 게 흘러가도록 내버려 둘 수 있을 거야. 그래 봐야 아무것도 아니지. 무엇을 위한 일도, 누구를 위한 일도 아니야. 이 나무를 위한 것도 아니고, 이 풀밭을 위한 것도 아니고, 하찮은 노란 꽃을 위한 것도 아니야. 그런 존재들은 누구의 눈에도 띄지 않고 매일 매일 자라고 변화하며 이 거대한 전체의 일부가 돼.
주위를 둘러봐라. 저 강이며, 숲이며, 영원히 변화하는 저 경이로운 자연을 말이야. 그런 변화의 본질은 '작년의 그 상태'로 매번 끊임없이 돌아가는 것에 있어. 자연이 인간의 행위 따위에 무슨 신경을 쓰겠니. 매일 매일 벌어지는 사건들, 전쟁들, 폴 포트, 마오, 미국과 테러리즘에 무슨 관심이 있겠니. 아무 상관도 않지! 모든 게 찰나고 모든 게 무상한 거야. 위대한 문화도 다 소멸됐지! 모래사막 위로 스핑크스가 높이 솟은 적이 있었지만 그 곳에 이제는 아무것도 없어. 다른 모든 것도 그렇게 끝이 나지. 그러나 우린 지금 여기에 있다.
-티찌아노 테르짜니, 「네 마음껏 살아라」중에서
***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오픈한 지 1년, 카페에 다시 바람이 불었다.
이 또한 지나가리라.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96 | 토크 No.33 - 회사가 나를 미치게 할 때 해야할 일들 | 재키제동 | 2014.01.06 | 3267 |
395 | 예서/청마(靑馬)처럼 늠름하게 | 효우 | 2014.01.01 | 3105 |
394 | 토크 No.32 - 백전백승 면접의 기술 | 재키제동 | 2013.12.29 | 5105 |
393 |
예서/온누리에 가득한 평화 ![]() | 효우 | 2013.12.25 | 3230 |
392 | 토크 No.31 - 아름다운 마무리 | 재키제동 | 2013.12.21 | 3526 |
391 | 네가지의 마땅함 | 효우 | 2013.12.18 | 3233 |
390 |
토크 No.30 - 환상 속의 그대 ![]() | 재키제동 | 2013.12.16 | 3202 |
389 | 예서/기다림의 미학 | 효우 | 2013.12.11 | 3461 |
388 |
토크 No.29 - 당신이 계약직을 전전하는 이유 ![]() | 재키제동 | 2013.12.08 | 6098 |
387 | 부끄러우나 | 효우 | 2013.12.04 | 3765 |
386 |
토크 No.28 - 일이란 무엇인가 ![]() | 재키제동 | 2013.12.01 | 4496 |
385 | 예서/ 해마다 연말이 되면 | 효우 | 2013.11.27 | 3726 |
384 |
토크 No.27 - 그만둬도 괜찮아 ![]() | 재키제동 | 2013.11.25 | 3700 |
383 | 개처럼 [4] | 김미영 | 2013.11.21 | 3423 |
382 | 예서/ 일상화된 열정 | 효우 | 2013.11.20 | 3134 |
381 | 마지막 인사 [3] | 정재엽 | 2013.11.19 | 3192 |
» | 네 마음껏 살아라 | 김미영 | 2013.11.15 | 3341 |
379 | 예서/ 어느 곳에 가을 깊어 좋은 가 | 효우 | 2013.11.13 | 3780 |
378 |
말하라, 모든 진실을- 에밀리 딕킨슨 ![]() | 정재엽 | 2013.11.12 | 8341 |
377 | 불륜, Q&A [6] | 김미영 | 2013.11.07 | 3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