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형선
- 조회 수 2315
- 댓글 수 10
- 추천 수 0
<나는 아무 것도 아닙니다>
"삶이란 단 하나의 틀, 하나의 장소, 하나의 가족, 하나의
정서적 안식처, 하나의 직장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심지어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번의 사랑, 여러 개의 직업으로 구성됨을 인정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은밀한 가운데
자신의 정체성을 지켜나가야 한다." - 자크 아탈리 <살아남기
위하여> (p 166) -
‘병만족’이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서바이벌 버라이어티 쇼 <정글의 법칙>에서
생존을 위해 주변 환경에 적응하는 인간은 무엇이든
될 수 있습니다. 그 동안 ‘나’라고 기억해온 모습을 고수하면 변화한 환경에서 살아 남을 수 없습니다. ‘자연’은 언제든 인간을 잡아 먹기 위해 덤벼 드는 ‘괴물’이 됩니다. 괴물의 공격을 피해가며 자기를 보존해 가는 길을 찾아
내야 합니다. 지혜를 짜 내야 합니다.
생존을 위해 변화하는 모습의 원형을 찾아 봅니다. 고대 희랍의 오디세우스야 말로 살아남기 위해 잔머리를 굴리는 최고의 생존전문가 입니다. 이마에 눈이 하나 밖에 없는 거인 괴물 키클롭스를 속이는 오디세우스 이야기를 기억하실 겁니다. 오디세우스 일행은 양과 젖과 치즈가 있는 동굴을 발견합니다. 그러나
이 동굴의 주인은 키클롭스인 폴리페모스 입니다. 폴리페모스는 동굴입구를 거대한 돌로 막아버리고는 선원
몇 사람을 잡아 먹습니다.
오디세우스는 식인 괴물의 손아귀에서 벗어나기 위해
꾀를 냅니다. 폴리페모스에게 포도주를 권합니다. 벌컥벌컥
포도주를 마시며 취해가는 폴리페모스가 오디세우스에게 이름을 묻습니다. 그러자 오디세우스는 ‘내 이름은 우데이스Udeis’라고 대답합니다. 우데이스는 ‘아무도 아니다’라는
뜻입니다. 포도주에 취해 폴리페모스가 잠이 들자 오디세우스 일행은 올리브나무 말뚝으로 폴리페모스의 하나밖에
없는 눈을 찌릅니다. 고통으로 몸부림치며 비명을 지르자 이웃에 살던 키클롭스들이 도와주러 달려옵니다. 누가 이런 짓을 했느냐고 묻지만 폴리페모스가 알고 있는 범인의 이름은 ‘아무도
아니다’ 뿐입니다. 그러니 다들 하릴 없이 돌아갈 수 밖에
없습니다.
오디세우스의 지혜는 자신을 아무도 아닌 사람으로
만들어 버리는 기지를 발휘합니다. 마치 자신을 보호하는 가면처럼 ‘아무도
아닌 자’를 뒤집어 쓰면서 괴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합니다. 그러나
뒤집어쓴 가면은 가면일 뿐입니다. 살아남아 고향으로 돌아가는 오디세우스의 본질은 변하지 않습니다. 다만 목숨을 위협하는 괴물 앞에서 자신을 감추는 또다른 정체성을 부여할 뿐입니다. 오디세우스가 이름을 통해 괴물을 속일 수 있었던 진정한 이유는 자신이 누구인지를 정확히 알기 때문입니다. 무시무시한 키클롭스의 낯선 세상에서 자기 보존을 위해 자신을 또 다른 모습으로 변신했을 뿐입니다.
프랑스 최고의 석학 자크 아탈리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살아남은 사람들에게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살아남기
위하여’ 지켜야 할 7가지 원칙을 제시합니다. 이 중에서 6번째 원칙이 유비쿼터스의 원칙입니다. 요컨대 동시에 도처에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동시에 도처에 존재하기란 본질적으로 두 세계의 틈새에
사는 사람, 본래의 진실이란 없으며, 남들이 강요하려는 진실
또한 없다고 믿는 사람, 두 개의 확신이 충돌하는 틈새에서 자기만의 진실을 창조하고 자기만의 리듬대로
세계 속에서 전진하는 사람이 지니는 덕목이다." - 자크 아탈리 ‘살아남기
위하여’ (p 167)
자크 아탈리의 유비쿼터스 원칙을 보고 있으면 ‘나는 아무것도 아닙니다’라고 거인 괴물에게 자신의 이름을 외치는 오디세우스를
보는 것 같습니다. ‘나는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외침 속에 ‘나는 무엇이든 될 수 있고, 결국 너라는 괴물의 손아귀를 빠져
나가 자유와 생존을 움켜 쥘 수 있다’는 오디세우스의 패기가 번뜩입니다.
오디세우스의 참된 본질은 고향으로 돌아가려는 마음입니다. 자신을 기다리는 아내와 아들을 기억하는 마음입니다.
살아남기 위하여 무엇부터 해야 합니까? 살아 남아야 할 이유부터 찾아야 합니다. 그 이유가 강렬하고 분명할
수록 우리는 놀라운 생존능력을 발휘합니다. 평소에는 망각했던 ‘자기
존재 이유’를 기억해 내십시오. 남이 써 놓은 모범답안지
같은 자기 존재 이유는 개나 줘 버리십시오. 자크 아탈리의 표현처럼 자기만의 진실을 창조하고 자기만의
리듬대로 세계 속에서 전진할 수 있어야 진정한 생존입니다.
‘나는 아무 것도 아닙니다’ 라고 자기 고백을 할 수
있습니까? 이렇게 자신을 가장 낮출 수 있는 힘의 원천은 바로 ‘나는
내 자신입니다’ 라는 자기 긍지 입니다. 아무 것도 아닌
것은 곧 모든 것이기 때문입니다.
坡州 雲井에서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792 | [No.7-4] 나와 세상 연결하기(나의 미래기획) 오프수업- 서은경 | 서은경 | 2013.11.26 | 2172 |
3791 | 11월 수업과제_미래와 나 [2] | 유형선 | 2013.11.25 | 2235 |
3790 | #15_위로는 어떻게 하는거지? [2] | 서연 | 2013.11.21 | 2128 |
3789 | [2-25] 나는 세컨드다 [2] | 콩두 | 2013.11.21 | 2199 |
3788 |
[2-24] 나의 첫 신화책 얼렁뚱땅 출간기획서 ![]() | 콩두 | 2013.11.19 | 2364 |
3787 |
[No.7-3] 일단 살아남자 - 서은경 ![]() | 서은경 | 2013.11.19 | 2069 |
3786 | No29. 살아남는다는 것은 [1] | Oh! 미경 | 2013.11.18 | 1968 |
3785 | [11월 4주] 위기대응과 연구원 과정 [1] | 라비나비 | 2013.11.18 | 2115 |
3784 | 남은 삶에 홀로 우뚝 서보자. [3] | 제이와이 | 2013.11.18 | 1964 |
» | 나는 아무 것도 아닙니다 [10] | 유형선 | 2013.11.17 | 2315 |
3782 | #24. 스마트폰의 달콤함 [1] | 땟쑤나무 | 2013.11.17 | 2096 |
3781 | 키드니 3 [1] | 레몬 | 2013.11.16 | 2123 |
3780 | [2-23] 마녀들의 연애 상담 [4] | 콩두 | 2013.11.14 | 3082 |
3779 | #14_갈림길에서 [1] | 서연 | 2013.11.12 | 2045 |
3778 | [2-22] 아도니스의 귀향 [4] | 콩두 | 2013.11.12 | 2135 |
3777 | [No.7-2] 작은 변화를 시도하고 연결시키자-서은경 [6] | 서은경 | 2013.11.11 | 1884 |
3776 | No28 내 인생 내가 살도록 내버려둬요 [8] | Oh! 미경 | 2013.11.11 | 1968 |
3775 | 과거와 미래의 중간에서 [6] | 유형선 | 2013.11.11 | 2103 |
3774 | [11월 3주차] 어디로 가고 있는가? [4] | 라비나비 | 2013.11.11 | 1946 |
3773 | 더 많은 괴짜를 기다리며 [4] | 제이와이 | 2013.11.11 | 19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