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403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12월 4일 08시 51분 등록

“어느 날 내 딸 루시가 현관 계단에 앉아 담배를 피우고 있는 나를 올려다보더니 물었다. ‘아빠, 담배 빠는 거 언제 그만할 거에요?’ 나는 그 순간 나도 언젠가는 죽을 수밖에 없는 인간임을 새삼 깨달았다. 나는 미처 그런 생각은 하지 못하고 살았다. 감히 담배 따위가 날 죽일 리가 없다고 자만했던 것이다. 그런데 내가 살아있는 것이 가장 절실하게 필요할 내 아이가 나를 얼마든지 죽일 수 있는 행동을 언제 그만둘 거냐고 물었을 때, 나는 내 머리를 흔들며 그때까지 보려고 하지 않았던 엄연한 사실을 보았다. 나도 언제가는 죽을 터였다. 스스로 죽음을 앞당겨 내 딸을 하루라도 더 빨리 위험 속에 남겨둘 짓을 저지르다니! 이처럼 무모하고 어리석은 일이 또 있을까. 나는 그 뒤로 담배를 두 번 다시 입에 대지 않았다.”

 

 

- 창조적 단절, 에드워드 M. 할로웰 -

------------------------------------------------

 

 

미국의 유명한 프로농구 선수 샤킬 오닐은 16살에 농구 캠프를 다녀왔습니다. 내로라하는 고등부 선수들과 캠프에 참여한 오닐은 자신보다 잘 하는 선수들을 보면서 농구를 그만두고 싶을 만큼 기가 죽었습니다. 그리고 집에 와서 자신이 NBA선수가 될 것이라는 자신감을 잃어버렸다며 풀이 죽어 이야기했습니다. 어머니는 그런 오닐에게 열심히 노력하라고 격려를 했지만 오닐의 귀에는 그런 말들이 전혀 귀에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지금은 못 하겠어요. 다음에요.” 그러자 어머니가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나중이란 누구에게나 오는 게 아니야. 지금 최선을 다 해라.” 이 말은 오닐의 가슴을 뒤흔들었습니다. ‘다음’이란 말이 결국 핑계이고 지금 하지 않으면 안 되겠다는 깊은 각성을 전해주었고 오닐은 훈련에 훈련을 거듭하게 되었습니다.

 

 

근처에 점심식사를 하러 가는 식당이 있습니다. 부부가 운영하는 작은 식당인데 제법 맛이 있어 점심 때면 늘 손님이 붐빕니다. 두 분은 정말 열심히 일을 했는데 1년에 단 이틀, 즉 설날과 추석 당일을 빼고 가게를 닫은 적이 없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최근 아주머니가 안 보이시는 겁니다. 뭔가 낌새가 이상해서 아저씨께 물어보았더니 얼마 전에 중풍으로 쓰러져서 병원에 입원중이라는 것입니다. 아저씨는 금방 울음을 터뜨릴 듯한 목소리로 “올해까지만 장사하고 내년부터는 여행도 다니고 좀 쉬려고 했는데...”라며 말문을 잇지 못했습니다. 며칠 후 가게 문이 닫혔고 그 자리에 새로운 가게를 위해 공사가 한창입니다.

 

   

삶이 유한한다는 것! 이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요? 그러나 이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사실 우리는 ‘내일’이나 ‘다음’이나 '새해'에 대한 환상으로 삶의 유한성을 늘 외면하고 살아갑니다. 기약도 없는 미래를 생각하고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은 시간이 있을 것이라는 무의식적 착각 속에 오늘 이 시간을 어제처럼 살아가고 있습니다. 삶이 달라지지 않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인생의 어느 순간 우리는 삶의 유한성을 직면하고 자각하게 될 때가 있습니다. 때로는 너무 큰 것을 잃어버리고 난 뒤에 찾아오기도 하지만 우리가 삶의 유한성을 직면하고 깨닫는 그 순간! 우리의 삶은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당신에게는 그 순간이 있었습니까?  


 

 

 

- 2013. 12. 4.  당신의 마음을 깨우는 '문요한 에너지 플러스' 721호-

 

 

 

 

 

 

 

 

 

 

IP *.34.227.13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36 [월요편지 6] 나는 도대체 어떤 사람인가? file 습관의 완성 2020.04.26 1155
835 [화요편지]하고 싶은 대로 하면 그게 네 길일 것이니 file 아난다 2020.04.28 1347
834 월급쟁이가 책을 읽는다는 것 장재용 2020.04.28 951
833 '나는 왜 더 잘하지 못할까' 자책하는 그대에게 [3] 장재용 2020.05.05 1047
832 목요편지 - 계절의 여왕 5월 운제 2020.05.07 904
831 [용기충전소] 영원한 것은 없다 김글리 2020.05.07 965
830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벨리로의 초대, 나를 기다리는 선물 file 알로하 2020.05.10 1134
829 [월요편지 7] 꿈에는 매뉴얼이 없다 file 습관의 완성 2020.05.10 1136
828 [화요편지]아난다, 일상의 오르가즘 file 아난다 2020.05.12 1340
827 월급쟁이의 스승 장재용 2020.05.12 1151
826 목요편지 - 5월도 깊어가는데 운제 2020.05.14 864
825 [용기충전소] 자극과 반응사이, 변화의 길이 있다 김글리 2020.05.14 1151
824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머리에서 몸으로의 전환 file 알로하 2020.05.17 1224
823 [월요편지 8] 좋은 루틴, 나쁜 루틴, 이상한 루틴 file 습관의 완성 2020.05.17 1226
822 [화요편지]바람이 너무 좋았어! file 아난다 2020.05.19 910
821 월급쟁이와 가난 [1] 장재용 2020.05.19 1206
820 목요편지 - 모내기 운제 2020.05.21 863
819 [용기충전소] 나만의 길을 만드는, 인생학교 [2] 김글리 2020.05.21 944
818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마음을 나누는 춤 file [2] 알로하 2020.05.24 2530
817 [월요편지 9] 가난이 싫어 라고 말하면 안되는 이유 file [1] 습관의 완성 2020.05.24 1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