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연지원
  • 조회 수 288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4년 1월 6일 10시 34분 등록

 

"기형도 산문집을 읽다. 짧은 여행의 기록. 느낌이 많다. '짜쉭' 스물 아홉에 신춘문예 당선이라니. 그럴 만도 했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관심사에 목매다는 것이니까. 다른 이들보다 좀 나은 것은 그는 그렇게 자신의 삶으로 시를 완성했다는 사실이다. 스물아홉 살, 어느 삼류 극장에 앉아 조용히 숨을 거둔, 그 짧은 여행의 마지막 눈빛은 어떠했을까."

 

김광석의 글입니다. 그의 에세이 중 일부입니다. (그의 일기, 노트, 메모를 모아『미처 다 하지 못한』이란 제목의 에세이집이 2013년 12월출간되었습니다.) 『기형도 산문집 - 짧은 여행의 기록』은 1990년도 출간되었다 절판되었는데, 김광석이 그 책을 읽었나 봅니다. "느낌이 많다"고 썼지만, 어떤 감상을 가졌는지 일일이 적어주지 않아 아쉽네요. 

 

다만, 기형도가 자신의 삶으로 시를 완성했다는 사실을 치하합니다. 그리고 시인의 마지막 눈빛을 궁금해합니다.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짙은 감수성 때문일 겁니다. 기형도라는 인물에 대한 연민에서 출발하여, 그를 인간 실존의 마지막에 이르게 한 것이 무엇인지 마음 아파하며 궁금해했을 겁니다. 수사관의 호기심이 아니라 어머니의 궁금함이라고 할까요. (김광석은 항상 웃는 사람, 따뜻한 사람이었다고, 지인들은 전합니다.)

 

저는 이제 시인 뿐만 아니라, 가객 김광석의 마지막 눈빛마저 궁금합니다. 궁금함이 증폭되도 일상은 진행됩니다. 궁금함은 잠시 서랍 속에 넣어두고(서랍은 언젠가 열어볼 테고요), 대신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관심사에 목매단다"는 김광석의 말로 제 삶을 돌아봅니다. 나의 관심사... 로 작품 하나 만들고 싶습니다. 자신의 삶으로 시를 완성한 기형도처럼. 

 

새해의 첫번째 월요일입니다. 자신의 관심사에 시간과 애정과 노력을 듬뿍 주다 보면, 그런 한주 한주가 쌓여, 자기 삶으로 무언가를 완성하는 인생이 되지 않을까요? 활기찬 한 주를 보내시기를 응원합니다. 저는 그리 살아보려고요. 완성이 되든, 그렇지 않든 과정만으로도 의미와 기쁨이 있을 것 같네요. 물론 작품의 완성에도 욕심이 있고요. ^^ 

 

사족 하나. 18년 전 오늘(1월 6일)은 김광석이 저 세상으로 여행을 떠난 날입니다. 그래서 김광석 이야기를 해 보았습니다. 사족 두울. 기형도 시인의 산문이 궁금하시려나요? 옛 책은 절판되었지만 지금은 문학과지성사의 『기형도 전집』에서 『기형도 산문집』을 만날 수 있습니다. 김광석이 읽었다는 '짧은 여행의 기록' 말입니다. 

 

IP *.9.168.7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36 좋은 글은 객관성을 포착한다 file 연지원 2016.07.25 1253
1835 '자두'는 유년 시절의 추억이다 file 차칸양(양재우) 2016.07.26 2245
1834 별미만두를 먹는 일요일 file 한 명석 2016.07.27 1316
1833 순정 유감 김용규 2016.07.28 1286
1832 고대 올림픽의 부침을 생각하며 연지원 2016.08.01 1242
1831 자가용에 대한 여러 생각들 [1] 차칸양(양재우) 2016.08.02 1259
1830 마흔아홉, 오늘과의 동행 [1] 書元 2016.08.03 1094
1829 위대한 선물 한 명석 2016.08.03 1182
1828 그대와 내가 만나 숲이 되지 않는 이유 김용규 2016.08.04 1435
1827 예순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휴가단상 file 재키제동 2016.08.05 1425
1826 아날로그 소금의 맛 차칸양(양재우) 2016.08.09 1674
1825 <여름독서1> 김현정의 내숭 file 한 명석 2016.08.10 1482
1824 저항해야 할 대상은 그것이 아니다 김용규 2016.08.11 1164
1823 예순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프로그램 재키제동 2016.08.12 1492
1822 마흔아홉, 출발의 설렘 [1] 書元 2016.08.15 1134
1821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1편) 차칸양(양재우) 2016.08.16 1352
1820 <여름독서2> 너무 잘 읽히고 깜찍하고 야무진- 나의 토익만점 수기 한 명석 2016.08.17 1240
1819 타인의 평가 김용규 2016.08.18 1453
1818 예순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시 선물 재키제동 2016.08.19 1447
1817 인문 고전 읽기를 위한 7가지 조언 file 연지원 2016.08.22 1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