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3107
  • 댓글 수 3
  • 추천 수 0
2014년 1월 14일 08시 15분 등록

전라남도 순천에 위치한 선암사(仙巖寺)에 다녀왔습니다. 선암사는 아름다운 돌다리 ‘승선교(昇仙橋)’와 안에서 밖의 풍경을 볼 수 있는 해우소(解憂所), 그리고 천염기념물로 지정된 고매(古梅) 등 볼거리가 많은 절입니다. 그런 선암사에서 내게 가장 먼저, 깊이 들어온 것은 경내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작은 돌탑입니다. 방문객들이 크고 작은 돌맹이로 쌓은 것입니다. 눈길을 돌릴 때마다 모양이 다른 돌맹이를 쌓아올린 돌탑이 보였습니다. 돌탑을 보며 돌맹이를 하나하나 포개 탑을 쌓으며 소원을 빌었을 사람들의 모습이 떠올렸습니다.

 

20140114-2.jpg

 

나도 낮은 담장의 기와 위에 작은 돌탑을 쌓았습니다. 그리고 소원을 빌었습니다.

 

“이번 여행 동안 ‘지금 여기’를 살겠습니다. 허락해 주세요. 여행에서 돌아와 언제 어디에 있든 ‘지금 여기’에서 온전히 존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지켜봐 주세요.”

 

20140114-3.jpg

 

돌 위에 다른 돌 하나를 올리다가 문득 떠오른 소원입니다. 언젠가부터 원하게 되었지만 가능할 거라 믿지는 않았던 바람입니다. 나는 과거에 대한 후회와 미래에 관한 걱정에 수시로 젖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문득 ‘과거나 미래가 아닌 현재에 몰입하고 싶다. 지금 여기서부터 그럴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이런 바람과 확신이 선암사에서 떠오른 이유를 생각하다가 유홍준 선생의 책에서 본 구절이 떠올랐습니다.

 

“선암사의 매력이 어디에 있는지 구체적으로 딱 집어 말하기는 참으로 힘들다. 따지고 보면 미술사적 유적으로 뛰어난 것이 있는 것도 아니고 경관이 빼어난 것도 아니지만, 가고 싶은 마음이 절로 일어나고, 가면 마음이 마냥 편해지는 절집이다.”

 

이전까지는 여행하면서 뭔가를 얻어 와야 한다는 생각이 강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여행에서는 먼저 버리고 싶었습니다. 과거와 미래에 대한 집착 혹은 생각을 말입니다. 나는 잘 버렸을까요? 아직 모르겠습니다. 두고 볼 일입니다만 버린 자리가 휑하지는 않습니다. 그 자리에 ‘지금 여기를 살기’라는 씨앗이 발아하고 있음을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코! 또 뭔가를 얻어왔군요. 어쩌면 떠남은 만남이고, 버림은 얻음과 같은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구본형 사부는 <떠남과 만남>의 초판 서문에서 여행은 “버리기 위해 떠나는 것이고 버린 후에 되돌아오는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이렇게 덧붙입니다.

 

“여행을 통해 우리가 얻으려는 것은 없다. 오직 버리기 위해 떠난다. 소유한 것이 많으면 자유로울 수 없다. 매일 걸어야 하는 사람에게는 배낭 하나도 무거운 짐이다. 무엇을 더 담아올 수 있겠는가?”

 

건축가 승효상 선생은 선암사는 “산사의 고졸한 원형을 보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세월이 갈수록 위엄이 더해 가며 우리에게 경건과 침묵의 아름다움을 일깨우고 있다”고 강조했고, 유홍준 선생은 선암사가 보여주는 ‘우리나라 산사의 미학적 특질’을 ‘깊은 산속의 깊은 절’로 요약했습니다. 그리고 나는 선암사를 거닐며 깊은 마음속의 깊은 바람을 문득 깨달았습니다. 이렇게 내 마음 안에 경건과 침묵과 바람의 장소 하나가 생겼습니다.

 

20140114-1.jpg

구본형 저, 윤광준 사진, 떠남과 만남, 을유문화사, 2008년 4월

 

 

IP *.34.180.245

프로필 이미지
2014.01.14 09:37:53 *.136.209.3

선암사와 그 속의 사람들은 사람을 웃게 하는 무언가가 있는 듯 합니다.

 

시간이 된다면, 선암사에 하룻밤 머물고 조계산을 넘어 송광사에서도 하룻밤 머물면 좋을 듯 합니다.

두 절을 잇는 조계산의 물소리와 새벽 예불과 새벽의 건축물들,  그 속에서 생활하고 공양하는 사람들을 보고 있노라면 선암사의 매력이 무엇인지 좀 더 확연히 와 닿을 것 같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4.01.14 10:12:19 *.34.180.245

임마, 갑자기 웬 존댓말이야!


그대 말처럼 선암사에서 하룻밤 묵고,

선암사와 송광사를 연결하는 '천심불' 길을 걸어 송광사에 갔어.

아무 것도 모르고 둘레길 같은 산책이라 기대했다가 고생 좀 했지.


나는 선암사가 참 좋더군. 

프로필 이미지
2014.01.14 21:40:30 *.220.128.215
ㅋㅋㅋ 형~ 역시 어색하네^^;;;
형 글 읽으니 나도 다시 한번 눈 내리는 새벽의 선암사를 가고 싶어졌어~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36 좋은 글은 객관성을 포착한다 file 연지원 2016.07.25 1253
1835 '자두'는 유년 시절의 추억이다 file 차칸양(양재우) 2016.07.26 2237
1834 별미만두를 먹는 일요일 file 한 명석 2016.07.27 1316
1833 순정 유감 김용규 2016.07.28 1286
1832 고대 올림픽의 부침을 생각하며 연지원 2016.08.01 1238
1831 자가용에 대한 여러 생각들 [1] 차칸양(양재우) 2016.08.02 1257
1830 마흔아홉, 오늘과의 동행 [1] 書元 2016.08.03 1094
1829 위대한 선물 한 명석 2016.08.03 1182
1828 그대와 내가 만나 숲이 되지 않는 이유 김용규 2016.08.04 1432
1827 예순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휴가단상 file 재키제동 2016.08.05 1425
1826 아날로그 소금의 맛 차칸양(양재우) 2016.08.09 1674
1825 <여름독서1> 김현정의 내숭 file 한 명석 2016.08.10 1480
1824 저항해야 할 대상은 그것이 아니다 김용규 2016.08.11 1164
1823 예순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프로그램 재키제동 2016.08.12 1487
1822 마흔아홉, 출발의 설렘 [1] 書元 2016.08.15 1124
1821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1편) 차칸양(양재우) 2016.08.16 1351
1820 <여름독서2> 너무 잘 읽히고 깜찍하고 야무진- 나의 토익만점 수기 한 명석 2016.08.17 1238
1819 타인의 평가 김용규 2016.08.18 1452
1818 예순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시 선물 재키제동 2016.08.19 1447
1817 인문 고전 읽기를 위한 7가지 조언 file 연지원 2016.08.22 1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