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2014년 1월 28일 11시 46분 등록

1.    저자에 대하여

본명: Nathalie Goldberg

국적: 미국

출생: 1948

직업: 작가이자 강연가

유파 및 분야: () 실천가

골든버그는 미국에서 1948년 출생했으며 30년 이상 선() 불교를 탐구하고 실천해오고 있다. 그녀는 미국 New Mexico Santa Fe에서 교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백 만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Writing Down the Bones 이외에도 다수의 저서를 집필하였다.

 

주요저서

  • Chicken and in Love (1979), ISBN 978-0-930100-04-9
  • Writing Down the Bones (1986), ISBN 0-87773-375-9
  • Wild Mind: Living the Writer's Life (1990)
  • Long Quiet Highway: Waking Up in America (1993)
  • Banana Rose (1995)
  • Living Color: A Writer Paints Her World (1997)
  • Thunder and Lightning (2000)
  • The Essential Writer's Notebook (2001)
  • Top of My Lungs (2002)
  • The Great Failure (2004)
  • Old Friend From Far Away: The Practice of Writing Memoir (2008)
  • Recollections of an Ordinary Woman, Foreword by Natalie Goldberg (2010)
  • The True Secret of Writing (2013)

1986 출간된 저자의 독특한 글쓰기 철학을 담은 뼛속까지 내려가 써라는 미국인들의 글쓰기에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이 책(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은 백만 부가 넘는 판매를 기록하며 세계 각국어로 번역되었고, 글쓰기에 도전해보고자 하는 이들이라면 꼭 읽어보아야 할 새로운 바이블로 떠올랐다.

출간된 후 20년 가까이 지났지만 독자들의 이런 열기는 식지 않아서 이 책은 현재에도 아마존 베스트셀러 상휘를 점하고 있다.

 

 

이 책에서 그녀는 자신이 25년간 이어온 선() 체험과 글쓰기를 접목시킨, 혁명적이고도 강력한 글쓰기 노하우를 보여준다. 그것은 단순한 작법론이 아니라, 진정한 창조가 무엇이며, 우리가 어떻게 그것을 내면에서 발견할 수 있는지를 일깨워주고 있다.

 

그녀가 말하는 창의력의 비밀은 글을 첨가하는 것이 아닌 덜어내기의 법칙이다. 글쓰기에 대한 이런 독특한 관점은 오랜 명상 체험을 통해 얻어진 것이다. 나탈리 골드버그는 이 책을 통해 용맹한 전사처럼, 때로는 깊은 통찰력을 가진 현자처럼 삶과 글쓰기를 관통하는 어떤 진실을 독자에게 들려준다.

 

[출처] 위키백과, nataliegoldberg.com, 책표지 작가 소개 )


 

2.   내 마음을 무찔러 드는 글귀 책을 읽다 마음에 들어 온 인용문을 인용 페이지와 함께 발췌하여 적을 것

 

❖ 이 책을 읽는 이들에게

 

<17> 실천적으로 글을 쓴다는 의미는 궁극적으로 자신의 인생 전체를 충실하게 살겠다는 뜻이다.

 

첫 마음, 종이와 연필

<19> 두 달 전에 꽤 괜찮은 글을 썼다고 해서 앞으로도 좋은 글을 쓴다는 보장은 없는 법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언제나 새롭게 글을 써야 하는 운명을 받아들여야만 한다.

 

<19> 글쓰기는 매번 지도 없이 떠나는 새로운 여행이다.

 

<20> 원고를 손으로 쓰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빠르게 써지는 필기구를 마련해야 한다.

 

<20> 어디에 글을 쓸 것인가 하는 것도 생각해야 할 부분이다.

 

<21> 노트 종류도 다양하게 변화를 주는 것이 좋다.

 

<22> 글쓰기는 정신적이면서 동시에 육체적인 작업이기에 사용하는 도구와 장비에 많은 영향을 받게 마련이다. 나는 감정적인 그을 쓸 때는, 적어도 처음에는 직접 손으로 쓴다. 손으로 쓰는 것이 심장의 운동과 더욱 가깝게 연결되는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설이나 긴 이야기를 쓸 때는 주저 없이 타자기 앞에 앉는다.

 

<23> 내면 세계가 외부 세계를 창조한다는 말은 참말이다.

 

첫 생각을 놓치지 말라

<26> 우리의 목표는 첫 생각에 불을 활활 붙여 주는 것, 사회적 체면 또는 내면의 검열관에게 방해를 받지 않고 에너지의 심장부에 도달하는 것, 피상적인 느낌이 아니라 진짜 마음이 보고 느끼는 것을 쓰는 것이다.

 

<26> 첫 생각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우리 마음에서 제일 먼저 번쩍하고 빛을 낸 불씨다.

 

<28> 당신이 바로 지금, 현재에 존재할 때, 세상은 진정으로 살아 움직이게 된다.”

 

멈추지 말고 써라

<29> 글쓰기 훈련의 중요한 목표 가운데 하나는 자신의 몸과 육체를 믿는 법, 다시 말해 인내심과 공격하지 않는 마음을 키우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29> 진짜 중요한 것은 작품과 더불어 우리의 삶을 꾸려 나가는 과정이다.

 

<30> 글쓰기 훈련은 세상과 자기 자신에 대해 마음을 지속적으로 열어 나가게 하고, 자기 내면의 목소리와 스스로에 대해 믿음을 키워 나가는 과정이다. 그리고 그 과정이 옳았을 때만 좋은 글을 얻을 수 있다.

 

<34> 지금 당장 자리에 앉으라. 지금 당신의 마음이 달려가는 무언가가 있다면, 그것이 무엇이든지 그대로 적어 내려가라. 제발 어떤 기준에 의해 글을 조절하지는 말라. 무엇이 다가오더라도 지금 이 순간의 것을 잡아라. 손을 멈추지 말고 계속 쓰기만 하라.

 

글을 쓰는 것은 내가 아니다

예술적 안정성을 얻는 과정

습작을 위한 글감 노트 만들기

<23> “, 무슨 이야길 쓰지? 뭘 써야 좋을 지 생각나지 않아.” 이런 때를 위해 평소 쓰고 싶은 주제가 떠오를 때마다 아이디어를 적어 두는 노트를 따로 마련해 두자. 단 한 줄짜리 짧은 글일 수도 있다.

 

<46> 어떤 것이든 모두 글을 재료가 된다. 글을 쓰고 싶은 주제가 떠오르면 언제라도 노트에 적어 두라. 그것이 한 단어이든 한 문장이든 이러한 목록들은 당신이 다음에 글을 쓰고자 할 때 요긴하게 끄집어 내어 사용할 수 있는 글감이 될 것이다.

 

글이 안 써질 때도 글을 쓰는 법

<52> 당신 속에서 싸움을 원하는 마음이 있다면 싸우도록 그냥 내버려 두라. 하지만 그 싸움의 한 구석에서, 제 정신을 차리고 있는 실제적인 마음이 조용히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그 마음이 노트로 옮겨져 더 깊고 평화로운 곳에서부터 나온 글을 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편집자의 목소리를 무시하라

 

눈 앞에 있는 것에서부터 출발하라

 

글쓰기는 글쓰기를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

작가와 작품은 별개다

사고의 모든 경계를 허물어뜨려라

<71> 작가는 두려움 없이 무조건적으로 모든 것을 써 낼 수 있는 용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글쓰기는 맥도날드 햄버거가 아니다

강박관념을 탐구하라

 

세부 묘사는 글쓰기에 생명력을 불어 넣는다

<82> 인생이란 너무도 다양해서 만약 당신이 사물의 과거와 현재의 진정한 모습을 세세하게 써 내려갈 수만 있다면 당신에게 더 이상 필요한 것은 없다.

 

그들의 이름을 불러 주라

<85> 작가가 쓰는 글은 이 세상 모든 것을 재료로 해서 이루어진다. 우리는 소중한 존재들이며, 우리의 삶 또한 그러하다는 것을 작가가 되려는 당신은 알고 있는가? 덧없이 지나가 버리는 세상의 모든 순간과 사물들을 사람들에게 각인시켜 주는 것, 그것이 작가의 임무다.

 

케이크를 구우려면

<87> 하나의 케이크를 탄생시키려면 반죽을 오븐 속에 집어 넣고 열을 주어야 한다. 이때 만들어진 케이크는 원래의 재료 성분과는 전혀 다른 것으로 변해 있다.

 

작가는 비를 맞는 바보

<92> 월급쟁이들은 시간과 돈을 맞바꿔, 일한 시간에 대한 보수를 받는다. 그러나 작가들은 자신만의 시간을 지키고 있으며, 그 시간의 중요성과 가치를 느끼는 사람들이다. 시간을 소중히 여기기 때문에 그들을 시간을 팔아 돈을 벌지 않는다. 누군가 찾아와 그 땅을 팔라고 하면, 제정신이 있는 작가라면 결코 그 땅을 팔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땅을 팔면 자동차를 살 수 있다는 사실을 알지만, 그렇게 되면 조용히 안식을 하고 꿈을 꾸는 데 필요한 장소는 사라진다는 것도 알고 있다.

 

글쓰기는 육체적인 노동이다

<94> 사람들은 글쓰기가 육체적인 노동이라는 사실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하지만 글쓰기는 생각하는 행위만으로 이루어지는 일이 아니다. 그것은 시각, 촉각, 후각, 청각 등 모든 지각 능력과 관계하고 있다. 또 반드시 손을 계속 움직여 써 내려가는과정이 있어야 하나의 작품이 탄생된다. 머리 속에서 떠오르는 생각만으로는 아무런 결과물도 생산할 수 없는 것이다.

 

잘 쓰고 싶다면 잘 들어라

<98> 글쓰기 역시 90퍼센트는 듣기에 달려 있다. 열심히 들으면 당신을 채우고 있는 내면의 소리까지 들을 수 있다. 자연히 나중에 글을 쓸 때, 당신은 그 내면의 소리를 저절로 분출시킬 수 있게 된다. 내면의 진실한 소리를 듣게 된다면, 글쓰기에는 더 이상 다른 것이 필요 없다. 당신은 그저 식탁 건너 편에서 당신에게 말을 하고 있는 사람의 말을 듣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그곳의 분위기가 내는 소리와 의자와 문이 말하는 소리까지 들을 수 있게 된다. 그 문 너머 바깥에서 들려오는 소리까지도.

 

[중략] 첨부 파일 참조

 

3.    내가 저자라면

 

이 책은 작가의 독특한 글쓰기 철학을 담은 책으로 작가의 선() 체험과 글쓰기를 접목시킨, 혁명적이고도 강력한 글쓰기 노하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 책에서는 단순한 글을 쓰기 위한 방법론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스스로의 내면을 발견할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고, 진정한 창조의 의미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이 책에서 특별히 와 닿았던 부분은 작가로서의 역할과 자세에 대한 부분이었다.

 

<85> 작가가 쓰는 글은 이 세상 모든 것을 재료로 해서 이루어진다. 우리는 소중한 존재들이며, 우리의 삶 또한 그러하다는 것을 작가가 되려는 당신은 알고 있는가? 덧없이 지나가 버리는 세상의 모든 순간과 사물들을 사람들에게 각인시켜 주는 것, 그것이 작가의 임무다.

 

<161> 작가는 다른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에 관심을 갖는 사람이다.. 작가의 임무는 평범한 사람들을 살아 있게 만들고, 우리가 평범하면서도 특별한 존재라는 사실을 일깨워 주는 것이다.

 

<233> 나는 누구인가? 또 내 글의 원천은 어디인가? 이것을 이해하고 다시 이것을 다른 이들에게 이해시켜 줄 때, 당신이 전달한 것은 비단 당신의 뿌리에 대한 편협한 기록이 아닐 것이다. 그것은 우리 모두의 근원에 대한 기록일 것이다.

 

IP *.35.252.8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32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나탈리 골드버그 지음 file 제이와이 2014.01.28 2443
1031 [2-24]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워준 녹색서적, 월든 타오 한정화 2014.01.28 2026
» 뼛 속까지 내려가서 써라_나탈리 골드버그 file 라비나비 2014.01.28 1965
1029 (No.35) 나탈리 골드버그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한문화 - 서은경 file 서은경 2014.01.28 2534
1028 No 39. 베껴쓰기로 연습하는 글쓰기책 (명로진) file 미스테리 2014.01.28 2729
1027 #35. 기막힌 이야기, 기막힌 글쓰기 / 최수묵 쭌영 2014.02.02 7146
1026 내 인생의 글쓰기 - 김용택, 도종환, 서정오, 안도현 유형선 2014.02.03 2221
1025 (No.36) 탁정언 전미옥 [일하면서 책쓰기] 살림 - 서은경 file [2] 서은경 2014.02.04 2739
1024 # 34. 삶은 홀수다(김별아, 한겨례출판) 땟쑤나무 2014.02.04 2914
1023 <한승원의 글쓰기 비법 108가지> file 제이와이 2014.02.04 2229
1022 No 40 . 안정효의 글쓰기 만보 file [2] 미스테리 2014.02.04 2957
1021 #36. 과학,일시정지 / 가치를 꿈꾸는 과학교사모임 쭌영 2014.02.10 5118
1020 (No.37) 헤르만 헤세 [데미안] 더클래식 - 서은경 file 서은경 2014.02.10 2986
1019 #35.몽테뉴 수상록(1) 땟쑤나무 2014.02.10 4527
1018 내 인생의 첫 책쓰기_오병곤 홍승완 유형선 2014.02.10 2408
1017 <서드 에이지, 마흔 이후 30년> file 제이와이 2014.02.10 2786
1016 [2월 2주] 구본형의 The Boss: 쿨한 동행 file 라비나비 2014.02.10 1898
1015 No 41 강신주의 맨얼굴의 철학 당당한 인문학 (1) file 미스테리 2014.02.10 2553
1014 #37. 도와주세요. 팀장이 됐어요 / 신승환 쭌영 2014.02.16 2500
1013 No 42. 강신주의 맨얼굴의 철학, 당당한 인문학(2) file 미스테리 2014.02.17 132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