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976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4년 2월 13일 01시 40분 등록

올 겨울은 서울 나들이가 잦은 편입니다. 어떤 날에는 강의를 들으러 가고 어떤 날에는 강의를 하러 가고 있습니다. 그러던 날 중에 하루 작심하고 서울에서 모처럼 문화생활을 좀 했습니다. 광화문 근처에 있는 서점에 들러 책 구경도 하고, 뒷골목을 누비다가 카페에 들러 도시적 여유와 호사를 누리기도 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좋았던 것은 영화 한 편을 본 것이었습니다.

 

경희궁 근처 골목 언저리를 돌다가 해머질을 하는 노동자 조형물이 있는 건물의 예술영화 상영관으로 찾아들었습니다. 순전히 작은 간판에 내걸린 제목에 이끌렸습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이 작품은 고레에다 히로카즈라는 감독의 일본 영화였습니다. 줄거리와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고, 그 영화를 다 보고 나와 누군가를 기다리며 나는 혼자 이렇게 중얼거렸습니다. ‘참 좋은 영화구나. 아이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아버지, 나 역시 한 때 그런 아버지였는데... 많은 아버지들이 저 영화를 보면 좋겠구나...’

 

많은 사람들의 감상평이 집중하는 지점과 달리 나는 그 영화를 타인의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사람이 그 소리를 듣게 하는 영화로 보았습니다. 그대는 아이의 소리를 제대로 들을 줄 아는 아버지인지요? 혹은 엄마인지요? 더 나아가 그대가 남편이거나 아내라면 배우자의 소리를 잘 알아듣는지요? 영화 속 아버지처럼 내게도 아이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아버지로 살았던 한 4년 동안의 초보 아비시절이 있었습니다. 그 시절에 나는 아이와 소통하고 있다고 믿었지만 소통하지 못했었습니다. 결정적인 순간에는 늘 내가 세워놓은 어떤 틀로 아이를 대하고 있음을 어떤 충격적인 경험을 통해 자각하게 되었습니다. 아내에 대해서도 그랬습니다. 아내는 아내가 형성해 놓은 틀로 나를 보았고, 나는 나의 기준과 틀로 늘 아내를 보고 있었습니다.

 

아이의 소리를 제대로 들을 수 있는 경험이 생기고 나서 아주 한참 뒤에야 나는 비로소 아내의 소리, 여자의 소리를 조금 알아듣는 귀가 생겼습니다. 아내와 여자의 소리를 조금 알아듣는 귀가 생길 즈음에서야 비로소 나는 더 많은 타자, 심지어 인간 아닌 다른 생명의 소리를 조금 알아듣는 귀를 갖게 되었습니다. 이제 함께 사는 개의 소리를 듣고, 부엉이의 노래를 알아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어떤 풀, 어떤 나무의 몸짓이 무엇을 말하는지 조금씩 알아들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나는 오랫동안 큰 착각을 품고 살았습니다. 귀가 열려 있으니 말로 전하는 소리는 다 듣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귀가 열려 있다고 다 듣는 것이 아님을 조금씩 알아가게 되었습니다. 어떤 귀를 닫고서야 진정한 귀가 열린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려서부터 배우고 습득하며 세워놓은 기준과 틀을 허물지 못하는 한 우리는 제대로 들을 수 없는 존재임을 하나씩 깨달아왔습니다. 나를 길러내신 아버지나 어머니의 시선과 음성을 창조적으로 해체하여 불사르지 않고는 내 아이의 소리를 제대로 들을 수 없다는 것을 자각했을 때, 비로소 나는 내 아이의 소리를 제대로 들을 수 있었습니다. 남자에 덧씌워진 분칠을 지우고서야 아내와 여자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고, 인간만이 가졌다는 그 특별한 오만의 눈을 찔러 눈멀게 하고서야 다른 생명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더 많은 타자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은 참 충만한 일입니다. 여러 소리를 듣게 되니 마음이 더 소란할 것 같지만, 실은 그 반대입니다. 오히려 그럴 수 있을 때 더 고요해지고 평화로워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그 영화, 개봉관 숫자는 적지만 아직 극장에 걸려 있습니다. 꼭 한 번 보시기 바랍니다. 어떤 귀를 닫아 새로운 귀를 열 수 있는 그 자각의 계기로 만나시기를 바랍니다.

IP *.20.202.213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76 저 꽃이 선(善)이요 진(眞)이며 미(美)인 까닭 김용규 2016.05.26 1251
1875 쉰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네번째 토크쇼 재키제동 2016.05.27 1417
1874 중년 부부 사랑 재생법, 5편(마지막) 차칸양(양재우) 2016.05.27 1883
1873 마흔아홉, 내가 있습니다 書元 2016.05.28 1446
1872 사진이랑 많이 다르네요 연지원 2016.05.30 1421
1871 '저축의 패러독스', O or X? file 차칸양(양재우) 2016.05.31 1403
1870 사라지는걸 인정하면 엄한데 힘주고살지 않는다 한 명석 2016.06.01 3620
1869 내가 제수리재에 서는 날은 김용규 2016.06.02 1455
1868 쉰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책임 재키제동 2016.06.03 1583
1867 마음의 전쟁을 그치려면 로이스(旦京) 2016.06.06 1346
1866 에곤 실레의 이루지 못한 꿈, <가족> file 차칸양(양재우) 2016.06.07 4252
1865 그냥 행복한것과 책을 써서 행복한것 한 명석 2016.06.09 1135
1864 절박한 놈들의 향기 김용규 2016.06.10 1241
1863 쉰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좋아하는 일 [2] 재키제동 2016.06.10 1447
1862 마흔아홉,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書元 2016.06.10 1319
1861 멋진 글쟁이, 좋은 사람 연지원 2016.06.13 1240
1860 사상 최저 기준금리 인하 조치, 어떻게 봐야 할까요? [2] 차칸양(양재우) 2016.06.14 1189
1859 삶은 어디에 있는가? 한 명석 2016.06.15 1334
1858 쉰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혼자 있는 시간 재키제동 2016.06.17 1673
1857 생고생을 많이 하면 할수록 인생이 드라마틱해진다 차칸양(양재우) 2016.06.21 1602